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미국 입국한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 / 사진 = 연합뉴스 |
강경화 신임 주미대한민국대사가 한미 간 시급히 풀어야 할 문제로 관세 협상과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 문제 그리고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로 촉발된 비자 문제를 꼽았습니다.
강 대사는 "(한미 간) 난제들이 꼬여 있는 만큼 저뿐 아니라 공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문제들이 잘 풀릴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정부 당시 외교장관을 지낸 강 대사는 현지시간 4일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자리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몇 년 만에 다시 국익을 챙기는 외교 현장에 동참하게 돼 설렌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제가 쌓은 외교장관 시절의 역량, 최근에 아시아소사이어티라는 뉴욕의 아주 비중 있는 비정부 단체 회장을 지낸 모든 경험과 역량을 총동원해서 대사직을 수행하겠다"고 각오를 밝혔습니다.
강 대사는 오는 6일 대사관에서 취임식을 하고, 미국 정부에 신임장을 제출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본격적으로 대사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주미대사관은 지난 7월 중순 조현동 전 대사가 이임한 뒤 80여 일 동안 대사대리 체제로 운영돼왔습니다.
강 대사는 한미 간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로 아직 최종 체결되지 않고 있는 관세·무역 협상과 그 일부인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 문제, 조지아주 한인 구금 사태로 촉발된 한국 기업인 및 노동자 비자 문제 등을 꼽았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요청한 통화스와프에 대해 "우리가 일단 던져놓은 상황이고, 미국 측의 반응이 접수됐다는 얘기는 못 듣고 왔다"며 "그래서 그 부분은 좀 기다려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우리 기업인들의 (미국) 출입국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워킹그룹의 1차 회의가 잘 끝난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 2차 회의, 추가 협상을 하는 데 있어 지속 가능한, 그리고 우리 기업인이 신뢰할 만한 비자 운영이 자리를 잡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밝혔습니다.
강 대사는 최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전제조건 없는 대화에 열려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 대통령께서도 트럼프
또 "결국은 북한이 나서야 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국 당국자와 긴밀히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이시열 기자 easy10@mbn.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