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의 연뮤덕질기](53) ‘나’를 연기하는 배우들, ‘현실’ 비춘 무대극



주간경향

공유하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X

  • 이메일

보기 설정

글자 크기

  • 보통

  • 크게

  • 아주 크게

컬러 모드

  • 라이트

  • 다크

  • 베이지

  • 그린

컬러 모드

  • 라이트

  • 다크

  • 베이지

  • 그린

[이주영의 연뮤덕질기](53) ‘나’를 연기하는 배우들, ‘현실’ 비춘 무대극

입력 2025.08.01 14:21

수정 2025.08.04 10:08

펼치기/접기
  • 이주영 문화칼럼니스트·영상학 박사

연극 <삼매경>·<미러>,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연극 <삼매경>의 무대는 여러 층위가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입체 공간이다. 도념 역의 지춘성 배우와 코러스는 한 공간에 존재하지만, 다른 시공간에서 이야기를 나눈다. 국립극단 제공

연극 <삼매경>의 무대는 여러 층위가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입체 공간이다. 도념 역의 지춘성 배우와 코러스는 한 공간에 존재하지만, 다른 시공간에서 이야기를 나눈다. 국립극단 제공

잡념을 떨치고 어느 한 대상에 몰입해 도달하는 과정을 ‘삼매경(三昧境)’이라 한다. 여기서 ‘삼매’는 산스크리트어 ‘samādhi’의 음역으로 자아와 대상을 초월한 ‘무아의 경지’다. 정치·사회 문제에 휘둘려 제대로 본질에 다가서지 못했던 공연예술계가 다시 예술의 본질, 예술가들의 현실과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예술활동 확장에 고심하는 모양새다. 여러 층위를 넘나들고 경계를 허물어가면서 자신을 ‘응시’하는 최근 무대극들이 그러하다. 예술 자체를 돌아보고 질문하는 사유의 장은 어느새 예술가와 관객의 경계를 허물고 사회 전체를 돌아보게 한다. 연극 <삼매경>,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연극 <미러> 등이 그러하다. 이 작품들은 연극의 연극, 뮤지컬의 뮤지컬을 통해 ‘나’를 돌아보고 동시대 문화예술계의 현재를 되묻는다.

관객은 공동 창작자?

연극 <삼매경>(이철희 재창작·연출, 이태섭 무대, 김창기 조명, 이경구 움직임)은 함세덕 작가의 1939년 희곡 <동승>에서 비롯됐으나 구조는 전혀 다르다. 심연과 육신, 시간과 공간, 은유와 상징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층위를 생성한 원작 해체극이다. 중심에는 1991년 연극 <동승>으로 당시 주요 상을 휩쓸었던 도념 역의 배우 지춘성의 실제 삶이 있다. 그로부터 34년이 지나 환갑에 이른 현재의 지춘성은 당시의 도념을 돌아보며 연극에 대한 꺼지지 않는 열정과 원작 속 어머니와 주요 캐릭터들, 이철희 연출이 시각화하고 물질화한 허구와 실재 사이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돌아본다.

영화로도 익숙한 <동승>은 어린 구도자의 속세에 대한 그리움과 환상을 담은 낭만주의 작품이다. 이를 원작으로 한 <삼매경>은 정반대에 위치한다. 동시대 연극인들이 해석하는 마임으로 삼라만상을 연극성으로 시각화하고, 명동예술극장의 무대 메커니즘을 활용한 입체적 무대 미학을 통해 여러 층위의 시공간을 VR처럼 체험하게 이끈다. 25세 배우 지춘성의 도념 해석에 대한 아쉬움은 환갑인 현재의 지춘성이 바라보는 도념에 대한 성찰로 대체된다. 이는 다시 미래에, 삼도천을 건너는 사후 지춘성의 깨달음으로 마무리되며 여러 시공간으로 분열하고 다시 중첩한다. 극 안으로 들어간, 허구 속 도념은 코러스 배우들의 재해석을 통해 여러 모습으로 재연되며 다양한 욕망을 발산해 극적 재미를 배가시키기도 한다. 겹겹이 쌓인 시공간을 가닥가닥 구분하는 미학적 장치는 무대 한쪽을 관통하는 거대한 기둥과 똑똑 물방울이 떨어지는 연못, 무대 아래에서 천장까지 승강기처럼 오르내리는 무대 안의 무대와 점멸하다 꺼지거나 켜지는 비상구라는 표식이다. 이런 시각적 장치들에 기대 극에 몰입하다 보면 130분의 인터미션 없는 러닝타임이 끝나버린다. 극의 마지막, 허상 속 도념은 자신의 이야기는 여전히 미완성임을 인식하고,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연극에 대한 열정을 각인한 채 삼도천에서 어머니와 조우한다.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의 오프닝인 전체 출연진들의 탭댄스 추는 다리 장면. 관객들은 이 장면에 몰입하면서 관객으로서, 쇼 무대를 향한 예술가의 열정을 여러 경로로 체험한다. CJ ENM·샘컴퍼니 제공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의 오프닝인 전체 출연진들의 탭댄스 추는 다리 장면. 관객들은 이 장면에 몰입하면서 관객으로서, 쇼 무대를 향한 예술가의 열정을 여러 경로로 체험한다. CJ ENM·샘컴퍼니 제공

<삼매경>에 도념이 있다면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오루피나 연출, 최재광 음악, 권오환 안무, 서숙진 무대, 김영빈 조명)에는 페기 소여(유낙원·최유정 분)가 있다. 시골에서 상경해 배우의 꿈을 꾸고 모든 역경을 이겨내며 주역으로 성장해가는 순수한 캐릭터다. 영화 <42번가>(1933) 원작으로 미국 대공항기 슬럼가였던 브로드웨이 42번가를 활기와 에너지의 공간으로 바꾼 당시 공연예술가들의 무대 뒤 이야기를 담아낸 라이선스 작품이다. 국내에서 16번째 시즌에 이르면서 매 시즌 예술가를 꿈꾸는 청년들을 양산해냈다. 특히 오프닝 막이 올라가면서 멈추는 구간, 탭댄스를 추는 배우들의 일사불란한 다리에 집중하는 장면은 작품의 백미다. 어떤 난국이 쏟아져 내려도 뜨겁게 예술에 몰입하겠다는 우렁차고 요란한 시각화다.

전통적인 쇼 뮤지컬의 형식을 갖추고 있지만 백스테이지의 노동과 소외, 불안정성을 통해 쇼의 허상을 드러낸 이 작품은 올해 처음으로 줄리안 마쉬(박칼린·박건형·양준모 분)에 젠더프리를 시도하면서 세밀한 변화를 주었다. 정서적인 교감을 더 중시하는 최근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무대를 가득 메운 앙상블이 커튼콜에서 객석으로 쏟아져 나와 땀과 호흡을 공유하며 쇼 뮤지컬 배우들의 현실을 감각하게 하는 마무리는 공연이 단지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꾸려가는 것’이라는 예술의 본질을 상기시킨다.

연극의 윤리 고백하는 ‘거울’

연극 <미러>는 위장 결혼극을 통해 자기 반영적 성찰을 인식하는 관객 참여극이다. 엠비제트컴퍼니 제공

연극 <미러>는 위장 결혼극을 통해 자기 반영적 성찰을 인식하는 관객 참여극이다. 엠비제트컴퍼니 제공

연극 <미러>(샘 홀크로프트 원작, 성수정 번역, 김태형 연출·윤색, 김미경 무대, 박성희 조명)는 가상의 군부 독재국가가 배경이다. 전 국민이 감시체계하에서 일거수일투족 허가를 받아야 한다. 관객들은 표면적으로 ‘허가된 결혼식’에 참석한 하객들이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결혼식은 ‘위장’임이 드러난다. 관객들은 표현의 자유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예술가들의 한판 ‘푸닥거리’에 참여한 동조자로 변신한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극작에 반영한 신진 작가 아덤(최호승·박정원·안지환 분)과 이를 듣기 좋고 보기 좋게 재해석(?)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백스(안창용·김세환 분)가 이 모든 것을 검열하는 문체부 관리 첼릭(김재범·김도빈·주민진 분)과 담당 공무원 메이(이서현·조은정 분)에 의해 실체를 드러낼수록 관객의 위치는 함께 공감하고 성찰하는 주체성을 획득한다.

등장인물들 역시 마찬가지다. 주례사로 시작해 극의 리더로, 극중극의 악역을 넘나드는 첼릭과 신랑에서 극중극의 주역인 신진 작가로, 숨겨진 배역을 담당한 아덤, 결혼식 들러리에서 베스트셀러 작가로 변신하는 백스, 웨딩드레스를 입은 신부에서 군복차림으로 퀵 체인지하는 메이 등 4명의 출연진 또한 여러 층위의 시공간을 넘나든다. 여기서 중심에 있는 등장인물은 다시 관객이다. 무대석 관객들은 부지불식간에 공모자로 극 안에 들어서면서 무엇이 진실이고 예술인가에 대해 설계하고 공론화하는 내부자가 된다. 예술가가 스스로를 검열하는 ‘자기표현의 불안’을 무대 위에서 관객들이 함께 연기하는 참여극이다. 또한 충격적인 결말은 관객 모두가 함구하는, 공동 비밀을 간직한 연극 밖의 공모자이기도 하다.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는 “현대 관객은 이미 세계의 한 부분이다. 단순한 관찰자가 아니라 이야기의 공범”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관객들은 이들 작품을 통해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새로운 공동 창작자가 된다. 공연예술에서 관객은 더 이상 ‘구경꾼’일 수 없다. 이 작품들은 모두 자기 반영적 체험을 선사하며 관객에게 적극적으로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삼매경>의 도념처럼, 도념을 연기하는 배우 지춘성처럼 원하는 무언가에 뜨겁게, 평생 매달려본 적이 있는가? 도념을 통해 재인식하는 삼라만상의 아름다움과 생사의 덧없음, 그럼에도 유의미한 연극에 대한 열정은 고스란히 관객들에게 전이된다. 지금의 배우들은 ‘다른 누군가’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연기하고 있다고. 무대는 타인을 재현하는 곳이 아니라 자신을 마주하는 곳이라고. 이는 유통 역할에 머물러 있는 공공극장의 제작극장화 문제나 예술인 지원금 제도 등 예술계 현안에 대한 재인식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결국 예술가이자 관객인 ‘나’에게 도달하는 길을 찾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삼매경>은 8월 3일까지, <미러>와 <브로드웨이 42번가>는 9월 14일까지 상연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