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으로 인해 경비수요가 폭증하면서 이태원 참사 당일에 경비 인력이 이태원에 전혀 배치되지 못했다는 공식적인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의 대응 부실 문제도 확인됐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홍선기 기자!
정부의 합동감사 결과가 발표된 거죠.
[기자]
정부가 지난 석 달 동안 진행한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합동감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이태원 참사 합동감사 TF는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으로 용산경찰서의 경비 수요가 폭증하면서 경비 공백이 생겼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 근거로 대통령실 인근의 집회와 시위 건수를 예로 들었는데요.
대통령실이 옮겨온 뒤 6개월 동안 용산경찰서 관내 집회·시위 건수는 921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무려 26배나 늘었다는 겁니다.
이로 인해 용산서는 참사 당일에 이태원 일대에 경비인력을 전혀 배치하지 않았다는 게 합동감사TF의 설명입니다.
실제로 용산경찰서는 2020년과 2021년에는 수립했던 핼러윈데이 대비 이태원 인파관리 경비 계획을 참사가 일어난 2022년에는 세우지 않았습니다.
경찰 대응의 문제점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는데요.
참사 발생 직전 압사 위험을 알리는 다수의 112 신고가 접수됐는데도 이를 간과하거나 부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결국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지적입니다.
참사 발생 이후 서울시와 용산구청의 문제점도 확인됐습니다.
용산구청은 심지어 상황실 근무자가 서울종합방재센터로부터 압사사고 관련 전화를 받고도 방치하는 등 초동 보고체계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 역시 참사 발생 3시간 가까이 지나서야 회의를 개최하는 등 주요 책임자들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않은 점도 지적됐습니다.
용산구청은 경찰 수사 결과 직무상 비위 확인된 7명에 대해 행정 처분 요청을 받고도 아직까지 징계 등 행정처분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시 역시 용산구가 징계 요구한 재난대응책임자에 대해 공식절차 없이 징계 보류를 결정했고, 결국 해당 책임자는 징계 없이 정년퇴직했습니다.
정부합동TF는 이번 감사를 통해 비위가 확인된 경찰 51명과 서울시청과 용산구청 관계자 11명에 대해 징계 등 상응하는 조치 요구할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총리실에서 YTN 홍선기입니다.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