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508

..

관상과 풍수는 통한다

[안영배의 웰빙 풍수] 자연과 사람을 유기적 관계로 보는 천지인 합일 사상

  • 안영배 미국 캐롤라인대 철학과 교수(풍수학 박사)

    입력2025-10-07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베트남 다낭의 ‘마블 마운틴(Marble Mountain)’ 관광지. 목·화·토·금·수 오행을 상징하는 5개의 산을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GETTYIMAGES

    베트남 다낭의 ‘마블 마운틴(Marble Mountain)’ 관광지. 목·화·토·금·수 오행을 상징하는 5개의 산을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GETTYIMAGES

    얼굴 생김새를 보고 성격, 재능, 운명 등을 파악하는 행위를 관상(觀相)이라 하고, 산 생김새를 보고 해당 산의 기운이나 특징 등을 살피는 것을 풍수라 한다. 관상과 풍수에서 말하는 생김새는 외형뿐 아니라, 내면 기운까지 아우르는 개념이다. 흥미롭게도 두 분야 모두 오행(목·화·토·금·수)이라는 상징 도구를 사용하고 해석 방법도 동일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테면 목형(木形) 관상을 지닌 사람이나 풍수상 목형 산에 대한 해석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는 자연과 사람을 유기적 관계로 보는 동양의 천지인(天地人) 합일 사상에 근거한 것이다.

    관상과 풍수의 생김새, 내면 기운까지 아울러

    구체적으로 관상부터 살펴보자. 관상서의 고전으로 통하는 ‘마의상법’과 한의학 고전인 ‘황제내경’ 등에서는 사람의 상(相)을 오행으로 분류해 그 특징을 설명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목형인(木形人)은 여윈 듯 마르며 기다란 나무처럼 곧아야 하고, 기색은 청기(靑氣)를 띠어 수려해야 하다. △화형인(火形人)은 얼굴이 뾰족한 듯하며 마치 불꽃이 위로 타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고, 기색은 붉고 활발해야 한다. △토형인(土形人)은 얼굴이 중후하고, 살집보다 골격이 발달했으며, 기색은 누렇고 밝아야 한다. △금형인(金形人)은 얼굴이 모가 난 듯 방정하고, 뼈가 단단하며, 기색은 희고 강해야 한다. △수형인(水形人)은 얼굴이 볼록하고 동글동글하며, 살이 찐 듯하고, 원기가 차분히 가라앉은 듯해야 한다. 

    오행 관상을 얼굴 형태로만 좁혀 간략한 도형으로 묘사할 수도 있다. 목형인은 대체로 이마가 발달하고 턱이 좁은 역삼각형, 화형인은 이마가 좁고 아래 턱 부분이 넓은 삼각형, 토형인은 좌우 관골이 발달한 마름모형, 금형인은 얼굴 전체가 단정한 사각형, 수형인은 타원형 또는 둥그런 형상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캐릭터들에서 이 같은 오행 관상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왕비는 목형, 마녀는 화형, 사냥꾼은 토형, 백설공주는 금형, 난장이들은 수형의 특징을 보인다(논문 ‘음양오행사상의 관상학에 기반한 애니매이션 캐릭터 얼굴 설계 시스템 연구’ 참고). 

    다섯 가지 형상 분류법은 자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국 사람들이 즐겨 찾는 해외 여행지 중 한 곳인 베트남 다낭에는 오행 산의 형상을 한꺼번에 관찰할 수 있는 곳이 있다. ‘마블 마운틴(Marble Mountain)’으로 불리는 관광지다. 다낭 시내에서 남쪽 해안도로를 따라 8㎞가량 떨어진 이곳은 독특한 모양의 5개 산으로 유명한데, 현지인들은 이 5개 산을 오행산(Ngu Hanh Son)이라고 부른다. 각 산의 이름도 오행설에 근거해 목산(木山·Moc Son), 화산(火山·Hoa Son), 토산(土山·Tho Son), 금산(金山·Kim Son), 수산(水山·Thuy Son)으로 불린다. 1825년 응우옌 왕조의 민망(Minh Mang: 재위 1820~1840) 왕이 이곳을 방문한 후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실제로도 이름에 걸맞은 외형과 기운(에너지)을 갖고 있다. 

    먼저 다낭의 목산은 곧게 뻗어나가는 직선형 목기(木氣)를 상징하듯이 옆으로 길게 뻗어 있다. 목기는 성장과 발전, 시작과 창의성, 인재, 학문과 교육 등을 상징하는 기운이다. 이런 기운을 필요로 하는 이는 목산을 찾는 게 유리하다. 또 목형 관상의 사람 역시 목기가 강해 초년운이 대체로 좋고, 심지가 곧은 편이며, 주관이 강하다. 두뇌를 많이 쓰는 학자형이 많다.  



    다낭의 토산은 거칠거나 뾰족하지 않고 원만하게 펼쳐진 모습이다. 토기를 상징하는 묵직하면서도 중후한 기운이 산 전체에 감돌고 있다. 토산은 안정과 중심, 포용, 풍만을 상징한다. 마치 넉넉한 성품을 지닌 지도자를 연상케 한다. 실제로도 토산에서는 뛰어난 리더십을 가진 인물이 배출된다고 한다. 관상에서도 토형 관상의 사람을 신의가 있고, 매사에 신중하며, 안정과 포용을 중시하는 보수적 경향이 강하다고 해석한다.  

    오행(五行) 보여주는 다낭 ‘마블 마운틴’ 

    이처럼 다낭의 목산과 토산은 외형보다는 산이 지닌 고유한 기운을 오행으로 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나머지 3개 산은 외형에 따라 분류한 듯하다. 다낭의 화산은 작은 삼각형 산 2개가 불꽃처럼 보이는 모양으로, 불이 타오르는 모습을 본뜬 것으로 해석된다. 화산은 명예와 화려한 명성, 예술, 종교, 명상 등을 상징한다고 본다. 유명 연예인이나 예술인의 고향에 화산이 많은 것도 이런 이치다. 관상에서도 화형인은 다혈질에 급한 성격이라고 해석한다.

    금산은 금기를 상징하는 동종(銅鐘)이나 철모처럼 묵직하게 생겼다. 이것이 곡식을 차곡차곡 쌓아둔 형상처럼 보여 부봉(富峰)이라고도 한다. 모양과 이름에서 암시하듯이 금산은 재물과 부자를 배출한다고 본다. 관상에서도 방정한 모습의 금형인은 규율과 규칙을 잘 지키고, 부와 권력을 누리는 등 사회적 성공을 거둘 확률이 높다고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수산은 산봉우리 여러 개가 물결치듯 이어진 모습이다. 수산의 주 기운인 수기(水氣)는 기 에너지가 수직으로 곧게 뻗치는 느낌을 주는데 지혜, 건강, 자손 번성 등을 상징한다고 본다. 관상에서도 수형인은 지혜롭고,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으려 하며, 이재(理財)에 밝다고 해석한다. 

    이처럼 풍수의 오행산과 관상의 오형인은 불가분의 관계다. 한편으로 오행은 상생(목생화·화생토·토생금·금생수·수생목)이나 상극(목극토·토극수·수극화·화극금·금극목) 관계를 보인다. 사람들 사이에 서로 맞는 기운의 관상이 있고, 기운이 달라 서로 다투기 쉬운 관상도 있다는 뜻이다. 추석 명절에 오행 관상으로 이야기꽃을 피워보는 것도 추억거리가 될 듯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