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미국 ‘센 언니 화장’ 마침내 없어지나…K뷰티가 점령한 캠퍼스 풍경

신수현 기자
입력 : 
2025-10-23 07:40:0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 8월 26일 샌디에이고주립대에서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 홍보 행사가 열려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료 피부 진단 서비스와 제품 제공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이달 말까지 미국 12개 대학 캠퍼스에 오프라인 홍보관을 추가로 열어 총 18개 대학에 브랜드를 알리고 미국 젊은 층을 공략할 계획이다.

K뷰티 기업들이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미국 온라인서 진격하던 K뷰티 브랜드
대학 캠퍼스 등 오프라인서 팝업 행사
행사 시작하기도 전에 수백명씩 줄서
지난 8월 26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에 마련된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 홍보 행사장에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닥터지]
지난 8월 26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에 마련된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 홍보 행사장에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닥터지]

#지난 8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SDSU)에 마련된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의 홍보 행사장. 닥터지를 운영하는 기업 고운세상코스메틱이 미국 20·30대를 공략하기 위해 진행한 행사로, 개관 시작 시간인 10시 무렵 100여 명이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행사장을 찾은 미국 대학생에게 피부 상태 등을 무료로 진단해준 후 피부에 맞는 닥터지 제품까지 제공해 큰 호응을 받았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난달 5일 캘리포니아주립대 풀러턴에서도 비슷한 행사를 열었는데, 학생 20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았다. 지난달 29일 진행한 UC 샌디에이고(UCSD) 캠퍼스 행사장에도 1000여 명이 방문해 행사가 성황리에 끝났다.

미국에서 아마존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던 한국 화장품(K뷰티) 기업들이 브랜드 홍보 공간을 마련하거나 임시매장(팝업스토어)을 개관하는 등 오프라인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까지 고객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다.

22일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올해 8월 말부터 이달 13일까지 미국 12개 대학 캠퍼스에 오프라인 홍보관 등을 열고 미국 소비자에게 K뷰티의 혁신성과 문화를 전파했다고 밝혔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이달 말까지 미국 대학 캠퍼스 6곳을 더 방문해 총 18개 대학에 닥터지를 알릴 예정이다. 행사를 통해 확보한 대학생의 피부 유형·선호 제품 등 데이터를 토대로 미국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난 8월 26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에서 열린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 홍보 행사에 참석한 여성이 닥터지 제품을 받고 있다. [닥터지]
지난 8월 26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에서 열린 한국 화장품 브랜드 ‘닥터지’ 홍보 행사에 참석한 여성이 닥터지 제품을 받고 있다. [닥터지]

기초화장품 브랜드 ‘아누아’를 운영하는 더파운더즈는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아누아 팝업스토어를 열고 브랜드를 알렸다. 아누아가 지난해 미국 연중 최대 쇼핑 기간인 ‘블랙프라이데이’ 때 아마존에서 판매 상위권을 기록하면서 미국 시장 개척에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이다.

올해 3월에는 에이피알이 자사 미용기기(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디큐브’ 팝업스토어를 7일 동안 운영했다. 에이피알에 따르면 행사 기간 50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을 만큼 행사가 흥행했다. 한방 화장품 브랜드 ‘조선미녀’를 갖고 있는 구다이글로벌도 지난해 11월 LA에서 9일 동안 조선미녀 팝업스토어를 열고 브랜드를 소개했다. CJ올리브영은 올해 초 LA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내년에 해외 첫 오프라인 매장을 미국에 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소비자들은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데, 최근 2~3년 새 미국에서 K뷰티는 틱톡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을 통해 성장해왔다”며 “자신감을 얻은 K뷰티 기업들이 미국에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등을 열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