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조상님께 죄송하지만, 올 차례상엔 힘들겠네요”…참조기 얼마나 뛰었길래

지혜진 기자
입력 : 
2025-10-03 09:42: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석 명절 음식인 참조기 가격이 1년 새 22% 상승하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참조기를 가공한 굴비 가격도 올라가고 있다.

참조기 생산량의 급감이 주요 원인으로, 생산량은 작년 1만7649t에서 올해 1320t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가격 안정화를 위해 비축 수산물을 시장에 방출하고 할인 행사와 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참조기 값 1년새 22% 급등...굴비값도 상승
기후변화·해양환경변화 등 영향으로 생산량 급감
지난달 2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기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2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조기 모습. [연합뉴스]

대표적인 추석 명절 음식인 참조기 가격이 1년 새 22%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참조기를 가공해 만드는 굴비도 덩달아 가격이 오르고 있다.

지난 2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9월 참조기(냉동·1마리) 평균 가격은 2192원으로 전년 동기(1794원)보다 22.1% 올랐다. 2년 전인 2023년 9월 평균 값(1305원)과 비교하면 67.9%나 치솟았다.

참조기 값이 가파르게 오른 건 생산량 급감 때문이다. 수산업관측센터 통계에 따르면 참조기 생산량은 2020년 4만1039t을 찍은 뒤 계속 내리막을 걸었다. 작년엔 1만7649t까지 떨어져 5년 만에 절반 이상 줄었다. 올해는 현재까지 누적 생산량이 1320t에 그쳐 연간 생산 규모가 지난해보다 훨씬 적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참조기는 계절에 따라 서식 장소를 옮기는 회유성 어종이다. 해류와 수온 변화에 민감해 안정적인 어획이 어려운데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해양 환경 변화가 참조기 서식지와 어군 분포에 영향을 미쳐 전체 어획량 감소를 야기하고 있다.

굴비 가격도 오름세다. 굴비는 주로 참조기가 많이 잡히는 3~4월에 잡아 염장을 한 뒤 냉동해 가을·겨울에 판매한다. 최근 몇 년간 어획량 감소가 누적돼 올해 굴비의 추석 선물 세트 가격은 전년보다 10~15% 뛰었다.

정부는 참조기 가격 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해양수산부와 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추석 등 명절을 앞두고 비축해 둔 수산물을 시장에 내놓으며 가격 안정화에 나섰다. 참조기 비축량 방출과 함께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온라인과 전통시장 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1일 오후 서울 마포농수산물시장에서 추석 성수품 수급과 가격 동향을 점검했다. 해양수산부는 추석 성수품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 1일부터 오는 5일까지 전국 254개 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진중이다. 전통시장에서 국산 수산물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구매금액의 최대 30%를 1인당 2만원 한도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 동원산업

    006040, KOSPI
    44,000 + 2.92%
  • 사조산업

    007160, KOSPI
    48,700 + 1.56%
  • 신라에스지

    025870, KOSDAQ
    5,450 + 0.93%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