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과 맞물려
![]() |
↑ 아파트 단지 모습 / 사진=연합뉴스 |
전세 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되고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 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습니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 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습니다.
이어 올해 2분기 들어 65%를 넘었습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 말 49.8%로 절반 이하였으나, 2022년 1분기 말 50.9%, 2023년 1분기 말 51.8%, 2024년 1분기 말 52.3%, 올해 1분기 말 54.0% 등으로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올해 2분기 말은 54.6%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소득 하위 30%의 저소득층 전세 대출 비중이 잔액 기준과 차주 수 기준에서 모두 추세적으로 줄어든 것과 정반대 흐름입니다.
올해 2분기 말 저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 대출은 전체 잔액의 7.6%에 그쳤습니다.
이 비중은 2021년 1분기 말 9.1% 수준이었으나, 2022년 1분기 말과 이듬해 1분기 말 각 8.9%, 2024년 1분기 말 8.1%, 올해 1분기 말 7.7% 등으로 점차 낮아졌습니다.
차주 수 기준
소득 상위 30-70%의 중소득층 전세 대출 비중 역시 잔액과 차주 수 기준으로 모두 줄어 저소득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박설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pressnow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