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MT리포트] 사라지는 군인들③ "완벽한 경계 시스템 위해 사람 아닌 첨단과학기술 활용해야"
육군 병력의 수만명이 24시간 순환 투입되는 최전방 비무장지대(DMZ) 경계근무를 질적으로 혁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병들이 최전방 철책 등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양자기술 기반 광케이블을 활용해 잘 보이지 않는 지역까지 실시간 감시하는 체계를 만들자는 내용이다.
18일 KAIST(한국과학기술원)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조상근 교수 등 연구진은 최근 '안보 XSIGHT 2025'를 통해 양자기술 기반 광케이블을 활용해 경계기술을 고도화해 경계근무를 혁신하자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DMZ 일대의 지형 특성과 현재 운용 중인 과학화 경계 시스템의 감지·감시 장비가 겪고 있는 경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실제 군 병력 투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며 "부족한 병력 문제를 보완하고 보다 완벽한 경계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첨단과학기술의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소가 제안한 기술은 양자기술이다. 연구소는 양자 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DTS(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분포형 온도 감지)와 DAS(Distributed Acoustic Sensing·분포형 음향 감지)의 적용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들 기술은 기존 광망 중심의 감시체계 한계를 보완하면서 장거리 감지 성능과 운용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우리 군의 DMZ 일대 감시·경비 임무 주요 장비는 '열영상 장비'(TOD), 주간용 광학 카메라, 진동 기반 침입 감지체계인 광망(光網) 경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광망 경비 시스템은 주요 침투 예상 지점에 광케이블을 그물망 형태로 설치해 상황실의 통제 장비와 연계해 경계 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광망 시스템은 강풍과 악천후에 취약하고 야생동물로 인한 훼손 사례도 잦다. 이로 인해 설치 후 2년 이내에 다수 장비가 손상돼 본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했다. 2022년 강원도 고성 지역에서 북한 민간인이 우리 군의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어 월남한 사건도 광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탓으로 확인됐다.
연구소가 거론한 DTS는 광케이블에 레이저 펄스를 발신 후 케이블을 따라 산란해 되돌아오는 신호 중 온도 변화 발생 지점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화재나 열원 발생뿐만 아니라 적의 침입 징후 파악에도 활용될 수 있다. DAS는 광케이블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감지하고 진동 발생 위치를 식별한다. 연구소는 이를 통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DMZ 지대의 지형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독자들의 PICK!
연구소는 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양자 난수 생성기) 기술을 활용해 우리 군이 확보하는 경계 자료 등의 보안 체계도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CCTV 시스템으로 포착된 영상 자료 등을 양자 난수 기반으로 암호화해 해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양자 난수는 예측할 수 없는 난수를 생성해 영상 송수신 과정에서 높은 보안성을 확보하고 복호화 키가 있어야만 실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양자기술 기반의 SWIR(Short Wavelength InfraRed) 센서를 활용한 군이 운용 중인 광학 감시장비의 감시 능력 고도화 △소리가 발생한 위치를 시각화하는 Sound Cam 기술을 도입한 작전 효과성 향상 가능성 등도 주장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기존의 경계 작전은 지형적 제한과 안개, 연기, 비, 눈 등의 기상적 제한으로 감지 능력과 감시 능력이 저하됐다"며 "양자기술을 통해 상황 발생 지점을 정확히 파악해 작전부대의 반응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고, 기후변화 대응 능력과 작전보안 기술 향상 등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에서는 양자기술을 군사적으로 활용한 사례는 없고, 해외에서도 미국·이스라엘 등 군사 선진국에서만 일부 활용되고 있다"며 "향후 양자기술을 육군의 군사 작전에 활용하는 연구를 통해 DMZ 일대에 밀집된 병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당면한 병역자원 감소 문제 해결과 국방혁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감지 판단 조준 사격이 자유로운 AI(인공지능) 전투로봇, 자율드론, 초정밀 공격 방어 미사일체계를 구비한 50명이면 100명 아니라 수천 수만의 적도 얼마든지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