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과 전쟁" 종합대책 발표 정보보호 투자·인력 현황 등 내년 상반기부터 공개해야 CEO 책임 법령으로 명문화 "민간기업에만 고강도 제재 공공과는 이중잣대" 지적도
내년 상반기부터 모든 상장사는 보안 부문에 대한 투자액과 전문인력 인원 등 자사 정보보호 현황을 공개해야 한다. 또 해킹과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면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책임을 법에 명문화하는 방안이 함께 추진된다. 올 들어 SK텔레콤부터 예스24, KT, 롯데카드를 비롯해 국가 전체가 해킹의 타깃이 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칼을 빼든 대목이다.
배경훈 과학기술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2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범부처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정부는 통신, 금융, 공공에서 연일 발생한 보안 사고로 인한 현 상황을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위기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기업들의 보안 투자를 끌어내고자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을 전체 상장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은 연 매출액이 3000억원 이상인 기업 또는 일일 사용자가 100만명을 넘는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이다. 정부는 이를 대폭 확대해 모든 상장사가 매년 자사 정보보호 투자 현황을 공개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 기업은 현재 666곳에서 2700여 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배 부총리는 "보안 투자를 비용이 아닌 기업의 성패를 가르는 필수 투자로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보안 영역을 비용으로 간주하고 소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해왔는데, 이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주문한 것이다.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금융사들은 비상장사까지 공시 대상에 포함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한다.
아울러 정부는 "의사결정권자인 CEO도 해킹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설명했다. 기업 대표들의 책임을 강화하도록 CEO의 보안 책임 원칙을 법령상 명문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해킹 발생 시 기업들의 지연 신고나 재발 방지 대책 미이행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다. 앞서 KT는 해킹 사고가 발생한 지 3일이 지나 신고하고 관련 서버를 폐기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 비판의 도마에 오른 바 있다.
기업의 반복적인 정보 유출에 대해서는 징벌적 과징금도 도입할 예정이다. 현행법상 개인정보와 관련된 유출 사고에 대해서는 전체 매출의 3%가 과징금 상한이다. 배 부총리는 "영국은 매출의 10%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사례도 있다"며 "해외 사례나 연구를 통해 징벌적 과징금 규모와 강도를 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에는 기업이 침해 사실을 신고해야 정부가 조사에 나설 수 있었던 제도를 보완해 침해 정황이 확인되면 기업 신고 없이도 먼저 조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조사 권한을 확대한다.
한편 과징금 상향 등 기업에 대한 제재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온나라시스템' 침해 등 마찬가지로 해킹이 반복되는 공공 영역에 대한 제재는 미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 부총리는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무조건 제재를 통해 기업을 압박한다기보다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공공 정보보호 예산과 인력을 내년 1분기부터 확대해 공공 영역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종합대책의 시작으로 정부는 통신과 금융, 주요 공공 서비스 등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1600여 개 IT 시스템에 대해 취약점 점검을 즉각 진행한다. 해킹의 표적이 된 통신사에 대해서는 실제 해킹 방식으로 불시 점검을 진행한다.
이번 대책은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과기정통부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가 합동으로 수립한 것이다. 배 부총리는 "이번 대책은 사안의 시급성을 고려해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단기 과제 위주이며, 중장기 과제를 망라하는 대책은 연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호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교수는 이번 대책에 대해 "정보보호 공시와 함께 CEO의 책임 강화 등은 긍정적"이라면서 "다만 지금 정보보호 공시 대상 기업 중에도 보안인력이 5명 미만인 곳이 70%에 달하는 현실에서 기업들의 보안인력 확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호준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SK텔레콤
017670,
KOSPI
54,200
- 0.73%
KT
030200,
KOSPI
49,800
- 1.58%
예스24
053280,
KOSDAQ
3,760
- 0.66%
SK텔레콤현재가 54,200 -0.73%10.23 15:30
SK텔레콤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선도하는 통신사로, 5G 및 유무선 통신서비스, 데이터센터, AI 등 ICT 융합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국 단위의 통신 인프라와 대규모 가입자 기반, 자체 AI 플랫폼 등 기술 경쟁력이 주요 강점입니다.
정부는 최근 해킹 사고가 잇따른 통신사를 포함한 1600여 개 IT 시스템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보안 취약점 점검을 즉시 추진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정보보호 공시 의무 확대, 해킹 사고 대응 강화, CEO의 법적 책임 명문화 등 강화된 정보보호 정책의 적용 대상에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보안 투자 현황 공개, 전문 인력 확보, 해킹 사고 발생 시 대응 체계 등 정보보호 관련 경영 활동을 강화해야 하며, 이러한 정책 변화가 경영 및 운영 프로세스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에서는 해킹 사고 증가, 정부 규제 강화, 개인정보보호 관련 과징금 상향 등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은 통신 본업의 안정성과 신사업 성장세가 혼재되어 있으며, 정보보호 역량 강화가 기업 신뢰도와 시장 평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KT현재가 49,800 -1.58%10.23 15:30
KT는 유무선 통신, 인터넷, IPTV, 클라우드 등 다양한 ICT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통신사입니다. 전국적 네트워크 인프라와 대규모 고객 기반, 자체 데이터센터 및 IT 서비스 역량이 주요 경쟁력입니다.
KT는 해킹 사고 발생 후 지연 신고 및 서버 폐기 등으로 비판을 받은 사례가 있습니다. 정부의 정보보호 공시 의무 확대, CEO 책임 강화, 해킹 사고 시 처벌 강화 등 정책 변화는 KT의 정보보호 투자, 내부 통제, 경영진 책임 체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KT는 보안 인력 확충, IT 자산 관리 체계 강화, 해킹 사고 대응 프로세스 개선 등 경영 활동이 요구됩니다.
최근 통신업계 전반의 해킹 리스크, 정부 규제 강화,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과징금 상향 등 외부 환경 변화가 기업의 비용 구조와 평판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KT는 통신 인프라 투자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왔으며, 정보보호 역량이 향후 사업 안정성과 신뢰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스24현재가 3,760 -0.66%10.23 15:30
예스24는 온라인 도서 유통을 중심으로 공연, 음반, 전자책, 콘텐츠 플랫폼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온라인 서점 플랫폼과 공연 예매 시스템, 자체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스24는 해킹의 표적이 된 사례로 언급되었으며, 정부의 정보보호 공시 의무 확대와 CEO 책임 강화 정책에 따라 정보보호 투자, 보안 인력 확보, 개인정보 유출 대응 체계 등 경영 전반에 변화가 예상됩니다. 대규모 고객 데이터를 보유한 플랫폼 특성상 보안 투자 확대와 공시 의무 이행이 중요합니다.
외부 환경에서는 해킹 사고 증가, 개인정보보호 규제 강화, 과징금 상향 등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예스24는 전자책, 공연 예매 등 신사업 확장과 IT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해왔으며, 정보보호 역량 강화가 플랫폼 신뢰도와 고객 유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