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뉴스1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7월 16일 정 후보자에 대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노 전 대통령 일가의 비자금 조성과 역외탈세 의혹을 재차 제기했다. 장 의원은 “대법원이 2600억 원을 추징한 이후 (노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옥숙 여사가 돈이 없다고 호소했는데, 그 이후에도 152억 원을 기부한다든지 모 문화센터에 210억 원의 보험료를 낸다든지 혹은 여러 차명 아파트와 별채 부지를 증여했다”면서 “100억 원 이상 소득이 발생할 수 없는데도 이런 증여·납부 과정이 있는데, 이런 비자금은 끝까지 처벌하고 국고로 환수하는 것이 5·18 정신”이라고 주장했다. 정 후보자는 “이 자금이 제대로 회수될 수 있도록 신경 써 주길 바란다”는 장 의원의 말에 “전부 동의한다”고 답했다.
장 의원은 지난해 9월 이른바 ‘전두환·노태우 비자금 몰수법안’(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뒤 주간동아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노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 씨가 이혼소송 과정 중 재산분할을 요구하며 새로운 ‘노태우 비자금’의 존재를 밝혔지만 어떤 조사나 수사도 없었다”면서 사정당국의 엄중 대응을 촉구한 바 있다.
임광현 후보자, 의원 시절 ‘김옥숙 메모’ 의혹 제기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뉴스1
임 후보자는 서울지방국세청장과 국세청 차장을 지낸 ‘조사통’ 출신으로, 지난해 비례대표의원(민주당)으로 국회에 진출했다. 임 후보자는 그간 의정 활동 과정에서 ‘노태우 비자금’ 의혹을 규명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지난해 7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국세청 업무보고에선 김옥숙 여사가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김옥숙 메모’를 제시하고, 강민수 국세청장에게 세무조사를 촉구했다.
앞서 ‘노태우 비자금’ 의혹은 노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이혼소송 과정에서 불거졌다. 이혼소송 항소심에서 노 관장 측은 “SK㈜ 지분 등 최 회장이 선친으로부터 상속받은 재산 상당수가 노 관장의 아버지 노태우 전 대통령의 기여로 형성됐다”고 주장해 1조3808억 원의 재산분할 판결을 이끌어냈다. “아버지 노태우 전 대통령이 1991년쯤 비자금 300억 원을 최종현 전 회장에게 건네고 어음을 담보로 받았다”는 ‘300억 원 비자금’ 주장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이는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수사와 이듬해 대법원 판결에선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내용이어서 논란이 일었다.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오늘의 급등주] 한전기술, 한미 원자력 협력 기대감에 강세
율촌 노란봉투법 대응센터 “노동 현장 혼란 밝히는 기업의 ‘등불’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