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 ~ 오후 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총 누적수와 다를 수 있습니다.
-
1
사람팔 파고드는 기생충 흔해진다…구더기 연구자 "공포 영화 장면 떠올라"
-
2
청계천 복원 20년, 생태계 8배 성장…"쉬리 치어 첫 발견"
-
3
출연연 연봉 톱 KIST도 못막는 이직 매년 늘어…"연봉 10대 대기업 75% 수준"
-
4
고령 산모 늘면서 임신성 당뇨 증가…자녀 당뇨·비만 위험도 높여
-
5
KAIST, 학생들이 뽑은 '우수대학 1위' …수시 지원 3년 새 2배, 경쟁률 8.47:1
-
6
대학 덮친 AI…'학습 도우미'일까 '생각의 종말'일까
-
7
환경호르몬 검출된 '공갈 젖꼭지'…정자 수 감소·암 유발 비스페놀A
-
8
ADEX에 공식 데뷔한 '우주'…스타트업 신기술 대거 첫 공개
-
9
고온초전도자석 개발하고 핵융합로 소형화…"2035년 핵융합 상용화 8대 기술 확보"
-
10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아이 면역력 약화
-
11
철로 작업자 안전 지키는 '기차 로봇'…접근 열차 센서로 조기 경보
-
12
"자꾸 끊기는 핵융합에너지 계획에 산업계·학계 위기…이행이 더 중요"
-
13
[과기원NOW] KAIST, 부드럽게 '나빌레라' 춤추는 아바타 구현 外
-
14
[1% 의사과학자]③ "짧은 호흡의 연구가 대다수…전문성 쌓일 시간이 없다"
-
15
더 가볍고 튼튼한 타이타늄합금 설계…우주항공 산업 적용 기대
-
16
KAIST 연구실 문 연다…30일 최첨단 과학 체험 'OPEN KAIST 2025'
-
17
"과학은 미래세대 위한 것...유전자가위로 기후위기 돌파"
-
18
내 몸이 기억하는 재료로 화상 치료…염증 줄고 2주만에 피부 재생
-
19
AI로 지하철 역사 전력 사용량 10% 절감
-
20
알츠하이머·암·감염병·당뇨 연결 분자 네트워크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