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서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국정감사를 열었습니다.
지난해부터 캄보디아에서 납치되거나 감금됐다는 신고 5백여 건 가운데 100건가량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사관 부실 대응이 질타를 받았습니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이승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관에서 열린 국정감사.
한국인 대상 납치 감금 범죄를 둘러싼 대사관 대응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대사관은 지난 2년간 범죄 신고가 폭증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수/주캄보디아 대사대리]
"24년에는 220여 명, 올해는 8월 말 기준 이미 330명을 넘어서는 등 폭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백 건 정도가 행방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범죄에 대한 신고였냐'는 질문에 '알 수 없다'며 엉뚱하게 피해자를 탓했습니다.
[홍기원/국회 외교통일위원(더불어민주당) - 남석현/경찰 영사]
"<감금 신고인지 실종 신고인지 연락 두절 신고인지 납치된 건지 데이터 냈어요?> 연락 두절이기 때문에 피해자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끝내 대사 대리가 나서서 사과했습니다.
[김현수/주캄보디아 대사대리]
"상세한 부분까지 챙기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제 발로 찾아온 '연애 빙자' 사기 한국인 총책을 붙잡기 위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을 두고도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준형/국회 외교통일위원(조국혁신당)]
"적색수배 사실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자수를 권유합니다. 자수할 리가 있습니까? '모양새가 안 좋다', 참 기가 막힙니다."
숨진 대학생 박 모씨 사건을 제대로 보고했는지를 두고도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대사관 측은 '심각한 사안'으로 보고했다고 했지만, 정작 외교부 장관의 말은 달랐다는 겁니다.
[송언석/국회 외교통일위원(국민의힘)]
"장관과 영사국장의 답변이 전혀 상반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히 위증이다…"
경찰관 등 5명으로는 한국인 범죄 대응이 어렵다며 인력 증원 요구도 나왔지만, 한두 명 추가한다고 사태 해결이 가능하겠냐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프놈펜에서 MBC뉴스 이승지입니다.
영상취재: 장영근 / 영상편집: 박찬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이승지

"납치·감금 100명가량 행방 묘연"‥'부실 대응' 질타
"납치·감금 100명가량 행방 묘연"‥'부실 대응' 질타
입력
2025-10-22 20:11
|
수정 2025-10-22 21:07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