![]() |
↑ 텔레그램 박제방 메시지 / 사진=연합뉴스 |
해외에서 대포통장 명의자 역할을 맡다가 도망친 한국인들의 신상 정보를 박제하는 방이 텔레그램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자기 명의의 대포통장을 범죄단체에 빌려줬다가 돈을 챙기고 잠적한 사람 등을 대상으로 보복성 '신상 털기'를 해 위협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입니다.
어제(22일) 언론 취재를 종합하면 텔레그램에서는 통장 명의자, 즉 '장주'를 박제하는 채널들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독자는 수천에서 수만 명에 달합니다. 업체들로부터 관련 제보를 접수하고, 사진과 이름, 전화번호, 주소, 계좌번호 등을 공개하는 방식입니다.
구독자 2,600명의 한 대화방은 사회악과 개인 원한을 가리지 않는다며 "박제 후 인생을 괴롭혀주겠다. 정신교육 제대로 시켜주겠다"는 문구를 내걸었습니다. 운영자는 중국 국적으로 추정되는데, 가족 신상정보까지 공개하며 명의자들을 압박했습니다. 한 '먹튀'(먹고 튄다) 명의자의 여권 사진을 공개하고는 "저희 쪽 사람한테 사기 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드리겠다"며 중국어로 '오늘 밤 네 어머니가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협박하기도 했습니다.
1만 8,000여 명이 구독 중인 또 다른 대화방에서도 하루 1∼2명씩 신상정보가 공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해당 방에서 박제를 당한 명의자는 "'장'(통장)을 팔러 온 인생 ○○인데 제 돈만 보고 피해를 주고 가볍게 행동했다"며 자필로 반성문을 썼는데, 운영자는 "반성문을 아무리 써도 용서해 주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한 '장집'(대포통장 모집책) 대화방은 '출동팀'이라는 이름으로 일종의 체포조까지 모집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업체는 먹튀 명의자를 잡았다면서 무릎을 꿇리고, 이발기로 머리를 미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불법 대부업체의 돈을 갚지 못한 채무자를 박제하자마자 대포통장 명의자 구인 광고를 게시해 궁지에 몰린 이들을 유인하는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런 박제방들이 동남아시아 범죄단지 피해자들이 탈출을 단념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태국에서 대포통장을 대여한 경험이 있다는 A씨는 언론에 "아무리 잃을 게 없는 사람들이 (범죄단지로) 간다고 해도 가족들의 정보까지 모두 털린다는 건 부담될 수밖에 없다"고 전했습니다.
[김나연 디지털뉴스 기자 kim.nayeo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