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규제 적용안됐던 카드론
6·27 대책으로 DSR에 포함
올해 7·8월 카드론 취급액
작년 같은기간 대비 1조 감소
카드사 3·4분기 실적 '흐림'
6·27 대책으로 DSR에 포함
올해 7·8월 카드론 취급액
작년 같은기간 대비 1조 감소
카드사 3·4분기 실적 '흐림'
17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전업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우리·하나·롯데·BC·NH농협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5월 이후 8월까지 계속 하락했다. 5월 42조6571억원이었던 카드론 잔액은 8월엔 42조4484억원을 기록했다.
카드론이 꺾인 것은 6·27 부동산 대책 영향이 크다. 카드론은 이자 부담이 크고, 신용등급 산정에서도 불리해 원래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이 사용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대출을 조이면서 규제 밖에 있던 카드론은 '영끌'(영혼까지 끌어다가 자금을 마련한다는 뜻) 수요에 힘입어 크게 늘어났다.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을 다 받아도 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이 규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카드론을 쓴 것이다.
문제는 6·27 부동산 대책에서 정부가 카드론도 대출규제로 묶었다는 것이다. 당초 카드론은 대출한도를 결정하는 DSR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때부터 신용대출로 간주하면서 들어가게 됐다. 여기에 7월 1일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까지 더해졌다. 규제 발표 후인 7월과 8월 주요 카드사들의 카드론 취급액을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보면 드라마틱하게 줄었다.
매일경제가 여신금융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8개 전업카드사의 올해 7~8월 카드론 취급액은 4조945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6조2772억원)보다 1조원 이상(26.9%) 감소한 것이다.
특히 우리카드와 롯데카드는 작년 대비 취급액이 30% 넘게 줄었다. 롯데카드는 올해 7~8월 카드론 취급액이 703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조281억원) 대비31.5%나 감소했고, 우리카드 역시 작년 7~8월 8232억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5328억원까지 35.2%나 떨어졌다.
문제는 카드론이 카드사 수익의 중요한 축이었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카드사별 카드론 자산 비중은 우리카드가 33.7%, 현대카드가 25.8%, KB국민카드가 24.3%에 달한다. 카드업계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본업 수익성이 약화되자 고금리 카드론으로 수익을 보전해왔다.
하지만 이번 규제 강화로 카드론 잔액이 빠르게 줄면서 수익 구조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마케팅 비용 감축, 조직 효율화 등 내부 비용 절감으로 버텨왔지만, 이 역시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평가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6·27 대출규제에 이어 이번 대출규제 내용 중 주담대 스트레스 금리 3.0% 이상 확대 적용으로 DSR 증가가 예상되고 대출한도가 줄어들게 된다"며 "지속적인 대출규제로 카드론 취급액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권선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