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회장 선임 절차에 "특이한 면 있어.. 필요시 수시검사"
"연임·3연임은 내부통제 더 강화해야"
"지주회사 회장, 제조업체 오너와 다를게 없어" 공개적으로 비판적 시각
"지주회사 회장이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회사와 다를 바 없다"(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주요 금융지주들의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개시된 가운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연임에 도전하는 금융지주 회장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 파장이 예상된다.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절차엔 특이점이 있다며 공개적으로 지적했고, 연임이나 3연임의 경우 내부통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특히 일부 금융지주 회장들에 대해선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참호'를 구축하는 모습을 보인다"며 금융 공공성 훼손 우려에 따라 금융지주 지배구조의 제도개선까지 예고했다.
이 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BNK금융 회장선임 절차와 관련해 "회장 선임 내용조차 직원들 사이에 쉬쉬하며 깜깜이로, 절차의 정당성 상관없이 (했다) 금융지주 회장을 뽑는 중요한 자리에 이런식으로 해도 되는 것이냐"는 질의에 "절차적으로 특이한 면들이 많이 보여서 계속 챙겨보고 있다"며 문제가 있음을 인정했다.
BNK금융 이사회는 지난 1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16일까지 후보군 접수를 마감했다.
박 의원은 "추석연휴 기간인 12일을 빼면, 영업일 기준 후보등록 접수 가능 기간은 4일 정도에 불과했다. 전에 BNK 금융지주 회장 선임에 약 2개월간 절차를 진행했는데, 4일 정도의 기간 동안 이사회 결의를 통해 차기 회장 후보군을 접수 했다"며 절차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이 원장은 "이 사안은 현재 상황으로 보면 내부적으로 형식적 절차에 접법성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문제 있는 소지가 있으면 수시검사를 통해서 문제점을 바로 잡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사실상의 4일 간의 후보 접수 기간에 대해서 문제의 소지가 있으면 금감원이 직접 수시검사를 통해서 바로잡겠다는 뜻이다.
특히 연임이나 3연임을 도전하는 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해서도 제도개선을 예고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이 작년에도 했고 올해도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라인을 업권별로 시행했는데, 가이드라인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부가하기 위해서 이번에도 은행 라인 통해 지주회사 공통적으로 연임이나 3연임 관련해서는 내부통제를 조금 더 강화하는 내용으로 방침을 보내고 있는 상태"라고 언급했다.
독자들의 PICK!
그러면서 "지주회사 회장이 되시면 일종의 이사회를 자기 사람으로 참호를 구축하는 분들이 보인다"며 지배구조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 원장은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나 상장법인과 별다를게 없다. 고도의 금융 공공성이 훼손될수 있어 이런 부분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제도 개선 관련해 (국회에) 상의를 드릴 기회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원장이 BNK금융 뿐 아니라 다른 금융지주 회장에 대해서도 '이사회 참호 구축', '오너가 있는 제조업체' 등 비판적인 시각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만큼 향후 금융지주 회장 선임에도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3월 회장 임기 만료에 따라 신한금융지주와 BNK금융은 이미 회장 선임을 위한 절차를 개시했고, 내달 쯤 우리금융지주도 차기 회장을 뽑는 공식 절차를 시작한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해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등은 모두 '연임'에 도전한다.
금융권에서는 이 원장 취임 시점부터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제를 정면으로 다룰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 원장은 취임사에서도 '거버넌스'(지배구조)를 언급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으로 활동하던 당시에도 지배구조를 비롯한 기업의 ESG 문제를 강조해 왔다.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대부분 지배 주주가 없는 '주인 없는' 회사로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문제가 불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