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화 자료화면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추석 연휴가 시작한 가운데 부모와 따로 사는 사람들은 평균 사흘에 한 번꼴로 부모에 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7,499가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제19차 한국복지패널 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44.38%는 부모와 따로 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소득 집단별로 보면 일반 가구의 부모와 따로 사는 비율은 49.72%로, 중위소득 60% 이하인 저소득 가구(17.52%)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따로 사는 부모와 최근 1년 동안의 전화 통화 횟수는 중윗값 기준 52회, 평균 106회였습니다.
단순 계산 시 중윗값 기준으로는 일주일에 한 번, 평균으로는 사나흘에 한 번꼴로 따로 사는 부모에 전화한다는 의미입니다.
소득별 통화 횟수를 보면 일반 가구에서는 평균 106회, 저소득 가구에서는 평균 95회로 집계됐습니다.
또한 따로 사는 부모와 최근 1년간 얼마나 왕래했는지를 파악했더니 중윗값 12회, 평균은 42회였습니다. 저소득 가구의 따로 사는 부모와 왕래
연구팀은 “왕래에서는 저소득 가구가 일반 가구보다 접촉 빈도가 높았던 반면, 전화 연락에서는 반대였다”며 “다만 저소득 가구에서 표준오차가 크게 나타나 저소득 가구 간 부모와 접촉 빈도의 편차가 크다는 걸 알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