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MBC가 수도권 집값이 급등한 최근 석 달 동안, 서울에서 집을 산 사람들의 자금 출처 분석 자료를 입수했습니다.
무려 1천5백 건의 거래에서 가족이나 지인에게 현금 지원을 받아 집을 산 사실이 드러났는데요.
그래서 어제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선, 앞으로는 현금 부자들만 집을 살 수 있게 됐다며, 이제는 부동산 세제를 개편할 때가 됐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윤수한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
◀ 리포트 ▶
A 씨는 최근 서울 서초구 아파트를 매수했습니다.
자금 출처를 물었더니 34억 원을 가족에게 빌릴 거라고 했습니다.
비슷한 시기 압구정동 아파트를 사들인 사람도 가족에게 28억 원을 빌렸습니다.
지난 6월부터 석 달 동안 서울에서 집을 산 사람들의 자금 출처를 분석했더니, 가족이나 지인 찬스로 집을 산 사람이 1천5백 명이 넘었습니다.
송파구가 178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남구와 용산구, 서초구 등 특히 한강 주변 인기 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강남과 서초구에서는 평균 3억 원가량 가족의 도움을 받아 집을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출을 조여도 현금 부자들은 방법을 찾아내 집을 산 겁니다.
[조진호/공인중개사 (서울 성동구)]
"'똘똘한 한 채'나 또는 고가 주택 이런 부분들은 현금을 가지신 분들한테는 (이번 대책에도) 큰 제약이 없고‥"
돈이 있는 사람이 집을 사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서울의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폭등한 상황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대출을 최대한도로 끌어 투기적 구매에 동참할 이유는 없습니다.
투기 수요를 차단해 집값을 정상화하려면, 세금을 공정하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부동산 보유세 실효세율은 0.15%로 OECD 평균의 절반 이하 수준입니다.
[윤종군/국회 국토교통위원]
"파격적인 투기 억제책을 발표하지 않았습니까? 더불어서 세제 개편도 병행을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대통령실 최고위 참모가 "보유세가 낮은 것은 사실"이라고 밝힌 데 이어, 국토부 차관도 보유세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이상경/국토교통부 차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보유세를 강화한다든지 하면 고가주택을 가진 세대는 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거든요."
시민단체들은 규제 지역을 지정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가 부동산 과세 체계 정비에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윤수한입니다.
영상취재: 정영진 /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윤수한

[단독] 서울 주택 거래 1천5백 건, 가족·지인 찬스로‥"보유세 개편 해야"
[단독] 서울 주택 거래 1천5백 건, 가족·지인 찬스로‥"보유세 개편 해야"
입력
2025-10-16 19:57
|
수정 2025-10-16 20:01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