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많이 본 뉴스
2025.10.17.~2025.10.23.
소멸: 청년이 떠난 자리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편집자주지난 20여 년간 '균형발전'을 외치지 않은 정부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더 벌어졌고, 지방소멸 위기는 이제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저출생, 가계부채 상승으로 이어지는 지방소멸은 한국
무너진 교실: 딥페이크 그후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편집자주그 아이의 일상이 지워졌다. 더는 SNS에 추억이 담긴 사진을 공유할 수 없고, 교실에서 친구들과 마음 편히 수다 떠는 게 두렵다. 댄서가 돼 무대에 서겠다는 꿈도 사라졌다. 지난여름, 우리 사회를 분노케 한
추적: 지옥이 된 바다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편집자주콧구멍에 플라스틱 빨대가 박혀 피 흘리는 바다거북, 배 속에 찬 쓰레기 탓에 죽은 향유고래. 먼바다 해양 생물들의 비극은 뉴스를 통해 잘 알려졌죠. 우리 바다와 우리 몸은 안전할까요? 한국일보는 3개월간 쓰레
산 자들의 10년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5> 남겨진 사람들 찌꺼기처럼 남은 우울, 유병화의 10년 엄마는 세상과 마주하며 조금씩 움직였다 그해 6월 어느 날 밤, 유원지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서 400m 남짓 떨어진 집까지 내달리는 동안 유병화는 제정신이
새마을금고의 배신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편집자주새마을금고 계좌가 있으신가요? 국민 절반이 이용하는 대표 상호금융기관인 새마을금고가 창립 60여년 만에 전례없는 위기 앞에 섰습니다. 몸집은 커졌는데 내부 구조는 시대에 뒤쳐진 탓입니다. 내가 맡긴 돈은 괜찮
작가와의 만남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김이듬(54) 시인은 2020년 시집 '히스테리아' 영어 번역본으로 미국 문학번역가협회가 주관하는 '전미번역상'과 '루시엔 스트릭 번역상'을 동시에 받았다. 한국 문학인 중에는 처음이었다. 이후 그는 화려한 시절을
전체 기사
-
KB금융, 독립유공자 후손 위한 '명예 품은 가게' 현판식 개최 2025.08.14.
-
유가·환율 상승에 지난달 수입물가 6개월 만에 반등 2025.08.14.
-
모자란 세수 한은, 수은 등으로 임시 보강… "임시 방편" 지적도 2025.08.13.
-
우리은행, 채무조정 전담조직 신설…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강화한다 2025.08.04.
-
32년 만에 반대 의견 2명에도 신중한 파월 …깊어지는 한은 금리 고민 2025.07.31.
-
들썩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조직 개편하며 대응 나선 한은 2025.07.29.
-
1400원 자꾸 다시 위협하는 환율...관건은 한미 협상·미 금리 2025.07.28.
-
[속보] 삼성전자, 테슬라 업고 '7만 전자' 회복 2025.07.28.
-
성장률, 바닥 찍고 반등?…0%대 탈출, 하반기 내수가 관건 2025.07.24.
-
[속보] 또 연고점 경신…코스피 장중 3230 돌파 2025.07.24.
-
[속보] '바닥 찍었나' 소비 회복·수출 선방에 2분기 성장률 0.6% 2025.07.24.
-
시니어 위한 'KB골든라이프센터' 전국 12개 센터로 확대 2025.07.23.
-
배추 31.1%, 돼지고기 9.5%…지난달 먹거리 생산자물가 줄줄이 올라 2025.07.22.
-
NH농협은행, 소기업·소상공인에 연내 4.5조 규모 금융지원 2025.07.15.
-
은행 가계대출 창구 더 조인다…중소기업 대출 문턱도 높게 유지 2025.07.15.
-
동양·ABL생명 모두 '우리'금융…임직원 400여 명 한자리에 2025.07.13.
-
KB금융 경영진, 고객·효율·AI·포용 중심으로 성장 논의 2025.07.13.
-
불어난 가계부채에 멈춘 금리…한은 "임계 수준에 달했다" 2025.07.11.
-
이슈 메이커 이창용 총재, 이번엔 "한은도 비은행권 감독 권한 가져야" 2025.07.10.
-
IBK기업은행, 임직원 가족 정보 DB 구축 ..."내부통제 강화"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