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에너지 자회사 통해 韓 진출 태안 풍력발전 프로젝트 참여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가동하는 AI 데이터센터 분야까지 협력 李대통령·핑크 회장 회동 후 한달만에 구체적인 투자 유치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왼쪽)이 23일 블랙록 자회사 뷔나그룹으로부터 투자의향서를 받고 니틴 압테 뷔나그룹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김호영 기자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과 산하 글로벌인프라스트럭처파트너스(GIP)가 공동 소유한 뷔나그룹이 한국에 대해 약 20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단행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미국 순방 때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과 만나 글로벌 인공지능(AI) 협력 양해각서(MOU)를 맺은 것의 후속 조치다. 뷔나그룹은 MOU 체결 당시 논의한 한국의 재생에너지 분야와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에 투자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23일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회에서 뷔나그룹과 투자의향서(LOI) 전달식을 진행했다. 전달식에는 김성환 기후부 장관,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 김우창 대통령실 국가AI정책비서관,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니틴 압테 뷔나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뷔나그룹은 호주,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총 43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풍력 발전과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사업을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개발 전문기업이다.
뷔나그룹은 투자의향서에서 한국에 대한 투자 분야로 태양광, 육상 및 해상풍력, BESS, 그린수소, 연료전지, 차세대 AI 컴퓨팅을 지원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연계형 전력망 대응 AI 데이터센터' 등을 제시했다.
총투자는 500메가와트(㎿)급 태안해상풍력과 384㎿급 욕지해상풍력 발전 프로젝트를 포함해 20조원 규모로 추진한다.
기후부는 뷔나그룹의 이번 투자의향서 전달이 재생에너지 확대와 AI 인프라스트럭처 고도화라는 이재명 정부 주요 국정과제의 실질적 이행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현재(34GW)의 3배 수준인 100GW로 늘리기로 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뷔나그룹의 투자는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서 먼저 이뤄질 것으로 예측된다. 차 의원은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재생에너지 인프라 공사 기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파일럿 투자가 이쪽에서 먼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이뤄질 예정인 파일럿 투자 규모가 수조 원에 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투자의향서가 전달된 이후 일반적으로 본계약이 빠르게 이어지기 때문에 한국 정부와 블랙록 간 MOU 체결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 이번 파일럿 투자 외에 추가적으로 논의 중인 딜이 있어 향후 수십조 원에 달하는 투자가 더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차 의원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설에만 최소 50조~60조원이 필요한데, 아직 인프라 관련 투자만 논의됐다.
한편 블랙록 계열 재생에너지 전문기업 크레도오프쇼어는 윤석열 정부 시기인 지난해 1월 10조원가량을 투자해 전남 신안군 일대 바다에 초대형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당시 산업통상부 전기위원회가 해당 지역 송전망 등 전력계통이 포화 상태이고, 크레도오프쇼어가 제출한 일부 증빙 서류가 재무 능력 입증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해 5건의 발전 사업 계획안이 무산된 바 있다.
[지혜진 기자 / 박나은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한국전력
015760,
KOSPI
42,150
- 3.99%
씨에스윈드
112610,
KOSPI
43,250
+ 1.17%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KOSPI
163,700
- 2.56%
LS ELECTRIC
010120,
KOSPI
367,000
+ 14.87%
한국전력현재가 42,150 -3.99%10.23 15:30
한국전력공사는 국내 최대의 전력 공급 및 송배전 사업을 영위하는 공기업으로, 전국 전력망 운영과 전력 계통 안정화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규모 해상풍력 및 재생에너지 연계형 AI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이 발표되면서, 전력망 확충과 재생에너지 계통 연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한전의 송배전 인프라 운영과 신규 전력망 구축 사업에 연관될 수 있습니다.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대규모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계통 연계가 필수적이므로, 한전은 관련 인프라 확장, 전력망 보강, 재생에너지 계통 연계 솔루션 제공 등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씨에스윈드현재가 43,250 + 1.17%10.23 15:30
씨에스윈드는 글로벌 풍력타워 제조 및 공급 전문 기업으로, 해상 및 육상 풍력발전용 타워를 국내외 대형 발전사와 EPC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태안 및 욕지 해상풍력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조성은 풍력타워 등 핵심 기자재 수요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친환경 정책,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 해상풍력 시장 성장세 등 외부 환경 변화가 씨에스윈드의 수주 및 생산 역량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과거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 수주 경험과 생산능력 확장 사례가 사업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현재가 163,700 -2.56%10.23 15:30
삼성에스디에스는 IT 서비스 및 데이터센터 운영,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AI 기반 솔루션 제공에 특화된 기업입니다.
클라우드·AI 산업 성장, 친환경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정부의 디지털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외부 환경 변화가 삼성에스디에스의 사업 구조와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과거 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경험이 경쟁력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설계, 운영, 에너지 효율화, AI 인프라 구축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LS ELECTRIC현재가 367,000 + 14.87%10.23 15:30
LS ELECTRIC은 전력기기, 자동화 솔루션, 스마트그리드 등 전력 인프라 핵심 장비를 제조·공급하는 기업입니다.
한국에서 추진되는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과 재생에너지 연계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는 송배전, 변전, 전력 계통 연계 솔루션 등 LS ELECTRIC의 주력 사업과 관련성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데이터센터의 전력 품질 관리, 계통 연계, 스마트그리드 구축 등에서 LS ELECTRIC의 기술과 제품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외부 환경 변화가 LS ELECTRIC의 사업 성장과 수주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