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이재명 대통령 “공무원 미리 답 정하지 말아야”

이미연 기자
입력 : 
2025-10-16 13:52: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공직사회의 경직성을 지적하며 규제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강조했다.

‘규제에서 성장으로’라는 주제로 열린 회의에서는 바이오, 에너지, 문화 산업 관련 규제 정책이 논의되었으며, 정부의 역할을 신산업 지원의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참석자들은 각 분야에서 허가 및 심사 기간 단축, 규제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하며 경제 성장 촉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바이오·에너지·문화산업 규제혁신 논의
‘규제 패러다임 대전환’ 주문
참석자 발언 듣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참석자 발언 듣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공직자들은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다. 공무원이 미리 답을 정해놓고서 ‘이건 안 돼’라고 하지 말아야 한다”고 공직사회의 경직성을 바꿀 것을 지적했다.

이날 ‘규제에서 성장으로’라는 제목으로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핵심 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는 바이오·에너지·문화 산업과 관련한 규제 정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토의 도중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규제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꿔서, 금지해야 하는 것만 아니면 웬만큼 다 허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며 “무조건 ‘일단 안 돼’라고 할 것이 아니라 ‘일단 돼’라는 쪽으로 마인드를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발제를 맡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지금은 정부가 규제기관에서 탈피해 신산업 지원의 중심 기관으로 역할을 바꿀 시점”이라며 “경제 성장 촉진에 있어 정부가 동반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제 패러다임의 전면적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 실장은 우선 바이오산업에 있어서는 “미국은 신약 허가제를 통해 희귀·중증 질환 치료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정부가 지원하고 있다”며 “반면 한국은 연구개발(R&D) 투자 부족에 더해 복잡한 인허가 제도 등 해결할 과제가 많다”고 진단했다.

에너지 분야에 대해서도 “글로벌 에너지 시장이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이다. 유럽연합(EU)은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소의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이라며 한국도 이런 흐름에 발맞춰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각 분야별로 참가자들의 토론도 이어졌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허가·심사 기간의 단축을 위한 혁신 방안 및 줄기세포 등 첨단재생의료 기술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확산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 방향이, 문화 분야에서는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확산 속 영화 산업과 지상파 방송산업 진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