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론 생태계 붕괴 드론 부품 수입 中의존도 80% 완제품 수입 의존은 무려 96% K드론 사실상 '택갈이' 수준 업계 "韓부품 대비 가격 절반" 중국이 수출 규제 땐 속수무책
◆ 고사 위기 드론산업 ◆
국내 드론기업 A사는 감시·정찰용 드론과 물류 배송 드론 등을 제작한다. 군용 소형 무인기도 출시한 바 있는 주요 업체다. 하지만 '부품 자립'은 머나먼 얘기다. A사 관계자는 "부품 전량을 중국에서 수입해 국내 공장에서 조립만 해 판매한다"며 "부품을 자체 생산하려 해봤지만,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에 상대가 안 된다"고 토로했다.
10일 매일경제가 국내 드론 공급망을 분석한 결과 완제품부터 부품에 이르기까지 중국산 의존도가 절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무역협회 및 업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준으로 원격조종 비행만 가능한 드론(최대 이륙 중량 250g 초과 7㎏ 이하)의 경우 중국산 규모가 839만6000달러에 달했다. 전체의 96%를 차지한 것이다. 부품은 더욱 심각하다. 국토교통부의 2024년 드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와 업계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2023년 드론 부품 수입액은 6268만달러였는데 이 중 중국이 5077만달러로 81.1%를 차지했다. 압도적 1위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드론이 핵심 무기로 부상하며 세계 각국이 드론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지만, 한국은 전혀 힘을 쓰지 못하는 모양새다.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미국 소비재 드론시장에서 2020년 기준 중국 DJI 1개 기업이 77%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항공안전기술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업체는 총 6835개이고 매출 규모는 모두 1조993억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현재 국내 드론산업 규모는 미미하지만 공공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나라장터에 따르면 드론기업 낙찰 건수는 2014년에 한 건도 없었지만 2020년 370건, 지난해 426건으로 폭증했다. 올해는 7월까지 무려 381건의 낙찰이 이뤄졌다.
수요가 급증함에도 중국 의존도가 큰 것은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산 부품을 써보려 해도 가격이 두 배 이상 비싸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토로했다. 더군다나 공공 조달에서 저가 수주가 판을 치다 보니 이 역시 중국 부품이 난립할 수밖에 없는 배경으로 꼽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국내에서 조립한 후 판매하는 '택갈이' 업체가 넘쳐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아는 드론기업들은 다 택갈이를 한다고 보면 된다"고 귀띔했다.
산업계 일각에서는 중국이 드론 수출에 규제를 가하면 국내에서 '드론판 요소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요소수 사태는 2021년 중국 정부의 산업용 요소 수출 규제에 따라 국내 요소수 공급이 불안정해지며 발생한 품귀 현상이다.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사업단 단장은 "중국이 드론 부품 수출을 막는다면 농업이 마비돼 식량 안보에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이 어려워지고 국방에도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드론의 경우 중국이 언제든 수출 통제에 들어갈 수 있다 보니 문제가 더 심각하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 1일부터 민간용 드론의 핵심 부품뿐 아니라 군사적 전용 가능성이 있는 모든 품목을 포괄하는 수출 통제를 단행했다.
지난해에는 미국 드론업체 스카이다이오에 배터리 등 부품 수출 제한 통제를 가해 미국은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드론 공급 차질을 빚은 바 있다.
이런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자 국내 정부는 드론 부품 국산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2차 드론산업 발전기본계획은 2023년 국토부가 발표한 10년 단위 중장기 국가 로드맵으로 도심 드론배송 상용화, 미래 인프라스트럭처 조성, 신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 범국가적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박석종 한국드론산업협회 회장은 "드론 기체와 핵심 부품 국산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드론 실증사업 확대, 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호준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휴림로봇
090710,
KOSDAQ
6,000
+ 0.17%
제이씨현시스템
033320,
KOSDAQ
4,740
- 0.63%
퍼스텍
010820,
KOSPI
4,945
+ 5.4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KOSPI
1,049,000
+ 4.17%
휴림로봇현재가 6,000 + 0.17%10.23 15:30
휴림로봇은 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 드론 등 첨단 기기 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드론산업은 부품의 중국산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국내 업체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국내에서 조립하는 형태로 드론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드론 부품 및 기체의 국산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과 생산능력 확대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산업계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휴림로봇은 드론 관련 사업에서 국산화 정책과 공공 조달 시장 확대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사업적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제이씨현시스템현재가 4,740 -0.63%10.23 15:30
제이씨현시스템은 IT 하드웨어 유통과 드론, 로봇 등 첨단기기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드론 관련 부품 및 완제품 유통, 산업용 드론 솔루션 제공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력 경험이 있습니다. 국내 드론산업은 부품의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정부는 드론 부품 국산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드론 부품 유통 및 공급망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국산화 추진에 따른 부품 다변화, 공급 안정성 확보, 공공 조달 시장 확대 등에서 사업적 연관성이 있습니다.
퍼스텍현재가 4,945 + 5.44%10.23 15:30
퍼스텍은 국방 및 방산 분야에서 무인기(드론)와 관련된 시스템 개발, 생산,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군용 드론 및 무인 이동체, 감시·정찰 시스템 등 국방 관련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방산업체로서 정부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다.
국내 드론산업은 부품의 대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부품 국산화와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드론 부품 국산화와 실증사업 확대, 기술 연구개발 강화 등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출 규제, 국방 정책 변화,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 정책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재가 1,049,000 + 4.17%10.23 15: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우주, 방산, 드론 및 무인기 시스템 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는 대형 기업입니다. 엔진, 항공기 부품, 무인기 등 첨단 기술력과 대규모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 방산 및 항공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국내 드론산업은 부품의 중국산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군용 소형 무인기와 드론 부품 국산화 정책 등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부는 드론 부품 국산화와 공급망 안정성 강화를 위해 중장기 국가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공 조달 시장의 확대와 기술 연구개발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출 규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 정책, 국방 예산 확대 등이 주요 외부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드론산업 국산화 정책과 관련된 사업 확대가 주요 비즈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