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기업 짓누른 배임죄 72년 만에 사라진다

문지웅 기자
이승윤 기자
입력 : 
2025-09-30 18:15:03
수정 : 
2025-09-30 20:36:1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여당은 형법상 배임죄를 폐지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제정 이후 72년 만의 개정이다.

경제계는 이 소식을 반기며, 앞으로도 과감한 경제형벌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법인의 자금을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영업비밀을 유출하는 범죄에 대해서는 대체 입법을 추진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당정, 경제형벌 110개 완화
대체입법 추진해 중범죄 대응
재계 "규제 개선 초석" 환영
◆ 경제형벌 합리화 ◆
정부·여당이 기업인 처벌을 위해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돼온 형법상 배임죄를 폐지하기로 했다. 1953년 배임죄를 포함한 형법이 제정된 이후 72년 만의 개정이다. 경제계는 숙원이었던 배임죄 폐지를 반기며 노동 분야 등에서 과감한 경제형벌 완화를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30일 국회에서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경제형벌 합리화 1차 방안'을 발표했다. 약 6000개에 달하는 경제형벌 가운데 먼저 110개를 합리화하겠다는 것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업 경영 활동을 옥죄는 요인으로 지목된 배임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선의의 사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형법상 일반 배임죄와 업무상 배임죄는 추상적인 구성 요건으로 인해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적용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상적인 경영 판단까지 배임죄로 몰아가는 사례가 많았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2014~2023년 10년간 배임·횡령죄의 1심 무죄 비율은 6.7%로 전체 범죄 무죄율(3.2%)의 2배가 넘었다.

법무부도 배임죄 1심 판례 3300건을 분석한 뒤 "법률 전문가가 아닌 기업, 단체, 공무원, 국민이 보기에 어떤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 예측하기 매우 힘들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법인의 자금을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영업비밀을 유출하는 등의 범죄를 처벌하기 위해 대체 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과도한 경제형벌에 대한 경제계 의견이 반영됐다"며 "향후 규제 개선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환영했다.

[문지웅 기자 / 이승윤 기자]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 삼성전자

    005930, KOSPI
    96,500 - 2.13%
  • 현대차

    005380, KOSPI
    252,000 - 3.45%
  • LG화학

    051910, KOSPI
    389,500 - 0.38%
  • POSCO홀딩스

    005490, KOSPI
    308,000 + 0.16%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