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정상 첫 유엔 토의 주재 李, AI를 호랑이에 비유하며 "책임있는 이용 원칙 세워야" 경주서 AI 이니셔티브 추진
◆ 한미 관세협상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인공지능과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치고 있다. 한국 대통령이 안보리 토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처음이다. 이 대통령 옆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연합뉴스
인공지능(AI) 3대 강국 진입을 내세우고 있는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 자리에 앉아 'AI와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공개 토의를 주관했다.
이 대통령은 "책임 있는 이용 원칙을 세우자"며 한국이 AI 산업 주도권을 쥐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국 정상이 유엔 회의장에서 의사봉을 쥔 것은 처음이다. 한국이 올해 9월 한 달 동안 안보리 의장국으로 선임된 상황에서 유엔 총회가 열린 까닭이다.
이번 토의에는 안보리 이사국을 비롯한 80개국이 참여했다. 네 번째로 발언한 이 대통령은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던 제프리 힌턴 교수의 말이 떠올랐다"며 "우릴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AI 발전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에는 불평등·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내놨다.
이 대통령은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전 세계적인 불평등·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이 국제사회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 원칙'을 바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AI 이니셔티브 채택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 오수현 기자 / 서울 성승훈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전자
005930,
KOSPI
98,900
+ 2.49%
SK하이닉스
000660,
KOSPI
508,500
+ 6.27%
NAVER
035420,
KOSPI
247,000
+ 1.86%
카카오
035720,
KOSPI
59,300
+ 0.51%
삼성전자현재가 98,900 + 2.49%10.24 13:36
삼성전자(주)는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IT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글로벌 종합 전자기업입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설계 및 생산능력과 대규모 글로벌 공급망, 브랜드 파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AI 기술을 다양한 업무영역에 적용하고 있으며, AI 반도체 및 솔루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개최된 '삼성 AI 포럼'을 통해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AI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과 국제 협력 확대는 삼성전자의 연구개발 및 글로벌 사업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미중 기술 경쟁, AI 반도체 수요 증가,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 등 외부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현재가 508,500 + 6.27%10.24 13:36
SK하이닉스(주)는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전문 기업입니다. 첨단 공정 기술과 대규모 생산능력, 주요 글로벌 IT 기업과의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AI 산업의 국제적 거버넌스와 책임 있는 이용 원칙 논의는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수요 확대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AI 연산에 최적화된 HBM 등 차세대 메모리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과 글로벌 협력 확대에 따라 생산 및 R&D 투자, 해외 영업 활동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 업황 개선, AI 인프라 투자 증가, 공급망 안정화, 글로벌 기술 경쟁 심화 등 외부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실적 개선과 성장세 지속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NAVER현재가 247,000 + 1.86%10.24 13:36
NAVER Corporation은 검색, 커머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핀테크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IT 기업입니다. 자체 AI 기술력과 대규모 데이터,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AI 산업 주도권, 국제적 거버넌스, 책임 있는 이용 원칙 논의는 NAVER의 AI 서비스 개발,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 글로벌 사업 진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과 국제 협력 확대는 NAVER의 연구개발, 서비스 고도화, 해외 시장 진출에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경쟁, 데이터 규제 강화, AI 기술 트렌드 변화, 정부의 디지털 정책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NAVER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실적은 플랫폼 사업 성장과 AI·클라우드 분야의 확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현재가 59,300 + 0.51%10.24 13:36
카카오(주)는 메신저, 커머스, 모빌리티, 핀테크,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대표 IT 기업입니다. 대규모 사용자 기반과 자체 AI 기술,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AI 중심 기업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AI 기술 및 관리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한 후 다양한 AI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핀테크, 모빌리티, 콘텐츠 등 여러 영역에서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AI 서비스 대중화와 에이전트 시장 선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과 글로벌 협력 확대는 카카오의 R&D 투자, 서비스 혁신, 해외 진출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글로벌 IT 기업과의 경쟁, 데이터 규제, AI 기술 발전, 정부의 디지털 정책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