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에 대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에 대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한강버스와 관련 "운항 2~3년 후부터는 충분히 흑자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시장은 '한강버스'에 관한 여당 의원들의 공세가 집중된 가운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국감장에서는 취항 열흘 만에 고장 등의 문제로 중단된 한강버스의 과도한 사업 구조에 관련된 지적이 잇따랐다.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강버스 시범운항 TF 운영 당시 발전기 방전에 대한 지적이 있었는데도 고쳐지지 않아 정식 운항 때도 고장을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범운항 때 고장 사항에 대한 조치 자료를 서울시에 달라고 했더니 민간사업자(주식회사 한강버스) 추진 사항이라 자료가 없다고 답했다"면서 오 시장이 안전 사항을 제대로 챙기지 않고 정식 운항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없다고 보고받았다"면서 "(한강버스 참여업체) 이크루즈가 선박 운항의 기술적 노하우를 갖고 있어 세부적인 고장 등은 실무자 차원에서 확인할 일"이라고 답했다.

이연희 민주당 의원은 한강버스 중 전기추진체로 작동하는 일부 선박과 관련해 "배터리가 물에 취약하고 열폭주 위험이 크다"며 "여름 폭염 시기에도 안전한지 시험했나"라고 질의했다.

신영대 의원도 "시범운항 당시 자료를 보니 배터리 화재 진화가 어려운 분말소화기만 비치돼있고 화재 시 연쇄 폭발을 막기 위해 상방향으로 폭발을 유도한다고 돼 있다"며 "위쪽에 승객이 탄 선실이 있는데 상방향 유도라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선박에 쓸 수 있는 것 중 가장 안전한 배터리를 썼고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을 통해 여러 차례 기술적으로 안전하다고 확인했다"며 "화재 대응 매뉴얼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한강버스 12대 중 4대가 배터리 전기 추진체인데 국내에서 최초가 아니라 다른 사례가 있다"면서 "각별히 신경 쓰겠다"고 밝혔다.

이건태 민주당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한강버스에 담보 없이 876억원을 대출했다며 "지방공기업법 위반이자 배임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용기 의원도 SH가 은행으로부터 500억원을 대출받는 과정에서 컴포트 레터(comfort letter)를 써줬다면서 "한강버스가 망하면 선박을 SH가 다 사고 빚을 갚아준다고 보증을 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담보는 없지만 법적으로 상환받을 방법이 다 강구돼있다"면서 "저희 판단으로는 운항 2∼3년 후부터는 충분히 흑자가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오 시장은 한강버스를 '오 시장의 꿈을 이루기 위한 사업'이라고 한 여당 의원 발언에는 "시장 개인의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이라고 전제하시는데, 한강 근처에 사는 분만 아니라 전 시민이 가까이서 한강을 만끽할 기회를 고루 드리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시작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