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자 1400만 시대가 됐지만 주식을 사고팔 때 사업보고서를 확인하고 투자하는 이는 손에 꼽힌다. 수백여 쪽에 달하는 데다, 어려운 회계 용어가 뒤섞여 있어 골머리가 아프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연수원 겸임교수인 박동흠 회계사는 투자에 사업보고서를 십분 활용한다. 그는 처음부터 투자를 잘하려고 회계를 공부했다. 적어도 기업 분석을 할 줄 알고 숫자를 확인한 뒤 투자하면 돈을 잃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법’ ‘박 회계사처럼 공모주 투자하기’ 저자인 박 회계사는 “사업보고서는 기업 펀더멘털을 확인하는 기본 요소”라며 “여천NCC나 롯데케미칼의 유동성 문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번듯한 기업 역시 재무건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투자한 회사의 연간 사업보고서는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기본적으로 사업보고서에는 회사의 사업 내용과 재무제표가 포함돼 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로 다시 나뉜다. 박 회계사는 “사업보고서에는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뿐 아니라, 속한 산업계 흐름에 대한 설명이 ‘기타 참고 사항’에 들어 있다”며 “기업의 안정성을 확인하려면 재무상태표를 봐야 하고, 성장이 거론되는 기업은 손익계산서를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에게 한화, HD현대중공업, 쿠팡의 사업보고서 분석을 부탁해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팁을 정리했다.
#1 한화가 특별한 지주사인 이유
‘주식으로 지배하는 회사’를 의미하는 지주사가 주목받는 이유는 상법개정안 통과 때문이다.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높은 지주사 특성상 대주주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평가를 받아 주가가 저평가됐기 때문이다. 법 통과 후 소액주주의 의결권 가치가 높아질 거라는 기대감에 지주사 주가가 치솟기 시작했다. 이 중 한화는 올해만 178.31% 상승했다(8월 20일 종가 기준). 두산(91.70%), CJ(53.03%), SK(37.50%)와 비교해도 높은 수치다.기본적으로 한화가 주목받는 이유는 올해 섹터를 주도하는 조선·방산 회사를 계열사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박 회계사는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연결 재무제표상 한화 자산총계는 252조 원이고 손익계산서상 매출액 역시 55조 원에 달한다”며 “여기엔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 등 최근 주목받는 조선·방산 기업뿐 아니라, 한화증권·한화손해보험 등 자산이 많은 금융 계열사도 포함돼 있어 지주사 중에서도 큰 규모”라고 말했다.
한화는 지주사 중에서도 독특한 위치에 있다. 이는 자회사 자산과 매출을 포함한 연결 재무제표가 아닌, 별도 재무제표의 손익계산서를 보면 확실하게 드러난다. 박 회계사는 “LG나 CJ처럼 자기 사업을 하지 않는 지주사의 경우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금, 자회사가 사용하는 기업 아이덴티티(CI) 비용 등만 매출로 잡히는데 한화는 별도 재무제표상 제품과 상품 매출, 건설 계약 수익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약산업으로 시작한 한화는 지주사 형태를 띠지만, 별도 사업을 하고 있는 사업 지주사라는 의미다.
이러한 특징은 상법개정안이 통과된 후 주가 상승에 더 큰 탄력을 더했다. 박 회계사는 “사업 지주사의 경우 쪼개기 상장 우려가 있어 기업가치가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상법개정안으로 그 길이 사실상 막혔다”며 “억눌렸던 기업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아 상승폭이 컸다”고 진단했다.
#2 조선주 상승은 연초부터 예정된 수순
박동흠 회계사. 조영철 기자
그는 1~2월 발표되는 영업실적등에대한전망(또는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실적등에대한전망) 공시를 꼭 확인한다. 이는 연초에 회사가 영업실적 가이던스를 내놓는 것이다. HD현대중공업은 1월 3일 올해 매출이 15조7959억 원 가까이 되고 수주액은 126억 달러(약 17조6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공시했다. 박 회계사는 “공시에 지난해 내놓은 전망과 실제 실적의 차이를 보여주는 표도 나와 있는데, HD현대중공업의 경우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며 “지난해보다 올해 더 많은 매출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고 공시해놓아 연초에 HD현대중공업을 주저 없이 매수했다”고 말했다.
박 회계사가 HD현대중공업을 주목한 이유는 또 있다. 사업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원재료 및 생산설비’ 항목 때문이다. 여기엔 배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철강 평균 가격이 제시돼 있다. 사업보고서에서 따르면 2022년 t당 122만 원이던 철강 가격은 2024년 95만8500원으로 하락했다. 이는 결국 상반기 역대급 영업이익 달성으로 이어졌다. 매출은 지난해 동분기 6조8717억 원에서 7조9696억 원으로 비교적 소폭 상승했지만, 영업이익은 2169억 원에서 9052억 원으로 크게 올랐다. 박 회계사는 “조선산업 특성상 매출이 늘어나면 그만큼 고정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여기에 원자재 가격까지 떨어져 큰 폭의 영업이익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공시를 통해 가이던스를 제시하는 것이 기업의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올해만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56개 기업이 전망 공시를 내놨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K텔레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시가총액 상위권 기업이 대부분이다. 박 회계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정도를 제외하고 국내 증시를 떠받치는 회사들의 전망을 알 수 있다”며 “연초에 이를 확인해 한 해 주식 농사를 계획해보길 권한다”고 조언했다.
#3 쿠팡 흑자 전환에도 주가 부진한 이유
2021년 3월 야심 차게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쿠팡은 공모가보다 81.4% 높은 63.5달러로 시초가를 형성했지만, 이후 10달러대로 고꾸라졌다. 2023년 연간 흑자로 전환하고, 매분기 매출 실적을 경신하고 있지만 8월 20일(현지 시간) 종가 기준 28.84달러로 상장 당시 열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박 회계사는 “쿠팡 사업보고서를 확인하면 그 원인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쿠팡 사업보고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공개하는 EDGA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상장사 사업보고서는 분기 보고서인 ‘10-q’와 연차 보고서인 ‘10-k’로 나뉜다. 박 회계사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이들에게 사업 내용 등이 상세하게 포함된 10-k는 한 번쯤 읽어볼 것을 권한다. 수백여 쪽 보고서 중 중요한 것은 아이템1(사업 내용)과 아이템1A(위험 요인), 아이템7(재무 상태와 경영 결과에 대한 분석), 아이템8(재무제표) 등이다. 박 회계사는 “미국 50대 기업은 재무적으로 탄탄해 사실 재정적 내용보다 비즈니스 모델 등을 확인하면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영어 독해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파일을 다운받아 생성형 AI(인공지능)에 업로드한 뒤 궁금한 점을 물어봐도 좋다”고 조언했다.다시 쿠팡으로 돌아가보자. 왜 흑자 전환에도 주가 상승에는 한계가 있을까. 2024년 쿠팡 사업보고서 재무제표를 분석한 박 회계사의 설명은 이렇다.
“2024년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총이익을 보면 제품 판매 수익은 약 81억 달러(약 11조3000억 원)인데 판매 관리비가 약 83억 달러로 역마진이 난다. 흑자는 쿠팡이츠, 쿠팡플레이 등 그 외 산업에서 번 돈에서 나왔다. 결국 구독료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인데, 내수 비중이 절대적이라 성장성을 기대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주가수익비율(PER)은 100에 달해 저렴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최근 쿠팡이 베트남 등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배송서비스 외 신사업에 몰두하는 이유 역시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 회계사는 사업보고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컨센서스를 참고해 투자하라고 권한다. 그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회사의 거시적 전망이나 재무 상황은 확인할 수 있지만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미래 성장 폭을 유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개인적으로도 야후 파이낸스나 에프앤가이드를 통해 어느 정도 선에서 정리할지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문영훈 기자
yhmoon93@donga.com
안녕하세요. 문영훈 기자입니다. 열심히 쓰겠습니다.
도전 정신과 포용으로 고려아연 세계 1위 만든 故 최창걸 명예회장
공정위, 배민·쿠팡이츠 ‘불공정 약관’ 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