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JP모건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발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대기업들이 트럼프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을 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근 신호"라고 해석했다.
JP모건은 13일(현지 시간) 미국의 국가 경제 안보와 회복력에 핵심적인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10년간 총 1조5000억 달러(약 2142조원) 규모의 대출·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JP모건은 이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내 선별된 기업들의 성장 촉진, 혁신 가속화, 전략적 제조업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최대 100억달러(약 14조원) 규모의 직접 지분투자 및 벤처캐피털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투자 대상인 4가지 핵심 분야로 ▲ 핵심 광물과 로봇공학 등을 포함한 공급망 및 첨단 제조 ▲ 방위 기술, 자율주행 시스템, 드론, 보안 통신 등을 포함한 국방·항공우주 ▲ 배터리 저장, 전력망 복원력 등을 포함한 에너지 ▲ 인공지능(AI)과 사이버 보안, 양자컴퓨팅을 포함한 첨단·전략적 기술 분야를 제시했다.
JP모건이 투자할 수 있다고 밝힌 기업 중에는 컴퓨터 칩, 전기차 등을 만드는 데 필요한 희토류 생산업체들이 포함돼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JP모건은 투자 대상 기업들이 주로 미국에 본사를 둘 것이라고 했다.
중국이 세계 시장을 장악한 희토류는 미국의 약점으로 꼽혀왔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추가로 내놓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내달부터 부과하겠다며 엄포를 놨지만 이후 유화적인 메시지를 보내며 한발 물러서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이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 제품 및 제조 분야에서 신뢰할 수 없는 공급원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된 현실이 고통스럽게 명백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안보는 미국 경제의 강건함과 회복력에 달려 있다"며 "미국은 더 빠른 속도와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이먼 회장은 발표 후 기자들과의 통화에서 "세계 안보를 확보하려면 미국이 매우 강해야 한다"며 "미국이 강하지 않으면 세계 안보도 없다"고 말했다고 FT는 전했다.
JP모건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안보를 지키는 데 중요하다고 평가한 기업들에 대한 정부 투자에 관여해 왔다.
JP모건은 지난 7월 골드만삭스와 함께 미국 최대 희토류 생산업체인 MP머티리얼스에 10억달러를 대출하기로 했다.
WSJ은 이같은 자금 지원이 미 국방부가 MP머티리얼스의 최대 주주가 된 것과 연계해 이뤄졌다면서 애플, 제너럴모터스(GM) 같은 기업에 희토류 자석을 공급하기 위한 신규 공장 건설에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날 JP모건 발표 후 관련주도 들썩였다.
특히 뉴욕증시에서 리게티 컴퓨팅(25.02%)과 디웨이브 퀀텀(23.02%), 아르킷 퀀텀(20.09%) 등 양자컴퓨팅 대표 기업들의 주가가 20% 넘게 상승했다.
아이온큐(16.19%)와 퀀텀 컴퓨팅(12.86%)도 10%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양자컴퓨팅 관련 종목들의 주가에는 JP모건의 장기 투자 계획 발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