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시뉴스와경제">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5시뉴스와경제
기자이미지 김재경

첫 유엔 기조연설‥한반도 평화 구상 'END' 제시

첫 유엔 기조연설‥한반도 평화 구상 'END' 제시
입력 2025-09-24 16:57 | 수정 2025-09-24 17:10
재생목록
    ◀ 앵커 ▶

    지난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섰습니다.

    이 대통령은 12.3 내란을 극복한 과정의 역사적 의미와 유엔 정신의 역할을 평가하고, 교류와 비핵화, 관계 개선을 축으로 한 한반도 평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뉴욕에서 김재경 기자가 전합니다.

    ◀ 리포트 ▶

    광복 80년인 한국과 창설 80년을 맞은 유엔.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의 지원을 발판 삼아 민주주의를 꽃피운 한국이 곧 유엔의 존재가치를 증명한다며 연설을 열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유엔의 도움으로 분단의 상흔과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업화를 일궈내고, 민주주의를 꽃피웠습니다."

    지난해 12·3 내란을 막아내고 '민주 대한민국'으로서 국제사회에 복귀한 것도 유엔 정신의 연장선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습니다."

    남북 관계에 소극적이었던 지난 정부에서 달라진 새 정부의 대북 정책도 설명했습니다.

    남북 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적대행위를 중단해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의 악순환을 끊어내겠다는 겁니다.

    [이재명 대통령]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구상은 E.N.D 이니셔티브란 이름으로 제시했습니다.

    교류·정상화·비핵화의 영어 앞 글자를 딴 E.N.D로 싸울 필요가 없는 확실한 평화를 이루겠다고 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E.N.D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인 대화로 한반도에서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END)하고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 가야 합니다."

    북한 비핵화에 대해선 외신 인터뷰에서 밝힌 대로 중단에서 축소, 폐기로 이어지는 3단계 해법을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내란을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한 한국이 국제사회에 복귀했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80년 전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았던 대로, 한국 역시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나누는 선도 국가가 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김재경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