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많이 본 뉴스
2025.10.17.~2025.10.23.
댕기자의 애피랩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김지숙이 만난 애니멀피플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기사보기
2024.11.13.
기자 Pick
추어탕 미꾸라지, 소금 비벼 죽이지 말라…세계적 윤리학자의 당부 [영상]
저명한 실천윤리학자 피터 싱어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는 수능을 앞둔 한국의 수험생들에게 마치 살아있는 예수나 부처처럼 여겨진다. 그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에는 “싱어 교수님 ‘생활과 윤리’ 과목 만점 받게 해주세요”와
1
2
3
4
5
돌고래 생태법인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기사보기
2023.11.13.
기자 Pick
제주 남방큰돌고래에 ‘인격체’를…국내 1호 생태법인 추진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국제보호종인 남방큰돌고래에 법적 권리 주체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13일... ‘법인격 부여안’은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에 직접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생태법인 창설안’은 도지사가 도의회의 동의를 받아...
1
2
3
지구 생명다양성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기사보기
2024.11.14.
기자 Pick
16m 고래 ‘사체’ 악취 풍기며 4천km 이동…보라, 인간이 한 일을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가 열리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카스피해 해안에 대형 향고래의 사체가 등장했다. 몸길이 16m에 이르는 이 사체는 실제 악취까지 풍기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인
1
2
3
4
5
개식용 종식!
기자가 직접 편집 후 발행한 영역입니다.
기사보기
2024.06.20.
기자 Pick
개식용 종식법이 행복추구권 침해? 육견협회 ‘위헌 주장’ 뜯어보니
“개 식용 종식법은 생명 존중을 지향하는 법이다. (대한육견협회는) 소모적인 헌법소원을 할 것이 아니라 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개 식용 종식 이행에 성실히 임할 것을 촉구한다.” 동물의권리를옹호하는변호사들(동변)과
1
2
3
4
전체 기사
-
‘공해 보전 국제조약’, 내년 초 발효…‘30X30 협약’ 발판 마련 2025.09.22.
-
‘긴팔 챙기세요’…아침 최저 12도, 큰 일교차 주의 2025.09.22.
-
포유류·조류처럼 파충류도 ‘기분’을 느낄까? 2025.09.21.
-
야생 침팬지는 애주가?…발효 과일 에탄올 ‘하루 14g’ 마신다 2025.09.18.
-
새만금·파주에 돌아온 ‘야생’… 국내 첫 ‘리와일딩 콘퍼런스’ 2025.09.18.
-
동물은 ‘접촉’을 견딜 뿐… “도마뱀·뱀 만지면 고통받아” 2025.09.17.
-
‘멸종 위기 1급’ 검독수리 번식 둥지, 77년 만에 제주서 확인 2025.09.17.
-
‘공항 건설’ 취소 그다음은?…“수문 열어 새만금 되살려야” 2025.09.14.
-
‘압사 지옥’ 닭장 계속 쓰자는 국힘…“국민 건강도 위협” 2025.09.12.
-
‘개구리 인형’의 날카로운 질문… “동물학대 콘텐츠 어쩌실 겁니까” 2025.09.10.
-
“물고기도 고통 느끼고 감응력…‘어류 복지’ 법에 담아야” 2025.09.10.
-
‘개식용 종식’ 대만서 동물 콘퍼런스…“이젠 동물복지 당연시” 2025.09.10.
-
갈 곳 사라지게 된 사육곰 140마리…“보금자리 어디 없나요” 2025.09.05.
-
9월 맞아? 낮 최고 34도…남부 지방엔 소나기 2025.09.05.
-
목요일 출근길 빗방울… 낮 최고 33도 ‘후텁지근’ 2025.09.04.
-
아침 저녁 한풀 꺾인 더위…한낮엔 소나기, 체감온도는 33도 2025.09.03.
-
사진 맞아? 추상화보다 신비한 ‘콜리플라워 산호’의 자태 2025.09.02.
-
전국 소나기, 그쳐도 체감 33도…‘가뭄’ 강릉엔 비 와도 5㎜ 2025.09.02.
-
고통은 왜 중요한가 [유레카] 2025.09.01.
-
귀이개 닮은 벌레잡이 식물…‘자주땅귀개’의 특별한 생존 전략 2025.09.01.
기자가 직접 선정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