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9월 16일 3449.62로 마감했다. 뉴스1
정부의 태도 변화도 큰 영향을 미쳤다. 9월 11일 이재명 대통령은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10억 원으로 강화하는 원래 안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배당을 더 많이 늘리면서 세수에 큰 결손이 발생하지 않으면 최대한 배당을 많이 하게 하는 게 목표”라며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도 입법 과정에서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2025년 세제개편안에는 배당소득 2000만 원 미만은 14%, 2000만~3억 원 이하는 20%, 3억 원 초과분은 35% 세율로 예정돼 있다.
이 두 가지 약속은 만년 저평가에 시달리던 한국 증시의 상승 잠재력을 높인 요인이 됐다. 특히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 완화는 한국 증시의 기본체력을 바꿔놓을 강력한 모멘텀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박근혜 정부가 2015~2017년 ‘배당소득 증대세제’를 도입하면서 상장기업 배당금이 급격히 늘어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그래프1 참조). 배당소득 증대세제는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이 각각 시장 평균보다 20% 높고 총배당금이 10% 이상 증가한 상장기업에 적용되는 세제로, 이들 기업에 투자한 주주들을 대상으로 최대 25% 배당소득세율을 적용했다.
배당 분리과세 최고세율 완화는 강력한 모멘텀
배당이 늘어나면 주가가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간단한 모형을 통해 살펴보자. A라는 회사는 매년 주당순이익(EPS)이 1000원이며 모든 순이익을 배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A사 배당성향은 100%다. 물론 이런 회사는 현실에서 흔치 않음을 감안하자. 이 회사가 부담하는 시장 이자율(Ke)을 10%라고 가정하면 1년이 지난 후 들어오는 배당금의 현재가치는 909(=1000÷1.1)원이 될 것이다. 그리고 2년 뒤 배당금 현재가치는 826원(=1000÷1.1²)이고, 이렇게 무한 계산하면 A사 주식 1주를 보유함으로써 얻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합계는 1만 원이 된다(무한등비급수의 합 공식을 활용하면 미래 현금흐름 합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내용을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이제 A사가 주당순이익(1000원)의 30%만 배당하고 나머지를 재투자하며 회사 이익성장률(g)은 10%로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1년 차 주당순이익은 1000원이고 배당금의 현재가치는 273원(=300÷1.1)이다. 그런데 10% 이익률을 가정했기에 2년 차 주당순이익은 1070원으로 증가해 배당금의 현재가치는 265원(=321÷1.1²)이 된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하면 3년 차 배당금 현재가치는 258원, 4년 차는 251원, 5년 차는 244원이 된다. 이 또한 미래 현금흐름 합은 1만 원이 되며, 아래에 나오는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DPS는 주당배당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