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고성문화재단"> 보도자료 | 고성문화재단 | 고성문화재단, 고성군, 달홀문화센터, 달홀영화관, 아카이브,"> 보도자료 | 고성문화재단 | 강원도 고성문화재단 재단사업, 아카이브, 고성군문화시설, 생활예술지원"> 가을 바다와 명태, 고성 축제의 새로운 항해가 시작되다 > 보도자료 | 고성문화재단

가을 바다와 명태, 고성 축제의 새로운 항해가 시작되다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HOME


가을 바다와 명태, 고성 축제의 새로운 항해가 시작되다

본문

 


 

924일 제25회 고성명태축제 최종보고회 마쳐

대한민국 음식장인과 협업한 명태라운지에서 다양한 명태음식 선보여

다채로운 체험, 브랜드 공간 연출, 모빌리티 강화로 문화관광형 축제 준비

 

❍ 고성군(군수 함명준)과 고성문화재단은 지난 924일 고성군청에서 열린 최종보고회에서 제25회 축제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25회 고성명태축제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개최된 이날 보고회에는 함명준 고성군수와 신영균 고성명태축제위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해 축제의 준비 상황과 새로운 전략을 공유하며 본격적인 축제 출항을 알렸다.

❍ 올해 축제는 1017일부터 19일까지 거진11리 해변에서 열린다. 25주년을 맞은 이번 행사는 단순한 먹거리 축제를 넘어, ‘브랜드와 정체성을 강화한 체험형 축제로 변신을 선언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재단은 군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전통의 재발견과 체험성 확대를 주제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 전통의 재발견은 명태주제관, 명태추억 이야기 경연대회, 고성어로요체험관, 명태할복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체험성 확대도 시도했다. 대한민국 음식장인과 협업한 명태라운지, 벽화무대와 연계한 명태소원지’, 해변특설 공간으로 꾸민 명태비치바가 운영된다. 특히 이들 공간은 단순한 몽골텐트를 넘어 축제의 브랜드와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구조물로 조성되어 가을 바다 풍광과 어우러지는 축제장 분위기를 연출한다.

❍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축제장을 거진읍과 연결하는명태열차와 어선버스다.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지역 상권과 생활문화를 직접 체험하도록 고안된 장치다.

❍ 행사장 공간 역시 달라졌다. 해변 조망을 위해 기존 텐트 구조를 재배치했고 메인무대는 끝으로 이동해 동선을 넓혔다. 행사장 입구는 일루미네이션 게이트와 포토존이 설치돼 체류형 축제의 분위기를 높일 예정이다.

❍ 또 하나의 실험은 참여형 인증제다. 활어맨손잡기와 어선버스, 명태할복체험은 고성군 내에서 1만 원 이상 소비한 영수증이 있어야 참여할 수 있다. 축제를 단순한 소비 행사가 아닌 지역 경제 순환의 장으로 만들려는 시도다.

❍ 함명준 고성군수는 보고회에서 “25년간 이어온 명태축제가 이제는 새로운 항해를 시작한다고성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축제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고성문화재단 축제공연팀 033-681-0121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고성문화재단 조회 74회 작성일 25-10-01 09:10

문화 반상회
일상 다반사
  • 고성문화재단 블로그
  • 고성문화재단 페이스북
  • 고성문화재단 인스타그램
  • 고성문화재단 카카오채널
  • 고성문화재단 ,유투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