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1953년 도입한 배임죄 폐지키로 경제계 환영 “기업활동 활력에 도움” 법인자금 사적사용 등 처벌 공백 우려 정부 “주체·요건 구체화” 대체 입법 추진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형벌 민사책임 합리화 당정협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스1
정부·여당이 기업인 처벌을 위해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돼온 형법상 배임죄를 폐지하기로 했다. 1953년 배임죄를 포함한 형법이 제정된 이후 70여 년 만의 개정이다. 경제계는 숙원이었던 배임죄 폐지를 반기며 노동 분야 등에서 과감한 경제형벌 완화를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30일 국회에서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경제형벌 합리화 1차 방안’을 발표했다. 약 6000개에 달하는 경제형벌 가운데 먼저 110개를 합리화하겠다는 것이다.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민주당과 정부는 배임죄 폐지를 기본 방향으로 정했다”며 “민생 경제와 국가 경쟁력, 미래 성장을 위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업 경영 활동을 옥죄는 요인으로 지목된 배임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선의의 사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형법상 일반 배임죄와 업무상 배임죄는 추상적인 구성 요건으로 인해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적용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상적인 경영 판단까지 배임죄로 몰아가는 사례가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14~2023년 10년간 배임·횡령죄의 1심 무죄 비율은 6.7%로 전체 범죄 무죄율(3.2%)의 2배가 넘었다.
법무부도 배임죄 1심 판례 3300건을 분석한 뒤 “법률 전문가가 아닌 기업, 단체, 공무원, 국민이 보기에 어떤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 예측하기 매우 힘들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법인의 자금을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영업비밀을 유출하는 등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대체 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과도한 경제형벌에 대한 경제계 의견이 반영됐다”며 “향후 규제 개선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환영했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전자
005930,
KOSPI
96,500
- 2.13%
현대차
005380,
KOSPI
252,000
- 3.45%
LG화학
051910,
KOSPI
389,500
- 0.38%
삼성전자현재가 96,500 -2.13%10.23 15:30
삼성전자는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제조·판매하는 글로벌 IT 기업으로, 세계적인 생산능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형법상 배임죄 폐지를 기본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대한 법적 리스크를 완화하는 제도적 변화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국내 최대 상장사로서 대규모 투자, 인수합병, 사업 구조조정 등 다양한 경영 판단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기업입니다. 경영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배임죄 적용 가능성이 경영 활동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해왔으며, 배임죄 폐지 논의는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의 경영진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 전략을 추진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도적 변화로 기대됩니다.
최근 글로벌 반도체 업황 변동, 미중 기술 경쟁, 원자재 가격 변동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경영진의 신속하고 과감한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법적 규제 변화는 기업의 경영 안정성 및 전략적 유연성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과거 대규모 투자와 사업구조 개편, 글로벌 M&A 등 굵직한 경영 결정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온 바 있습니다.
현대차현재가 252,000 -3.45%10.23 15:30
현대자동차는 승용차, 상용차, 친환경차 등 다양한 자동차를 개발·생산·판매하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와 국회는 형법상 배임죄 폐지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기업 경영진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변화가 예상됩니다. 신사업 추진, 해외 진출, 대규모 설비 투자 등에서 경영 판단의 자율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경기, 원자재 가격, 환경 규제 등 외부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전동화 및 자율주행 등 미래차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공급망 이슈 등 다양한 위기 속에서도 적극적인 사업 전략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 이력이 있습니다.
LG화학현재가 389,500 -0.38%10.23 15:30
LG화학은 석유화학, 첨단소재, 배터리 소재 등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종합 화학기업으로, 전기차 배터리 소재와 친환경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배임죄 폐지 논의는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이 중요한 기업에 법적 불확실성 완화와 경영 판단의 자율성 확대 측면에서 연관될 수 있습니다. 대규모 투자나 신사업 추진 과정에서 경영진의 의사결정이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환경 변화가 기대됩니다.
화학 및 소재 산업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 환경 규제, 기술 트렌드 변화 등 외부 환경에 민감하며,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시장 확대와 ESG 경영 강화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LG화학은 배터리 사업 분사, 대규모 투자 등 굵직한 경영 결정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온 바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