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ST 소식
-
최신연구성과
KIST-LG, 한국형 휴머노이드 ‘KAPEX’ 공동 개발
KIST-LG, 한국형 휴머노이드 ‘KAPEX’ 공동 개발 Physical AI 혁신, KIST-LG전자-LG AI연구원 협력으로 현실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은 LG전자, LG AI연구원과 공동으로 한국형 차세대 휴머노이드 ‘KAPEX(케이팩스)’를 통해 글로벌 피지컬 AI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를 선언했다. 미·중 양강이 주도하는 AI 휴머노이드 각축전 속에서 출연연과 대기업이 협력해 개발한 한국의 독자 휴머노이드 플랫폼이 세계 시장 진입의 돌파구를 마련한 셈이다. 연구팀은 KAPEX에 차세대 기능 탑재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며, 오는 11월부터 그 성과를 단계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한국형 차세대 K-AI 휴머노이드 ‘KAPEX’ 기존 휴머노이드가 단순히 인간의 동작을 따라 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KAPEX는 스스로 학습하고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정밀한 조작과 사람과의 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휴머노이드다. 쉽게 말해, KAPEX는 단순히 움직이는 로봇이 아닌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지능형 동반자’다. ‘KAPEX’라는 이름은 한국형 기술로 진화의 정점(APEX)에 도달하겠다는 의지와 인류(Ape)의 진화와 미지의 가능성(X)을 표현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학습하고 성장하는 존재로서 휴머노이드 기술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겠다는 포부가 담겨있다. 인간과 동등한 수준의 운동·조작 능력을 갖추어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사람과 동일한 수준의 작업 수행을 목표로 한다. KAPEX는 고출력 전신 액추에이터 등 주요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해 탑재함으로써 한국형 휴머노이드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세계 시장 진출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출연연-대기업 협력과 융합이 이끈 휴머노이드 혁신 이번 기술 협력은 세 기관이 각자의 강점을 융합하여 AI 기반 실질적 산업 적용을 이끄는 로봇 혁신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KIST AI·로봇연구소의 AI 휴머노이드 원천 기술에 LG전자의 제품화·양산 역량과 글로벌 사업 경험, 그리고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인 ‘EXAONE(엑사원) Vision Language(VL)’ 기반 로봇 브레인 기술이 더해져 차세대 한국형 휴머노이드의 토대가 마련됐다. 이번 협력은 초대형 기술이전을 시작으로 AI 기술 접목, 글로벌 확장형 협력 생태계로 이어지며 향후 4년 내 산업 현장 실증과 상용화 착수를 목표로 한다. 왜 지금, 한국형 피지컬AI가 필요한가 글로벌 로봇 시장은 Physical AI를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Physical AI는 인공지능이 물리적 환경에서 직접 학습·적응함으로써 실제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가정, 물류, 제조,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로봇이 사람과 자연스럽게 협력하게 만드는 핵심 기반이다. 특히 휴머노이드 플랫폼은 Physical AI 구현의 필수 무대다. 로봇이 인간의 몸처럼 팔과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고 손으로 도구를 다루며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활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이 플랫폼은 사실상 미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KAPEX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기술 해법을 제시하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KAPEX, 국가 미래 노동·산업 혁신의 도약대 KAPEX의 진정한 차별성은 학습·적응·조작 능력을 유기적으로 통합했다는 데 있다. 단순 반복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환경이 변하면 스스로 전략을 바꾸고 사람과 협력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이를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은 ▲인간 수준의 신체 능력과 사람 손처럼 섬세한 촉각 센싱 다지 로봇핸드 ▲강화학습·VLM 기반 증강형 AI 학습 능력 ▲복합 환경 인지와 자율 보행 기술이다. 이 세 가지가 결합되어 KAPEX는 재난 대응부터 생활 지원까지 범용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시대를 여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또한, KAPEX는 한국형 로봇 생태계의 구심점으로 국가 차원의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이 크다.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것은 단순히 로봇 산업을 넘어 미래 노동·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주도권을 쥐는 문제와 직결된다. 글로벌 표준을 향한 도전 KIST 휴머노이드연구단 이종원 단장은 “KAPEX는 한국형 AI 로봇이 미·중 중심의 시장 질서에 도전하는 실질적 대안이자 새로운 글로벌 표준이 될 것”이라며, “실증과 상용화를 통해 한국이 로봇 산업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강조했다. KAPEX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표를 넘어 한국이 글로벌 피지컬 AI 경쟁 구도에서 독자적 위치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선언이다. 정부와 연구기관, 기업의 협력이 이어질 경우, KAPEX는 한국형 휴머노이드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 잡으며 세계 시장의 판도를 흔들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KIST-LG전자-LG AI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AI 휴머노이드 ‘KAPEX’ [그림 2] KAPEX 소개 영상 캡쳐 화면
2025 - 09 - 30
-
최신연구성과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극으로 뇌 신호 더 오래 잡는다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극으로 뇌 신호 더 오래 잡는다 전극 수명을 3배 늘린 나노 코팅 기술로 장기간 뇌 신호 측정 가능 퇴행성 뇌 질환 연구 및 차세대 의료기기 산업으로의 확산 기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뇌 질환 환자가 빠르게 증가해 의료와 복지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뇌 질환을 제대로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뇌 속 신경세포가 주고받는 전기 신호를 오랫동안 관찰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 전극은 삽입 후에 한 달이 지나면 염증과 흉터로 인해 신호가 흐려져 장기적인 연구와 치료 적용에 큰 제약이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뇌융합연구단 성혜정 박사팀은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 박성준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에 삽입하는 전극의 수명을 기존 1개월에서 3개월 이상으로 늘린 획기적인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뇌 신호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뇌과학 연구와 임상 적용의 활용 범위를 크게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기존의 딱딱한 실리콘 대신 유연한 플라스틱을 사용해 뇌 조직 손상을 줄이고 전극 표면에 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두께의 특수 코팅을 적용해 내구성을 높였다.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수준으로 매우 가는 이 전극은 뇌 신경세포 활동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뿐 아니라 약물 전달도 가능하다. 특히, 코팅은 뇌척수액과 만나면 부풀어 올라 단백질과 면역세포의 부착을 막음으로써 염증과 흉터 생성을 억제하고 전극과 신경세포 간 접촉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생쥐 실험을 통해 새 전극은 기존 전극보다 염증 반응을 60% 이상 줄이고 신경세포 생존율은 85% 높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뇌 신호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가 개선돼 장기간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뇌 신호 측정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이는 뇌 질환 연구와 뇌 신호 기술 개발에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번 기술은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장기간 추적 연구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동시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상용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심장 스텐트, 인공관절 등 다양한 이식형 의료기기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의료기기 산업 전반에도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재활 모니터링, 정신건강 관리, 뇌질환 진단 등 뇌 삽입 전극의 응용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이식형 의료기기에 코팅 기술을 확대 적용해 산업적 가치를 높여갈 예정이다. KIST 성혜정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전극의 수명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해 장기간 안정적인 신경 신호 확보가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밝혔다. 서울대 박성준 교수는 “새로운 전극 기술은 뇌 연구뿐 아니라 다양한 신경질환 치료법 개발에도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및 우수신진연구 (RS-2025-00517552), 중견연구 (RS-2023-00207970),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RS-2024-00467213)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Biomaterials」 (IF 12.9, JCR 분야 3.6%)에 게재됐다. * 논문명 : Photoinitiated CVD antifouling coatings enable long-term stability of flexible multifunctional neural probes for chronic neural recording [그림 1] 유연 뇌전극 표면 개질을 위한 광개시제를 이용한 화학 기상 증착법 (piCVD) 적용 모식도 유연 뇌전극 표면에 균일하고 얇은 고분자 코팅을 입히기 위해, 광개시제를 이용한 화학 기상 증착법 (piCVD)을 활용함. piCVD 는 저진공 기상 증착 공정으로, 진공 챔버 내 고분자 합성의 재료가 되는 단량체와 가교제 (HEMA, EGDMA)를 기상으로 주입함. 주입된 단량체와 가교제가 UV 광원에 의해 활성화되며, 유연 뇌전극 표면에서부터 고분자가 합성됨. 합성된 고분자는 습윤 환경에 노출될 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며, 이로 인해 단백질이나 세포가 유연 뇌전극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도와줌. [그림 2] 뇌전극 코팅 전-후의 뇌조직염색 결과 차이 비교 분석 유연 뇌전극 표면 코팅 유무에 따라, 뇌 조직의 손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임. 코팅이 없는 뇌전극의 경우 염증 발생에 따라 증가하는 세포 및 단백질 (GFAP, CD68)의 발현이 높으나, 코팅이 도입된 뇌전극은 발현히 크게 억제됨. 또한 코팅 도입 시, 뇌전극 표면에서 건강한 뉴런의 마커로 활용되는 NeuN 단백질 발현 양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함. [그림 3] 연구에서 활용한 코팅된 유연 뇌신경전극의 단면도 (좌) 및 시간에 따른 신경 신호 기록 성능 (우) 코팅된 유연 뇌신경전극을 활용한 장기간 뇌 신호 측정 결과, 1주차에서의 뇌신경 신호와 13주차에서의 뇌신경 신호가 동일하게 측정됨을 확인함. 특히 신호 대비 잡음비는 초기에 비해 개선되어 가는 양상을 보임.
2025 - 09 - 16
-
최신연구성과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로 친환경과 성능 향상 동시 달성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로 친환경과 성능 향상 동시 달성 - 납을 사용하지 않은 실리콘 기반 초음파 패치로 기존 장치보다 뛰어난 성능 입증 -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기술로 원격 진료·개인 헬스케어 시장 확산 기대 웨어러블 초음파 장치는 병원 진단은 물론 재활 모니터링과 원격의료 등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장치들은 대부분 납(Pb) 기반 압전 세라믹을 사용해 인체와 환경에 유해성을 안고 있으며, 장치의 성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따라 납을 완전히 대체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초음파 소자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바이오닉스연구센터 이병철 박사팀은 KAIST(총장 이광형) 정재웅 교수팀,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 이활 교수팀, 스탠퍼드대학교(총장 Jonathan Levin) 쿠리-야쿱 교수팀과 공동으로 실리콘 기반 일회용 친환경 초음파 패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유해 물질인 납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존 고가의 납 기반 초음파 소자를 뛰어넘는 성능을 최초로 구현한 것이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실리콘을 나노 기둥 구조로 정밀하게 가공해 초박형 패치를 제작했다. 초음파 소자에 필수적인 정합층과 흡음층을 제거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해 두께가 수백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얇은 구조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납을 완전히 배제하면서도 기존 장치보다 개선된 출력과 영상 품질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제작된 패치는 실제 실험을 통해 성능과 활용 가능성이 입증됐다. 상용 소자 대비 30% 이상 높은 출력 압력을 기록해 영상 품질이 크게 향상됐으며 목처럼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서도 혈류 속도와 혈관의 직경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혈압계와 비교해 96%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 임상 적용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번 기술은 향후 원격 진료나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기기 분야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실리콘 기반 초음파 소자는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도 환경 부담이 적다. 특히, 원가가 기존 납 기반 소자의 약 1/20 수준으로 낮아 경제성이 뛰어나며 친환경적 특성까지 갖춰 일회용 초음파 패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앞으로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심뇌혈관 질환 조기진단을 비롯해 재활 모니터링, 정신건강 관리 등 다양한 의료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KIST 이병철 박사는 “이번 연구는 몸과 환경에 해로운 납 대신 안전한 실리콘을 활용해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초음파 패치를 구현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라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이활 교수는 “실리콘 기반 초음파 영상 기기는 압전 소자 기반 기기에 비해 유연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초음파 영상의 의학적 적응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기초연구사업(RS-2024-00341714) 및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S-2023-00254676)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IF 15.7, JCR 분야 6.7%)에 온라인 게재됐다. * 논문명 : Silicon nanocolumn-based disposable and flexible ultrasound patches [그림 1] 친환경 실리콘 나노컬럼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양쪽 경동맥의 초음파 영상/혈압 동시 측정 결과 납이 들어있지 않는 실리콘 나노컬럼을 스프링으로 하여 초음파 소자를 구현하였고, 이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유연 초음파 어레이 패치를 만듬. 이후, 이러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사람 목에 양쪽에 붙여, 경동맥, 경정맥의 혈관을 관측하고 여기서 나오는 혈압을 동시에 측정함. [그림 2] 친환경 실리콘 나노컬럼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의 실생활 응용 예시 매일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아침에 출근 동안에 심 • 뇌혈관 질환 조기진단(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 모니터링을 한 후, 쓰레기통에 버리는 미래 모습 [그림 3] 친환경 실리콘 나노컬럼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양쪽 경동맥의 초음파 영상/혈압 동시 측정 결과 양쪽 목에 실제로 실리콘 나노컬럼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부탁한 사진과 아래에는 목의 단면을 통해 실제로 초음파로 촬영 범위를 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시에 촬영했을 때의 모습을 우측 초음파 영상으로 나타냄. 아래 좌측에는 이러한 경동맥 초음파 맥파 영상과, 이를 통해 추출한 혈압 파형 및 실제 상용 맥파기와 비교한 그래프(우측 하단)
2025 - 09 - 03
-
최신연구성과
KIST,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 센서 세계 최초 구현
KIST,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 센서 세계 최초 구현 - 멀리 떨어진 센서들이 하나처럼 작동, 정밀도·해상도 동시 향상 - 생명·반도체·우주 분야까지 양자 센서 실용화 앞당길 핵심 기술 정확한 계측은 바이오 이미징, 반도체 결함 진단, 우주 망원경 관측 등 첨단 과학기술의 핵심 기반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계측에 사용돼 온 센서 기술은 ‘표준 양자 한계’라 불리는 물리적 한계가 있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분산형 양자 센서’다. 이는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러 센서를 하나의 거대한 양자 시스템처럼 연결해, 동시에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정밀도 향상에 집중해왔지만, 고해상도 이미징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은 충분히 검증되지 못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양자기술연구단 임향택 박사 연구팀은 ‘다중 모드 N00N 상태’라는 특수한 양자 얽힘 상태를 분산형 센서에 적용해, 정밀도와 해상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분산형 양자 센서 연구는 단일 광자 얽힘 상태를 주로 사용해 정밀도는 높일 수 있었지만, 간섭 패턴을 정밀히 구분해야 하는 고해상도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KIST 연구팀이 활용한 ‘다중 모드 N00N 상태’는 여러 광자가 특정 경로에 얽혀 있어, 빛의 간섭 무늬를 훨씬 더 촘촘하게 만들 수 있다. 덕분에 해상도가 크게 향상되고, 동시에 아주 작은 물리적 변화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양자 기술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정밀도인 ‘하이젠베르크 한계’에 근접할 뿐만 아니라, 초고해상도 이미징으로의 응용 가능성까지 보여주었다. 이는 최근 미국·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이 양자 센서를 차세대 전략기술로 선정하고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4개의 경로에 얽힌 2광자 다중 모드 N00N 상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상 정보를 동시에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기존 방식보다 약 88% 높은 정밀도(2.74 dB 향상)를 달성해,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실험에서도 하이젠베르크 한계에 근접한 성능을 입증했다. 이번 성과는 생명과학, 반도체 산업, 정밀 의료, 우주 관측 등 정밀 계측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미경으로는 관측하기 어려운 세포 내부의 미세 구조를 선명하게 영상화하거나, 나노미터 단위의 반도체 회로 결함을 탐지하고, 일반 망원경으로는 흐릿하게 보이던 먼 우주의 천체 구조를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KIST 임향택 박사는 “이번 성과는 양자 얽힘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인 양자 센서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입증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향후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양자 칩 기술과 결합하면, 일상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양자센서상용화기술개발사업 (RS-2023-0022863)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Physical Review Letters」 (IF 9.0, JCR 상위 7.5%) 최신 호에 게재됐다. [그림 1] 분산형 양자 센서 네트워크 모식도 중앙 노드에서 생성된 양자 상태를 각 노드로 분배하고, 각 노드에서 위상 인코딩 후 국소 측정을 통하여 위상의 임의의 선형 결합을 추정. [그림 2] 다중 모드 N00N 상태를 분산형 양자 센싱 실험 셋업 사냑 간섭계 기반으로 생성한 벨 상태를 이용해 다중 모드 N00N 상태 생성 및 생성된 얽힘 상태를 각 모드로 전송. 위상 인코딩 후 국소 측정을 통해 2 개 위상의 평균 추정. [그림 3] 2개 위상 평균 측정 결과 그래프 (a) 위상 값에 따른 확률 분포, (b) 위상 값에 따른 피셔 정보, (c) 두 위상의 평균 추정 결과. 고전적 한계 대비 하이젠베르크 한계에 근접한 88% (2.74 dB) 향상의 민감도 달성.
2025 - 08 - 22
-
최신연구성과
“스핀 손실을 에너지로 바꿨다”, 초저전력 차세대 정보 소자 핵심 기술 개발
“스핀 손실을 에너지로 바꿨다”, 초저전력 차세대 정보 소자 핵심 기술 개발 - 자연스럽게 새어나가던 ‘스핀’ 손실, 에너지원으로 활용한 새로운 원리 개발 - 복잡한 구조 없이 자성 제어 가능…AI·엣지 컴퓨팅 핵심 기술로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반도체기술연구단 한동수 박사 연구팀은 DGIST(총장 이건우) 홍정일 교수,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 김경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기존에는 단순한 손실로만 여겨졌던 ‘스핀 손실(spin loss)’을 자성 제어의 새로운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자 원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핀트로닉스는 전자의 ‘스핀’이라는 성질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하는 기술로, 기존 반도체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 비휘발성이 뛰어나 초저전력 메모리, 뉴로모픽 칩, 확률 계산용 연산 소자 등 차세대 정보 처리 기술의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이러한 스핀트로닉스 소자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공동 연구팀은 자성체 내부의 자화 방향을 외부 자극 없이 스스로 전환시키는 새로운 물리 현상을 규명했다. 자성체는 내부 자화 방향을 바꾸어 정보를 저장하거나 연산을 수행하는 차세대 정보 처리 소자의 핵심 물질이다. 예를 들어, 자화 방향이 위쪽이면 ‘1’, 아래쪽이면 ‘0’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자화 방향을 바꾸기 위해 많은 전류를 흘려 전자의 스핀을 자성체에 강하게 주입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일부 스핀이 자성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멸되는 스핀 손실이 발생했으며, 이는 전력 낭비와 효율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져 왔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스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재 설계와 공정 개선에 집중해 왔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에 스핀 손실이 오히려 자화를 바꾸는 ‘역작용’을 제공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마치 풍선에서 바람이 빠질 때 생기는 반작용으로 풍선이 움직이는 것처럼, 스핀 손실이 자성체 내부에서 자발적인 자화 전환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연구팀은 스핀 손실이 클수록 자화 전환에 필요한 전력이 줄어드는 역설적 현상을 입증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최대 3배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특수 소재나 복잡한 소자 구조 없이도 구현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용성과 산업적 확장성이 크다. 또한 이번 기술은 기존 반도체 공정과 호환되는 단순한 소자 구조를 채택해 양산 가능성이 높으며, 소형화와 고집적화에도 유리하다. 이에 따라 AI 반도체, 초저전력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확률 기반 연산 소자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AI·엣지 컴퓨팅용 고효율 연산 소자 개발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IST 한동수 박사는 “그동안 스핀트로닉스 분야에서는 스핀 손실을 줄이려는 데만 집중했지만, 오히려 그 손실을 에너지로 활용해 자화 전환을 유도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며 “AI 시대에 필수적인 초저전력 연산 기술의 기반이 될 수 있어 초소형·저전력 AI 반도체 소자 개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글로벌TOP연구개발사업(GTL24041-000),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2020R1A2C2005932) 등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IF 15.7, JCR 분야 7%) 최신 호에 게재됐다. * (논문명) Magnetization switching driven by magnonic spin dissipation [그림 1] ‘스핀 손실’을 이용한 자화 제어 기술 모식도 (좌측) 기존 방식으로, 자성체 바깥쪽에 전류를 흘려 스핀을 만들어 자성체 안으로 넣는 구조를 보여줌. 이때 스핀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새어나가며, 이 스핀 손실 때문에 자성의 방향을 바꾸는 효율이 낮아짐. (우측)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방식으로, 자성체 안에 직접 전류를 흘려 스핀이 한쪽 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설계함. 이렇게 빠져나가는 스핀은 자성체 내부에 마치 반대 방향에서 스핀이 들어온 것처럼 작용하여, 자성의 방향이 스스로 바뀌는 효과를 만들어냄. 이때 손실되는 스핀의 양이 많을수록 자성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오히려 자화를 더 쉽게 바꿀 수 있게 됨. [그림 2] ‘스핀 손실’기반 자화 제어 원리 모식도 자성체 내부에 전류를 흘렸을 때, 스핀 손실을 통해 자화 방향을 스스로 바꾸는 새로운 원리를 설명한 구조임. 전류가 흐르면 자성체 내부에서 스핀이 생성되고, 일부 스핀은 오른쪽의 반강자성체 방향으로 빠져나감. 일반적으로 이처럼 스핀이 빠져나가는 현상은 ‘손실’로 간주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손실이 자성체 내부에 스핀이 안쪽으로 들어온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 자화를 스스로 반전시키는 원동력이 됨. 특히 그림에서 보이듯이, 손실되는 스핀이 많을수록 자화 전환이 더 쉽게 일어남. 오히려 자화를 더 쉽게 바꿀 수 있게 됨. [그림 3] ‘스핀 손실’기반 자화 스위칭 자성체 내부에 전류를 흘렸을 때, 스핀 손실을 통해 자화 방향을 스스로 바꾸는 새로운 원리를 설명한 구조임. 전류가 흐르면 자성체 내부에서 스핀이 생성되고, 일부 스핀은 오른쪽의 반강자성체 방향으로 빠져나감. 일반적으로 이처럼 스핀이 빠져나가는 현상은 ‘손실’로 간주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손실이 자성체 내부에 스핀이 안쪽으로 들어온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어 자화를 스스로 반전시키는 원동력이 됨. 왼쪽 그림과 같이 자성체 내부에 펄스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자성체 내부에 발생된 스핀의 일부가 인접한 반강자성체로 ‘손실’되면서 자성체내 자화 방향이 반전됨. 이때 자화 반전의 방향은 인가된 전류 펄스의 방향에 의존적임.
2025 - 08 - 17
-
최신연구성과
“땅 속 유류 확산 제어, 친수성 재료가 더 효과적”, KIST 연구진 기존 이론 뒤집었다.
“땅 속 유류 확산 제어, 친수성 재료가 더 효과적”, KIST 연구진 기존 이론 뒤집었다. - 지하수 환경 모사해 소수성 매질에서 더 많은 기름유출 관측 - 유류 오염 지하수의 정화 기술 설계에 새 패러다임 제시 기존에 물에 포함된 기름을 분리하기 위해 흔히 쓰이는 방법은 기름을 잘 흡착하는 소수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최근 연구진이 정밀 관측을 통해 밝혀낸 결과는 기존 방법과는 정반대였다. 지하수처럼 다공성 매질을 따라 흐르는 조건에서는 오히려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는 성질인 친수성 표면이 기름을 더 많이 붙잡는 현상을 확인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물자원순환연구단 이승학, 정재식, 김상현 박사 연구팀은 미세한 유체 흐름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미세유체 시스템’을 이용해 다양한 조건의 다공성 매질 내에서 기름과 물이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관찰했다. 특히 실제 지하수 흐름과 유사한 일정한 압력 차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소수성 표면에서는 기름이 쉽게 빠져나갔으며, 반대로 친수성 표면에서는 더 많은 기름이 남는 경향이 관측됐다. 이러한 관측 결과를 비혼성 대체 해석 모델로 증명했다. 소수성 재료에서는 물이 기름을 밀어낼 때 접하는 경계면에서의 접촉각이 친수성 매질 대비 크다. 이는 계면에서의 모세관 압력 저감을 줄이는 대신 유체 점성으로 인한 압력 차를 증가시켜, 결국 공극 내 유체의 속도가 빠르게 된다. 이렇게 공극 내 빨라진 물의 흐름에 의해 기름은 더 많이 유출된다. 반면 친수성 재료에서는 동일한 압력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 내 유속에 의해 기름이 잘 밀려나지 않고 결과적으로 많은 양이 남게 된다. 이번 연구는 단순한 유체거동 분석을 넘어 지하수 내 오염물질의 이동 및 정착 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군부대와 주유소 부지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지하수 내 유류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투수성 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 PRB)와 같은 오염확산 방지 시설을 효과적으로 설계, 운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KIST 정재식 박사는 “지하수 정화는 단순한 재료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유체의 흐름과 계면에서의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대표적인 다중물리현상이다”며 “이번 연구는 지하수 정화뿐 아니라, 석유 회수 증진(EOR),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같은 다공성 매질 내 다양한 비혼성 대체 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환경부(장관 김성환)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및 지중환경오염위해관리기술개발사업(RS-2021-KE002011) 등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pj Clean Water」 (IF 10.5, JCR 수자원 분야 상위 1.2%) 최신 호에 게재됐다. <img src="/_attach/kist/editor-image/2025/08/wWubmcthlzWclEyiTxqfVPHnXU.png" class="fr-fic fr-dib" data-path="/_attach/kist/editor-image/2025/08/wWubmcthlzWclEyiTxqfVPHnXU.png" data-size="171940" data-success="true" data-file_name="wWubmcthlzWclEyiTxqfVPHnXU.png" [그림 1] 미세유체실험 모식도(a) 및 사용된 uniform 및 random rock 타입 칩 (b,c) 일정 차압조건을 유지하며 진행된 물-기름 비혼성 대체 미세유체실험 모식도. 사용된 미세유체 칩의 경우, 일정한 공극구조를 갖는 uniform타입과 함께 실제 지중환경을 모사한 random rock타입을 사용함. [그림 2] 비혼성대체시 모세관 내 압력 강하의 구성 및 해석모델 모세관 내에서 두 가지 유체(침투유체와 기존유체)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압력 강하의 구성을 설명하는 그림 및 해석모델. 유체의 흐름이 단순히 점성이나 압력 차에 의한 것이 아니라, 모세관 압력과 점성압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됨. [그림 3] 공극 내 비혼성 대체 모식도 및 다중규모에서의 흐름/반응 관련 변수들 경향 정리 공극규모에서의 실험결과를 보다 피부로 와닿을 수 있는 연속체 규모로 확장해 실질적 차원에서의 환경적 함의를 제시함.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소수성 환경에서 유속이 높아지고, 잔류 기름이 줄 수 있음을 설명함. 이는 기존의 “소수성이 기름을 잘 붙잡는다”는 상식을 지하수환경과 같이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배경 유체 흐름 하에서는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함.
2025 - 08 - 13
-
최신연구성과
KIST, 폭넓은 용매에 분산 가능한 세계 최초 ‘고전도성 양친성 맥신’ 개발
KIST, 폭넓은 용매에 분산 가능한 세계 최초 ‘고전도성 양친성 맥신’ 개발 - 물,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에 모두 분산되는 고전도성 맥신 소재 개발 - 미래 모빌리티·스텔스 소재·이차전지 등 응용 확장성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 김선준 박사 연구팀은 극성·비극성 유기용매 모두에 분산이 가능한 ‘고전도성 양친성 맥신(MXene)’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고전도성 맥신의 실용화를 가로막던 용매 호환성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한 성과로 미래 첨단산업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범용 기술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맥신(MXene)은 높은 전기전도도, 우수한 용매 분산성, 탁월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지닌 2차원 나노소재로, 이차전지, 첨단 센서, 스텔스 도료, 전자파 차폐 필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맥신은 대부분 친수성 특성으로 인해 물에는 잘 분산되지만 다양한 유기 용매에는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고분자 복합소재, 잉크 공정 등 실용 공정과의 호환성 확보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맥신 표면에 알콕사이드(Alkoxide) 유기 단분자를 도입하는 표면 개질 기술을 개발해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진 양친성을 부여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통해 맥신은 극성지수가 높은 물부터 낮은 톨루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극성 범위의 용매에 안정적으로 분산됐다. 또한, 개발된 양친성 맥신은 기존 맥신보다 뛰어난 코팅 특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나타냈다. 잉크 형태로 가공된 맥신은 이차전지의 집전체로 널리 사용되는 구리 및 알루미늄 기판 위에 균일하게 코팅되었으며, 폴리이미드와 PET 같은 상용 고분자 기판은 물론 소수성이 가장 높은 테플론 기판에도 균일한 코팅이 가능했다. 또한, 차세대 통신에 사용되는 주요 주파수 대역인 28GHz 영역에서도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유지했으며, 두께 0.01mm의 매우 얇은 필름에서도 50dB 이상의 차폐 성능(전자파 99.999% 이상 차단)을 나타냈다. 이번에 개발된 맥신은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의 전자파 차폐 소재를 비롯해, 용액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이차전지 전극 소재 제조, 스텔스 무인기의 전파 흡수 복합체 등에 적용이 가능한 범용 기술로 응용 확장성과 산업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KIST 김선준 박사는 “이번 성과는 맥신 소재가 연구실 단계를 넘어 산업 현장 공정에 직접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기술적 전환점”이라며, “현재 국내외 맥신 개발 및 수요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대량 생산 기반 기술로 확장 적용 중이며, 실용화 단계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미래선도형융합연구단사업(CRC22031-000),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사업(P0028332)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F 26.8, JCR 분야 2.1%) 최신 호에 게재됐다. * (논문명) Covalent Surface Modification of Hydrophobic Alkoxides on Ti3C2Tx MXene Nanosheets Toward Amphiphilic and Electrically Conductive Inks [그림 1] 알콕사이드 분자를 활용한 양친성 특성의 맥신 합성 기술 개요 기존 맥신 소재에 알콕사이드 (alkoxide) (에톡사이드 (ethoxide) 또는 페녹사이드 (phenoxide) 계열의 알콕사이드) 분자와 반응시켜서 양친성 맥신을 합성하는 기술 개요 [그림 2] 기존 맥신 소재와 양친성 맥신 소재의 용매별 분산 특성 비교 (왼쪽) 기존 맥신 소재의 경우 용매 극성 지수가 높은 물 또는 에탄올에만 분산됨. (오른쪽) 양친성 맥신 소재의 경우 용매 극성 지수가 높은 물부터 용매 극성 지수가 낮은 톨루엔까지 우수한 용매 분산성을 나타냄 [그림 3] 기존 맥신 소재와 양친성 맥신 소재의 기판별 코팅 특성 비교 (왼쪽) 기존 맥신 소재의 경우 다양한 금속 또는 고분자 기판에 불균일하고 불완전한 코팅됨. (오른쪽) 양친성 맥신 소재의 경우 다양한 금속 또는 고분자 기판에 균일하고 완전한 코팅됨.
2025 - 08 - 07
-
최신연구성과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난치성 질환의 맞춤형 치료제 실현 한 걸음 더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 난치성 질환의 맞춤형 치료제 실현 한 걸음 더 KIST, 엑소좀에 거대분자를 10분 내 고효율 로딩하는 기술 개발 엑소좀 손상 없이 거대 약물 고효율 탑재로 난치성 질환 치료 기대 엑소좀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생체 유래 입자로, 약물을 특정 세포에 전달하는 데 활용되는 차세대 전달체다. 하지만 엑소좀은 다량의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촘촘하고 질긴 막 구조로 되어 있어, mRNA나 단백질 같은 거대분자 약물을 내부에 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에는 엑소좀에 약물을 담기 위해 전기충격이나 화학 처리를 사용했지만, 이 과정에서 약물과 엑소좀이 손상되기 쉽고 전달 효율도 낮을 뿐 아니라 복잡한 정제 과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상용화에 어려움이 많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김호준 박사, 뇌융합연구단 김홍남 박사 연구팀은 단순히 섞기만 해도 거대분자를 엑소좀에 빠르게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약물 로딩(loading)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단순히 두 용액을 섞는 것만으로도 10분 이내에 약물을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어 엑소좀 기반 치료제의 실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큐보좀’이라는 지질 나노입자를 활용해 거대분자 약물을 엑소좀에 쉽게 담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세포막과 비슷한 성질을 지닌 큐보좀은 엑소좀과 자연스럽게 융합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약물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다. 연구팀은 mRNA를 담은 큐보좀과 엑소좀을 상온에서 10분 동안 함께 두는 것만으로도 mRNA가 엑소좀 내부에 빠르게 전달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mRNA 98% 이상이 엑소좀 내부에 담겼고 엑소좀의 구조와 생체 기능도 그대로 유지됐다. 연구팀이 합성한 엑소좀은 인체 내 약물 전달이 어려운 조직인 뇌혈관장벽을 성공적으로 통과했으며 엑소좀 고유의 기능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엑소좀이 본래 유래된 세포로 되돌아가는 ‘호밍(homing)’ 특성이 관찰돼 병변 부위에 정확히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기술은 엑소좀을 변형하지 않고도 거대분자 약물을 효율적으로 담을 수 있어 엑소좀 기반 치료제를 정밀의료 분야에 실제로 적용할 가능성을 열었다. 이 기술은 장비나 복잡한 처리 없이 간단한 공정으로도 실제 임상 환경에서도 쉽게 활용될 수 있다. 엑소좀의 생체 기능을 유지한 채 거대분자 약물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뇌 질환, 암,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정밀 치료제 개발에도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실제 환자 적용을 위한 추가 안전성 평가와 함께 큐보좀의 대량생산 체계 확보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KIST 김호준 박사는 “엑소좀과 약물을 의료 현장에서 손쉽게 조합하여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환자 맞춤형 치료제 실현에 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김홍남 박사는 “뇌처럼 복잡한 조직에서도 정확한 약물 전달이 가능해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개인기초연구사업(RS-2023-00209955), STEAM연구사업(RS-2024-00424551) 등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IF 14.7, JCR 분야 6.0%) 최신 호에 게재됐다. [그림 1] 큐보좀과 엑소좀의 혼합을 통한 약물 로딩 큐보좀과 엑소좀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약물이 탑재된 하이브리드 엑소좀이 형성되는 과정을 실제 조제 방식과 함께 시각적으로 보여주었음. 이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구현 가능한 간단한 로딩 공정임을 보여줌. [그림 2] 막 융합 기반 엑소좀 내 약물 로딩 메커니즘 및 결과 큐보좀과 엑소좀이 막 융합을 통해 하나로 결합하면서, 큐보좀에 탑재된 거대분자 약물이 엑소좀 내부로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념도임. 실험 결과, mRNA, 단백질 등 다양한 약물을 높은 효율로 로딩하는데 성공함. [그림 3] 하이브리드 엑소좀의 뇌혈관장벽 투과 성능 평가 약물이 탑재된 하이브리드 엑소좀은 뇌혈관장벽을 효과적으로 통과하였으며, 뇌 조직 내로의 약물 전달 성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음. 이를 통해 정밀한 뇌 표적 치료제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음.
2025 - 07 - 17
-
최신연구성과
유전자·세포 도핑 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스포츠 윤리와 공정성 지킨다.
유전자·세포 도핑 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스포츠 윤리와 공정성 지킨다. - 유전자 가위 활용한 체외 유전자·세포 도핑 여부 고속 진단법 개발 - KIST 도핑콘트롤센터, 세계반도핑기구와 국제 공인 논의 진행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도핑콘트롤센터의 성창민 책임연구원은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박희호 교수 공동연구팀과 유전자 가위(크리스퍼-카스(CRISPR-Cas)) 기반의 고처리량 다중 유전자·세포 도핑 분석법(HiMDA, High-throughput Multiplexed gene and cell Doping Analysis)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비윤리적 도핑이 첨단 기술과 결합하면서 지능화되고 있으며, 특히 유전자나 세포치료제를 활용해 체내 기능을 조작하는 ‘유전자·세포 도핑’은 스포츠계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근력 및 지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I), 적혈구 생성인자(EPO) 등 유전자 기반 약물은 일부 종목의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2003년부터 해당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유전자 및 세포 도핑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진단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2021년 세계반도핑기구가 유전자 도핑 검사법 가이드라인을 처음 발표한 이후, 도쿄 하계올림픽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PCR) 기반의 유전자 증폭 검사법이 시범 도입되었지만, 현행 단백질 수준의 도핑 분석법으로는 체내 단백질과 구조적으로 동일한 체외 유전자 물질은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DNA 수준에서 체외 유전자를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플랫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분석법은 복잡한 시료 전처리 과정 없이 혈액 내에서 표적 유전자를 직접 증폭하고, 이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유전자 편집 기술(CRISPR-Cas)을 적용해 체외 유전자의 존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판별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인간 성장호르몬(hGH, EPO, IGF-I) 등 대표적인 유전자 도핑 물질을 실험용 마우스 모델에 주입한 뒤 분석 플랫폼을 적용한 결과, 손끝에 맺힌 핏방울의 절반만큼도 안 되는 극소량의 혈액 시료 5μL(마이크로리터)만으로도 2.5 분자 수준의 체외 유전자를 90분 이내에 정확히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분석법 대비 민감도 및 특이도 모두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한 것이다. 개발한 분석법은 도핑검사에 국한되지 않고, 감염병 조기 진단, 항생제 내성 유전자 탐지, 유전병 검사, 세포치료제 적응성 평가, 정밀의료 분야 등으로의 응용이 가능한 플랫폼 기반 진단기술로 평가된다. 현재 해당 기술은 세계반도핑기구 공인 분석법으로 채택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며, 유전자·단백질 기반의 다양한 신규 도핑 방식에 대응 가능한 차세대 반도핑 검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KIST 성창민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도핑검사에 적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스포츠 윤리와 공정성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해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정밀의료와 유전자 진단 기술의 핵심 기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과 세계반도핑기구 연구 지원사업(241E07CS)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 (IF 12.5, JCR 상위 8.5%) 최신 호에 게재됐다. * (논문명) High-throughput multiplexed gene and cell doping analysis through CRISPR-Cas12a system integrated with blood direct PCR [그림 1] 유전자 도핑 약물 종류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검출 방법 모식도 유전자 도핑은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이용하며, 현행 단백질 약물 모니터링 반도핑 검사법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림 2]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도핑 유전자 4종의 2.5분자 및 도핑 유전자 변형 세포 1개 검출 결과 혈액 속 매우 미량의 도핑 유전자 및 유전자 변형 세포제제를 핵산 추출 없이 바로 증폭하며, 이후 유전자 가위의 한 종류인 Cas12a의 서열 의존적 형광 반응으로 타겟 유무를 확인한다. 혈액으로부터 결과 판독까지 90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이뤄진다. [그림 3] 실제 실험에 사용되는 혈액 속 도핑 유전자 증폭 과정과 이를 검출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는 경우의 예시 혈액 내 도핑 유전자를 핵산 추출 없이 증폭하여 추출에 드는 시간과 인력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여러 혈액 시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고속처리 및 분석이 가능하다. [그림 4] 적혈구 생성인자 유전자 도핑 제제 및 유전자 변형 세포 제제 검출의 동물 실험 결과 각 실험군 별 7마리의 쥐가 사용되었으며, 약물 주입 후 84시간 뒤 해당 목적 유전자 약물 및 유전체 변형 세포를 처리한 쥐의 혈액에서도 도핑 목적의 적혈구 생성인자의 유전자를 검출하였다.
2025 - 07 - 16
-
최신연구성과
복잡한 고온 공정 없이 촉매 성능·내구성 4배↑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복잡한 고온 공정 없이 촉매 성능·내구성 4배↑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 상온에서 초음파를 활용해 간단하게 만드는 고성능 연료전지 촉매 기술 개발 - 기존보다 수명은 4배 이상, 효율은 5배 높아져 수소연료전지 가격경쟁력 향상 기대 수소연료전지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고효율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장시간 운전 시 성능이 떨어지고 촉매 교체에 따른 높은 유지비용으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촉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 성분이 녹아내리거나 입자가 뭉치며 반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성능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생산 비용 부담이 적은 촉매 기술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유성종 박사 연구팀은 POSTECH(총장 김성근) 천동원 교수, KAIST(총장 이광형) 양용수 교수, 동국대학교(총장 윤재웅) 진하늘 교수와 공동으로 고성능‧고내구성 촉매를 상온에서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촉매는 백금과 니켈을 정밀하게 배열한 나노입자로, 반응 면적을 넓히고 촉매 손실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돔 형태의 구조로 설계됐다. 기존 촉매는 600℃ 이상의 고온에서 정밀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이번 기술은 상온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1단계 공정만으로도 촉매의 정밀한 구조 형성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안경 세척기와 유사한 방식의 초음파 장치를 활용해 금속 원자가 자연스럽게 정렬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이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비용을 줄이면서도 촉매의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개발된 촉매는 실험실 수준의 성능 검증 결과, 기존 상용 촉매보다 질량 활성도는 약 7배, 실제 연료전지 구동 시험에서는 반응 효율이 약 5배 향상됐다. 내구성 평가에서도 미국 에너지부(DOE)의 기준에 따라 약 42,000시간 이상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어 현재 상용 촉매 대비 수명이 약 4.2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트럭, 버스, 선박, 발전소 등 대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교체 주기를 줄이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촉매는 전체 제조비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번 기술이 상용화되면 수소연료전지의 가격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현재 연구팀은 다양한 전이금속 조합으로 기술을 확장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단위 평가와 실증 연구도 함께 진행 중이다. KIST 유성종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촉매는 돔형 구조와 정밀한 원자 배열을 통해 기존보다 성능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됐다”라며, “상온에서 합성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수소연료전지 상업화와 탄소중립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과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NRF-2021M3H4A1A02042948)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F : 29.4, JCR 분야 상위 2%)에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선정됐다. * 논문명 : Suppressing Metal Dissolution in Multi-Grained Catalysts through Intragrain Atomic Ordering for Stable Fuel Cells [그림 1] 초음파 가미 합성 매커니즘에 대한 간략한 일러스트레이션 상온 및 상압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수소화붕소 환원 반응을 통해 합성된 Ni3Pt5 초격자 구조 상을 포함하는 다결정 돔-중공 구조의 NiPt 나노합금 형성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초기에는 NiPt 나노입자(약 3 nm)가 탄소 기판 위에 빠르게 형성되고, 이후 빠른 Ni 환원으로 인해 약 10분 이내에 Pt@Ni 코어-쉘 구조로 발달합니다. 농도 구배에 의한 커켄달 확산은 합금화 및 중공 구조 형성을 촉진합니다. 또한, 전체 반응 시간(90분) 동안 초음파에 의해 유도된 공동 폭발은 원자 이동 및 혼합을 더욱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국부적인 Ni3Pt5 초격자 구조 상을 포함하는 독특한 돔-중공 구조의 NiPt-SP 나노입자(<8 nm)를 생성합니다. 이 그림은 NiPt 시드에서 돔-중공 구조의 NiPt-SP 나노입자로의 구조적 성장에서 연속 초음파 처리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강조합니다. [그림 2] 단일 원자 수준에서 NiPt-SP 나노합금의 3D 구조 분석. NiPt-SP 의 국소적 구조 및 화학적 배열은 3D AET를 사용하여 원자 수준에서 더욱 자세히 분석하였습니다. 나노입자 내의 완전한 3D 원자 좌표와 화학종은 단층촬영을 통해 결정되었으며, 11,819개의 원자(Ni 4,994개와 Pt 6,825개)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냈습니다. 이 영역에서 원자 구조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여 총 1,534개의 원자(Ni 591개와 Pt 943개)를 확인한 결과, 국소적 원자 구조를 기반으로 결정립 내 각 원자에 대해 상당 부분이 Ni3Pt5 초격자 구조 상에 할당되어 NiPt-SP 나노입자에서 Ni3Pt5의 화학적 배열을 직접적으로 입증합니다. 추가적으로 AET를 통해 Ni가 풍부한 A1 상의 원자가 표면 근처와 인접 결정립의 경계에 주로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Ni 원자가 나노입자에서 완전히 용출되지 않고 표면과 결정립계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Pt 분율 및 상 분포 곡선을 기반으로 한 정량 분석은 표면 및 결정립계 근처에서 Ni가 풍부한 A1 상의 비율이 더 높으며, 결정립 내부로 더 깊이 들어갈수록 Pt가 풍부한 A1 상과 Ni3Pt5 초격자 구조 상이 우세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림 3] 소형/중·대형 PEMFC 운전 조건에 따른 NiPt-SP 성능 평가 소형 연료전지 운전 조건에서는 80℃, 1.5 bara의 압력과 0.083 mgPt/cm2의 백금 로딩 하에 테스트가 진행되었으며, NiPt-SP는 질량 활성도 0.94 A/mgPt를 기록하여 DOE 소형 타겟(0.44 A/mgPt)을 크게 초과하였다. 전반적인 내구성 시험은 미에너지부 (Department of energy, DOE)의 가속 열화 시험 (accelerated durability test, ADT) 프로토콜로 시험하였다. 내구성 시험(30,000 사이클 ADT) 후에도 질량 활성도의 78%를 유지하여 DOE 타겟(60%) 대비 우수한 유지율을 보였고, 0.8 A/cm2에서의 전압 감소는 18 mV로 DOE 기준(30 mV 이하)을 만족하였다. 중·대형 연료전지 운전 조건에서는 94℃, 2.5 bara의 압력, 0.18 mgPt/cm2의 백금 로딩(총 0.25 mgPt/cm2)으로 평가되었으며, 초기 최대 출력은 1.46 W/cm2로 DOE 중·대형 타겟(1.3 W/cm2 이상)을 상회하였다. 장기 내구성 시험 (90,000 사이클 ADT) 후에도 출력 손실은 5%로 DOE 기준(10% 이내)을 충족하였고, 백금 활용도 또한 3.4 kW/gPt로 DOE 타겟(2.5 kW/gPt 이상)을 초과 달성 하였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촉매 효율과 수명에 대해 역산하였을 때, 촉매 효율 71.2%, 약 42,000시간의 기대 수명 (중·대형 연료전지 ADT 기준, 초기 정격 전압 대비 10% 감소 시간)을 나타내며 세계 최고 수준의 실증적 연구 결과로 판단된다. [그림 4] 표지논문(Back Cover) 이미지 상온에서 초음파 기반 원자 전이를 통해 Ni3Pt5 질서 구조를 포함한 돔형 중공 NiPt 나노촉매를 합성하는 과정을 시각화한 이미지입니다. 파란색과 주황색 원자는 각각 백금과 니켈을 나타내며, 백금 위주 무작위 합금 seed 형성 → 성장 → 중공 구조화 및 합금화 → 지속적 초음파에 의한 다결정 내 질서 구조 형성 과정을 묘사하였습니다. 형성된 질서 배열은 금속 용출을 억제하여 PEMFC에서 높은 활성도와 장기 내구성을 구현하며, 수소 트럭, 수소차, 항공기, 발전소 등 중대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합니다.
2025 - 07 - 13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대학, 국가·사회문제해결 “One-Team” 으로 뭉쳤다.
KIST-대학, 국가·사회문제해결 “One-Team” 으로 뭉쳤다. - KIST ‘학연 특화 프로그램’ 참여 대학 총장들과 간담회 - KIST-대학, 국가·사회문제 해결 ‘임무 중심형 연구 플랫폼’ 모델 제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10월 14일(화) 오전, KIST 서울 본원에서 국내 주요 대학교 총장 및 관계자들과 학연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KIST가 운영 중인 총 12개 ‘학연 특화 프로그램’의 파트너 대학 중 9개 대학(고려대 · 연세대 · 성균관대 · 한양대 · 경희대 · 중앙대 · 이화여대 · 전북대 · 전주대)이 참여했다. KIST는 여러 국가·사회적 문제와 당면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2024년에 <임무중심연구소 체제>로 재편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PM(Project Manager)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이러한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계에 거는 국가적 기대에 보다 적극적으로 부응하고자 마련된 이번 간담회에서, KIST 원장과 학연 협력 파트너 대학의 총장들은 ‘One-Team’으로서 함께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연 주체들이 연구과제의 기획부터, 수행, 성과창출 전 단계에 함께 참여하고, 이 과정에 들어가는 예산/인력/장비의 공동투자 및 활용과 인력 교류 등 전방위 협력을 해나갈 예정이다. KIST는 이러한 학연 협력 활성화의 일환으로, 지난 2010년부터 고려대와 함께 “에너지환경대학원(그린스쿨)” 설립을 시작으로 학연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대학원생이 학위 과정 기간 동안에 KIST 연구과제에 참여하고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는 국내 대표적 ‘현장형 과학기술 인재육성’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글로벌 전략기술 분야 인재 부족 심화가 가속되고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투자가 선별·집중되는 상황 속에서, 정부 출연연구소와 대학이 ‘One-Team’으로서 과학기술을 통한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에 앞장서가자”는 포부를 밝혔다. KIST는 이러한 학연 협력활동을 계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국가·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한 연구 주제의 지속 발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학연 협력 활동 지원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사진1] 장준연 KIST 부원장이 국가 R&D 임무 해결을 위한 출연연-대학 협력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2] KIST-대학 간 학연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에 참석한 주요 참석자들이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10 - 14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한·미 과학기술 협력의 상징, KIST-LLNL 제6차 공동워크숍 개최
한·미 과학기술 협력의 상징, KIST-LLNL 제6차 공동워크숍 개최 - KIST-美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와 공동워크숍 개최 - 기후환경, 수소, 물자원순환, 배터리, 촉매 등을 주제로 연구협력 추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9월 9일부터 9월 11일까지 사흘간 서울 성북구 KIST 본원에서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이하 LLNL)와 함께 ‘2025년 KIST-LLNL 공동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여섯 번째로 열리는 공식 교류의 장으로, 한·미 양국의 젊은 연구자들이 모여 공동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LLNL 방문단은 Dr. Glenn A. Fox 부국장을 단장으로 총 20명의 연구진으로 구성됐으며, △기후환경 △수소 △물자원순환 △배터리 △촉매 분야를 중심으로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협력 가능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의 대표 정부출연연구기관인 KIST와 미국 에너지국(DOE) 국가핵안전관리처(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 산하의 국립연구소인 LLNL은 양 기관의 연구 역량을 결합해 국제공동연구 모델을 발전시켜왔다. 양 기관은 2019년 첫 공동워크숍을 시작으로 협력 관계를 꾸준히 확대해 왔으며, 특히 2024년 12월부터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국제공동연구의 일환으로 청정기술을 위한 고급 재료 개발과 기후 과학 협력 연구 등이 추진되고 있다. KIST 오상록 원장은 “KIST와 LLNL이 축적해 온 신뢰와 협업 경험을 바탕으로, 수소·청정에너지·기후환경 등 글로벌 난제 해결에 기여할 공동연구의 실질적 진전을 이끌겠다”며, “특히 60년 전 미국의 지원으로 설립된 연구소가 이제는 세계적인 연구소와 대등한 파트너로 협력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내년 KIST 설립 60주년을 앞두고 있는데, 이번 제6차 워크숍이 인력 교류 확대와 제도화된 협력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진1] KIST-LLNL 공동워크숍에서 오상록 KIST 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2] KIST-LLNL 공동워크숍에서 글렌폭스 LLNL 방문단장이 답사를 하고 있다. [사진3] KIST-LLNL 공동워크숍에 참석한 협력 연구자 및 경영진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 - 09 - 09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경북도-구미, ‘국방 반도체 연구(R&D) 동맹’ 결성
KIST-경북도-구미, ‘국방 반도체 연구(R&D) 동맹’결성 - 국방 반도체 공동연구 맞손, 첨단 국방 반도체 허브 탄생 - 국방·안보 반도체 기술 자립화를 위한 첨단 R&D 기반 마련, 지역 기업 참여 확대를 위한 발판 마련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김영식, 이하 NST) 산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9월 2일 경상북도 도청 회의실에서 오상록 원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김영식 NST 이사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국방 반도체 및 관련 분야 공동연구사업」추진을 위한‘KIST-경상북도-구미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KIST의 세계적인 연구 역량, 경상북도의 전략적 지원, 구미의 탄탄한 산업 기반이 하나로 모여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급부상하는 국방 반도체 분야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술의 자립화를 위한 실질적인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글로벌 지정학적 불안정과 방위산업 수요 급증으로 국방반도체는 국가 안보의 핵심이자 미래 국방력의 기반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방반도체 수요의 98%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 자립과 국내 생산 능력 확보는 국가 안보와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과제로 꼽힌다. 이에 화합물 반도체, 센서 등 국방 반도체와 밀접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 동안 연구 역량과 인프라를 축적해 온 KIST가 경상북도, 구미시와 함께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국산 기술 개발과 기업 동반 성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협약에 따른 공동연구사업의 주요 과제로는 ▲(첨단기술) 양자형 적외선 센서 기술 ▲(민군수요) 민군겸용 비냉각식 적외선 이미지센서 기술 ▲(상용화) 질화갈륨(GaN) 기반 초고주파 회로 기술개발이 선정되었다. 각각의 과제는 첨단 화합물 반도체 기술을 적용하고, 지역 기업의 참여를 통해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수입대체 및 국산화를 추진 할 계획이다. 오상록 KIST 원장은 “이번 협약은 국방 반도체 기술 자립을 향한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KIST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수준의 국방 반도체 관련 연구 역량과 경상북도, 구미시, 지역기업의 힘이 모여 대한민국 국방과학기술 발전을 이끄는 중심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첨단 국방반도체 기술은 단순한 산업을 넘어 국가 생존과 직결된 분야”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경북이 대한민국 국방반도체 기술의 심장이 되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북도와 구미시, KIST가 함께 시작하는 이번 공동연구사업은 우리나라 국방력 강화를 위한 첫걸음이자, 차세대 국방반도체 자립을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1] (좌측부터) 최병준 경상북도의회 부의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김영식 NST 이사장, 오상록 KIST 원장, 김장호 구미시장, 박교상 구미시의회 의장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9 - 02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전주대학교,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 인재양성 및 공동연구 학연 특화과정 업무협약 체결
KIST-전주대학교,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 인재양성 및 공동연구 학연 특화과정 업무협약 체결 - KIST 전북과 전주대학교 특화 분야 학·연 협력 본격화 -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의 공동연구 및 인재 확보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전주대학교(총장 박진배, 이하 전주대)와 8월 19일(화), 전주대학교 본관 경기전에서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 학연 특화과정’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상록 KIST 원장, 박진배 전주대 총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KIST와 전주대가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의 공동연구와 융합형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와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첨단 융합기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특화연구분야 공동연구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수행 ▲연구·교육 인프라 공동활용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세미나 및 심포지엄 공동 개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KIST 연구자와 전주대 교원, 지역기업이 연계한 CarbonAI 실용화 융합연구팀을 구성해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학연 특화과정 운영을 위해 양 기관에서 공동연구 기금을 마련한다. 학연 특화과정 참여 대학원생에게는 KIST가 연수장려금을, 전주대가 정규학기 등록금을 지원해 안정적 연구·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오상록 KIST 원장은 “AI 기반 우주용 복합소재 분야는 차세대 국가 산업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며 “학연 특화과정은 교육과 연구가 하나로 움직이는 산·학·연 협력 모델로, KIST 전북 연구자와 전주대 교수들의 협력을 통해 국가와 지역의 혁신 경쟁력을 높이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배 전주대학교 총장은 “전주대의 학문적 기반과 KIST의 우수한 연구인력, 인프라가 결합해, 전주대가 지역혁신거점대학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사진1] (좌측부터) 오상록 KIST 원장, 박진배 전주대학교 총장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8 - 19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서울 홍릉 강소특구, 2024년 ’최우수‘ 등급 선정! 바이오‧의료 분야 사업화지원 선도모델 구축
서울 홍릉 강소특구, 2024년 ’최우수‘ 등급 선정! 바이오‧의료 분야 사업화지원 선도모델 구축 - 2024년 강소특구 연차평가, ‘최우수’ 등급 선정 서울시와 기술핵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원장 오상록) 등이 추진 중인 ‘서울 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년 강소특구 연차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홍릉강소특구는 ‘디지털헬스케어’ 특화 분야를 중심으로 1단계 기반조성을 위해 서울시를 필두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경희대학교‧고려대학교 기술핵심기관이 함께 5년간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로 구축해왔다.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연구개발부터 연구소기업 및 기술상용화, 임상실험까지의 전주기 지원을 노력해왔다. 대표적으로 ▲기술 발굴&사업화(산학연병 연계, 공동 연구개발) ▲벤처지원플랫폼(의사창업, 병원네트워크), ▲기술창업 스케일업(GRaND-K 창업학교, 기술특례상장), ▲R&D 고도화 및 실증(오픈이노베이션, 규제혁신) 등의 강소특구 내 기술이전/사업화의 우수한 성과를 거두는 등 바이오 딥테크기업의 육성을 위한 성장 플랫폼을 활성화 시켜왔다. 3개의 기술핵심기관(KIST‧경희대‧고려대)의 공동 사업 추진으로 풍부한 원천기술과 바이오‧의료 분야 연구 역량 및 임상시험 인프라(연구중심병원 등)를 토대로 사업 연계 결과, ▲투자연계 659억원, ▲매출액 183억원, ▲기술이전 110건, ▲신규창업 76건, ▲연구소기업 39개 설립 등의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홍릉 특구 기반을 조성하고자 특구육성 사업비 210억원 중, 지방비 56억원을 투자하였으며, 인프라 조성‧운영 및 자금 지원을 위하여 1,563억원(인프라 조성 1,303억원 및 바이오펀드 260억원)의 자금을 과감한 투자로 전폭적인 지원이 바탕된 결과였다. 2026년부터 추진되는 2단계 특화발전을 위해 그간의 성과를 기반으로 ▲홍릉 벤처스튜디오 기반 기획형 창업, ▲병원 연계 및 임상 기술이전 사업화,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오픈이노베이션 등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의 도약을 목표 삼아 사업 추진전략을 계획 중에 있다. 기술핵심기관인 오상록 KIST 원장은 “강소특구는 연구·창업·투자가 연계된 혁신 클러스터로,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전략적 사업”이라며, “5년간의 짧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큐어버스와 같은 글로벌 우수 사례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향후 지속 성과 창출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이고도 전향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핵심기관 윤성택 고려대학교 부총장은 “바이오‧의료 분야의 상호 협력을 통해 발전할 수 있는 분야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채널이 필요하다.”며, “강소특구 2단계 사업 추진에 있어 글로벌 메디 클러스터(Globe Medi Cluster)의 실현을 위해 국내‧외 유간기관 간의 연계 및 거점을 구축하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술핵심기관 최희섭 경희대학교 부총장은 “1단계 사업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과의 조직 구성을 통해 성과를 내어왔다.”며 연구개발(R&D)에 집중하는 전략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에 맞추어 2단계 사업의 치밀한 차별화 전략과 기관 간 협력, 거버넌스 확장 등 바이오 플랫폼의 협업 체계가 중심이 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2025 - 08 - 11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 어썸엔터테인먼트(주)와 ‘과학문화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KIST, 어썸엔터테인먼트(주)와 ‘과학문화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KIST-어썸엔터테인먼트(주),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과학기술 전문성과 콘텐츠 제작 역량을 결집해 과학 대중화에 실질적 기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원장 오상록)과 어썸엔터테인먼트(주)(대표 김재석, 정재훈)는 과학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난 7월 23일, KIST 본원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KIST 연구진과 어썸엔터테인먼트(주)가 운영하는 대형 과학 유튜브 채널 ‘보다 BODA’ 등을 중심으로 과학 콘텐츠를 제작·확산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과학자와 대중 간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 KIST 연구원의 콘텐츠 출연 협조 및 과학적 자문 제공 ▲ 공동 기획 콘텐츠 개발 및 과학 대중화 프로그램 연계 ▲ 협업 콘텐츠를 SNS,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 ▲ ‘스타 과학자’ 발굴을 통한 대중적 과학소통 모델 제시 등이다. 특히, 이번 협약은 KIST가 보유한 과학기술 전문성과 어썸엔터테인먼트(주)의 콘텐츠 제작 역량을 결합해 과학 대중화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와 어썸엔터테인먼트(주)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연구자와 대중이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확대하고, 과학기술을 보다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IST 연구원이 직접 참여하는 양질의 과학 콘텐츠를 제작·확산함으로써, 과학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동시에 국민의 과학적 소양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와 어썸엔터테인먼트(주) 간의 협력은 과학기술을 대중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국민께 도움이 되는 연구 성과를 대중과 함께 나누고,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정재훈 어썸엔터테인먼트(주) 대표는 “이번 협약이 양 기관의 역량을 결합하여 과학기술 대중화와 사회적 가치 창출에 이바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KIST와 함께 과학 콘텐츠 제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협업을 넘어,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 어썸엔터테인먼트(주)는 2024년 3월, BODA 구독자 명의로 키스트미래재단에 1천만 원을 기부하며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한편, 어썸엔터테인먼트(주)는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유튜브, 틱톡 등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각각 293만, 266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브 교양 채널 ‘지식인사이드’와 ‘보다 BODA’를 통해 과학, 역사, 기술 등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전문 지식을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콘텐츠로 제작하고 있으며, 유익하면서도 흥미로운 내용으로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사진1] (좌측부터) 정재훈 어썸엔터테인먼트(주) 대표, 오상록 KIST 원장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협약식에 참석한 기관의 주요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7 - 24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이화여대, 미래 핵심기술분야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KIST-이화여대, 미래 핵심기술분야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 차세대반도체, AI·로봇, 기후·환경, 천연물·신약 기술 개발 등 연구협력 - 대학-출연(연) 벽허물기를 통해 개방형 R&D 생태계 고도화 초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과 이화여자대학교(총장 이향숙, 이하 “이화여대”)는 지난 7월 14일(월), 이화여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연구협력 및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학-출연연 벽허물기’의 일환으로,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서의 학연 협력을 강화하고,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양 기관은 ▲차세대반도체 ▲AI‧로봇 ▲기후‧환경 ▲천연물‧신약 기술 개발 등 특화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상호협력 및 공동연구 △상호 기술·인력교류 △과학기술 전문 여성인력 양성 등 전방위적인 협력과 교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협약 체결에 앞서 열린 교류회에서는 차세대반도체, AI·로봇, 기후·환경, 천연물·신약 등 특화 분야별 KIST 임무중심연구소 소장들과 이화여대 소속 연구자들이 참여해, 각 분야별 연구 주제와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와 이화여대의 강점을 결합해 국가와 사회의 난제를 해결하는 혁신적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향숙 이화여대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반도체, AI‧로봇 기술과 같은 첨단분야는 물론, 기후‧환경 및 천연물‧신약 분야에 이르는 폭넓은 협력을 통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기술을 선도하는 유능한 여성 인재를 육성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KIST와 이화여대는 1997년 학·연 협동 석‧박사 과정을 설치하며 협력의 토대를 마련한 바 있으며, 이번 MOU를 계기로 교육과 연구를 연계한 인재양성과 임무 중심 공동연구 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사진1] (좌측부터) 오상록 KIST 원장, 이향숙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7 - 15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키스트이노베이션' 출범
KIST,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키스트이노베이션' 출범 - 유상임 장관 참석한 가운데 비전 선포식 개최.. 곽병성 초대 대표이사 취임 - ‘과학에 가치를 더하다’를 비전으로, KIST 특화 공공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에 대한 기대감 높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7월 11일(금) 서울 성북구 KIST 본관 존슨 강당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주식회사 키스트이노베이션의 비전 선포식과 대표이사 취임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키스트이노베이션은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신기술창업전문회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육성 전략에 맞춰 지난 6월 정식으로 설립됐다. 기술사업화의 선도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KIST만의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기술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기존 창업기업의 인큐베이팅 및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해온 한국기술벤처재단과 KIST 내부 기술이전 전담조직(TLO) 기능을 통합해 축적된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기술사업화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는 1974년 출연연 최초의 기술사업화 전문회사인 한국기술진흥주식회사(K-TAC)를 전액출자해 설립한 바 있다. 키스트이노베이션은 K-TAC의 운영 경험과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투자 중심의 기존 기술지주회사의 역할에서 더 나아가 ▲기술사업화(전략적 IP 관리 및 해외 거점 기반 현지 진출 확대) ▲창업·기업 지원(딥테크 창업 및 기업 유형별 맞춤형 지원) ▲투자·회수(기획형 창업에 대한 집중 투자 및 회수 채널 다각화) 등 기술사업화 전 주기를 아우르며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신기술창업전문회사로서 확보한 제도적 유연성과 탄력성을 바탕으로 보다 유연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가능해졌으며, K-BB 등 해외 거점과의 협력으로 글로벌 기술사업화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오상록 KIST 원장은 이날 격려사를 통해 “과학기술의 출발점이었던 KIST가 이제는 기술사업화와 창업 혁신을 이끄는 새로운 여정을 시작한다. 키스트이노베이션은 공공 영역의 기술에 민간의 전문성과 자원을 결합한 새로운 민관 합작 모델로, 기존 TLO의 한계를 뛰어넘는 과감한 도전이다. 특히 이번 출범은 사업화 중심의 R&D 전환, 딥테크 스케일업, 청년 과학기술인 창업 지원 등 정부의 기술주도 성장 전략을 현장의 변화로 실현해 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KIST의 우수한 연구성과에 키스트이노베이션의 과감한 투자와 실행력을 더해 대한민국 기술 창업 생태계에 새바람을 일으키길 기대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대표이사로 선임된 곽병성 대표이사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화학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SK라이프사이언스 부문장, SK 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총괄 겸 기술원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등을 역임하며 민간 및 공공부문의 연구개발, 벤처투자 등의 경험을 쌓아 왔다. [사진1] 오상록 KIST 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2]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3] 곽병성 키스트이노베이션 대표이사가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5 - 07 - 14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포항공과대학교,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KIST-포항공과대학교, 연구협력 및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 ‘청정수소’, ‘AI‧로봇’, ‘이차전지’ 분야 학‧연 협력 본격화 - KIST 임무 달성과 지역 전략 산업 생태계 고도화에 기여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과 포항공과대학교(총장 김성근, 이하 POSTECH)는 6월 17일(화) 양 기관 간 연구협력과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청정수소’, ‘AI‧로봇’, ‘이차전지’ 기술 개발 등 공통 관심분야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 추진, ▲상호 기술·인력교류,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양 기관은 POSTECH이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수행을 위해 설립한 학연일체센터와 KIST의 학연 특화 프로그램의 장점을 살려 지역 전략 분야인 ‘이차전지’, ‘미래에너지(수소)’, ‘딥테크(AI‧로봇)’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해당 분야의 미래 전문 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오상록 KIST 원장은 “오늘 업무협약에 포함된 3개 분야에서 KIST 연구진과 POSTECH 교수진이 협력한다면 KIST의 임무 달성은 물론 지역 전략 산업 생태계 고도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KIST는 2016년 6월 POSTECH에 양자컴퓨팅 분야 협력을 위한 KIST Joint Research Lab 설치와 KIST-POSTECH 간 학점 인정형 인턴십 협약 체결을 통해 협력의 토대를 마련한 바 있으며, 이번 MOU를 계기로 공동연구와 인재 양성을 연계한 연구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사진1] (좌측부터) 오상록 KIST 원장, 김성근 포항공과대학교 총장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6 - 18
-
주요행사 및 인사동정
KIST, 국제 규범준수경영시스템(ISO 37301) 인증 획득
KIST, 국제 규범준수경영시스템(ISO 37301) 인증 획득 - ‘2025 KIST 청렴·윤리주간(5.26.~5.30.)’, 전사적인 윤리경영 문화 확산 - 출연(연) 최초로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윤리경영 선도기관으로 도약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오상록, 이하 KIST)은 2025년 5월 27일(화), 서울 성북구 KIST 본원에서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원장 강장진)으로부터 국제표준 규범준수경영시스템인 ISO 37301 인증서를 수여 받고 기념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ISO 37301(규범준수경영시스템)은 조직의 내부 통제 체계와 윤리·준법 문화를 평가하여,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준법경영 체계를 갖춘 기관에 부여되는 인증이다. 이는 단순한 법규 준수를 넘어, 조직 전체가 책임과 투명성에 기반한 자율적 규범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과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KIST는 이번 인증 획득을 계기로, 연구기관으로서의 윤리성과 책임성을 한층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청렴·준법 경영 체계 구축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KIST는 ISO 인증 수여식을 포함한 ‘2025 KIST 청렴·윤리주간(5.26.~5.30.)’을 운영하며, 전사적인 윤리경영 문화 확산에 나서고 있다. 청렴·윤리주간 동안에는 ▲전직원 대상 반부패·청렴 교육 ▲청렴슬로건 공모 ▲규범준수방침 서약서 징구 ▲기관장 청렴 서신 게시 ▲청렴 카드 뉴스 및 기념품 배포 등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추진 중이다. 또한, 2024년 9월 윤리헌장 선포식, 2025년 4월 갑질근절 선포식 및 전직원 대상 갑질예방교육을 원장 주재 타운홀 미팅을 통해 진행하며, 공정하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대내외에 천명해왔다. KIST는 그간 윤리경영 전담부서 운영을 중심으로, 제도 개선과 청렴의식 제고를 위한 내부 체계 정비는 물론, 민관 협력 기반의 청렴정책 교류 및 실천 활동도 지속해오고 있다. 오상록 원장은 “KIST는 연구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기관으로서, 이번 ISO 37301 인증을 통해 윤리경영의 내실을 다졌다”며, “앞으로도 공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자율과 책임의 문화를 더욱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1] (좌측부터) 오상록 KIST 원장, 강장진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원장이 인증서 수여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2] (좌측 두 번째부터) 장준연 KIST 부원장, 오상록 KIST 원장이 준법경영시스템 인증기관 현판식을 진행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 - 05 - 29
-
일반공지
2026년도 「미래재단석학상」 후보자 접수
2025 - 10 - 21
-
일반공지
제3회 서울 퀀텀플랫폼 포럼 개최 안내
● 일시 : 2025년 10월 28일(화) 14:00 ~ ● 장소 : 양재 aT센터 5층 그랜드홀 ● 내용 : 서울의 양자산업 생태계 육성 방안 ● 참가신청 링크 : https://forms.gle/qoLFfgxpgfqtwwwRA
2025 - 09 - 30
-
일반공지
2025년도 퀀텀(양자)플랫폼 양자활용거점사업단 양자공동연구실(JQL) 신규과제 재공고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5 – 0911호 2025년도 퀀텀(양자)플랫폼 KIST 양자활용연구거점사업단 양자공동연구실(JQL) 신규과제 재공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퀀텀(양자)플랫폼지원사업」의 양자활용연구거점 양자 공동연구실(JQL) 신규과제를 아래와 같이 재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5년 9월 18일 <주무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 관 배 경 훈 <양자활용연구거점사업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업단장 한 상 욱 연번, RFP관리번호, RFP명, 총연구기간, 당해연구기간, 총연구비, 선정 과제수, 과제형태, RFP 유형코드로 이루어진 표 연번 RFP 관리번호 RFP명 총 연구기간 당해 연구기간 총 연구비* (억원) 선정 과제수 과제형태 RFP 유형코드 1 2025-KISTJQL-01 양자 광원 소재, 소자 개발 양자공동연구실 ’25.10.~’29.12. (4년 3개월) ’25.10.~’26.4. (7개월) 과제 별 13.8억원 내외 5개 내외 일반 연구 개발 R06-1 2 2025-KISTJQL-02 양자 신호 검출 소자 개발 양자공동연구실 3 2025-KISTJQL-03 양자 프로세서 소자 개발 양자공동연구실 4 2025-KISTJQL-04 양자 센싱 기반 기술 및 시스템 개발 양자공동연구실 5 2025-KISTJQL-05 양자 컴퓨팅 응용 알고리즘 및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양자공동연구실 □ 신청기간 구분, 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구 분 내 용 연구책임자 신청 기간 2025. 9. 18. (목) ~ 2025. 10. 13. (월) 18:00까지 주관연구기관 검토∙승인기간 2025. 9. 18. (목) ~ 2025. 10. 15. (수) 18:00까지 신청 절차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접수 ▷ 주관연구기관 승인 ▷ 신청 완료 ※ 연구책임자는 신청마감일까지 연구개발계획서 등록 및 기관검토 요청을 필히 완료해야 하며, 연구책임자의 신청사항에 대해 주관연구기관장의 승인이 완료되어야 신청접수가 최종 완료됨
2025 - 09 - 19
-
일반공지
G밸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디지털헬스케어 심포지움 개최 안내(09/19)
안녕하세요 G밸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입니다. 아래와 같이 디지털헬스케어 심포지움을 개최할 예정이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일 시: 2025.9.19(금) 장 소: 고려대구로병원 새롬교육관 1층 대강당 대 상: 디지털헬스, 의료기기 기업, 병원 연구진, 유관기관, 정책기관 등
2025 - 09 - 15
-
일반공지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5차 공고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5차 공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주요사업 공동·위탁과제 수행과 관련하여, 우수연구자의 참여기회 확대 및 협력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아래와 같이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를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께서는 적극적으로 과제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9월 12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오 상 록 1. KIST 주요사업 위탁연구과제(붙임 2) 연번, 분야, 제안과제명, 당해연도 연구비로 이루어진 표 연번 분야 제안과제명 당해연도 연구비 위탁1 의료, 바이오 타우병증 치료를 위한 백업물질 활성 평가 및 기전연구 30백만 원 위탁2 CO2 흡착 실내공기 중 이산화탄소 흡착모듈 및 시제품 개발 15백만 원 위탁3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드탭 필름, 고절연성, 고내열성, 다층필름 중대형 이차전지 리드탭용 폴리올레핀계 고내열, 고절연 다층필름 양산 공정 기술 개발 15백만 원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5. 9. 1.~2025. 12. 31. ※ 계속 수행 여부, 연구기간, 연구비 규모는 위탁자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위탁연구과제의 경우, 연구시설·장비비 계상 불가함 2. 신청자격 및 방법 □ 신청자격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제2조의 주관연구기관에 준하는 연구개발역량을 보유한 기관 및 해당기관 연구자 ※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수행 및 참여 제한자 제외 □ 공고기간 : 2025. 9. 12.(금) ~ 2025. 9. 25.(목) □ 제출서류 ○ 위탁·공동연구계획서 PDF 파일 1부(기관장 직인 포함) ※ 해당 서류 전체 e-mail 제출(KIST 기본사업운영팀 오유상, ys.oh@kist.re.kr) □ 신청방법 ○ 제출마감 : 2025. 9. 25.(목) 18:00까지 ○ 문의 : KIST 기본사업운영팀 오유상(02-958-6442, ys.oh@kist.re.kr) 붙임 1.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선정 및 운영계획 2. 위탁과제제안서(RFP) 및 연구계획서 양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2025 - 09 - 12
-
일반공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Gender Equality Plan
2025 - 08 - 29
-
일반공지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4차 공고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4차 공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주요사업 공동·위탁과제 수행과 관련하여, 우수연구자의 참여기회 확대 및 협력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아래와 같이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를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께서는 적극적으로 과제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7월 3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오 상 록 1. KIST 주요사업 위탁연구과제(붙임 2) 연번, 분야, 제안과제명, 당해연도 연구비로 이루어진 표 연번 분야 제안과제명 당해연도 연구비 위탁1 휴머노이드 Interaction Design KAPEX 휴머노이드 Interaction Design 기술 개발 20백만 원 위탁2 EEG, 수면 분석, 집중도 측정, 스트레스 완화, 멘탈 헬스케어, 생체신호 기반 알고리즘 베트남인 대상 수면/주의력/스트레스 관련 생체신호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알고리즘 성능 검증 20백만 원 위탁3 스마트 의료기기 전동식 소화기 내시경의 베트남 시장 최적화 기술 개발 7.5백만 원 위탁4 창업, 기술혁신, 기술이전, 기술사업화, R&D융합 2025 글로벌 혁신창업 지원사업 120백만 원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5. 9. 1.~2025. 12. 31. ※ 계속 수행 여부, 연구기간, 연구비 규모는 위탁자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위탁연구과제의 경우, 연구시설·장비비 계상 불가함 2. 신청자격 및 방법 □ 신청자격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제2조의 주관연구기관에 준하는 연구개발역량을 보유한 기관 및 해당기관 연구자 ※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수행 및 참여 제한자 제외 □ 공고기간 : 2025. 7. 31.(목) ~ 2025. 8. 14.(목) □ 제출서류 ○ 위탁·공동연구계획서 PDF 파일 1부(기관장 직인 포함) ※ 해당 서류 전체 e-mail 제출(KIST 기본사업운영팀 오유상, ys.oh@kist.re.kr) □ 신청방법 ○ 제출마감 : 2025. 8. 14.(목) 18:00까지 ○ 문의 : KIST 기본사업운영팀 오유상(02-958-6442, ys.oh@kist.re.kr) 붙임 1. 2025년도 주요사업 공동·위탁연구과제 선정 및 운영계획 2. 위탁과제제안서(RFP) 및 연구계획서 양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2025 - 07 - 31
-
일반공지
KIST 60주년 기념 가설울타리 디자인 공모전 안내
2025 - 07 - 25
-
일반공지
2025년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공지
안녕하세요, 윤리경영팀은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해 KIST 소속 직원 및 외부 민원인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개인정보를 국민권익위원회에 제출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대한 사항을 외부에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 아 래 - 안녕하십니까, KIST 윤리경영팀입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025년 종합청렴도 평가에 대한 국민권익위원회의 요청으로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공일자 : 2025. 07. 14. ○ 제공받는 기관 : 국민권익위원회 ○ 법적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제18조 제2항 제2호,「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제12조 제6호, 제27조의2, 제29조 ○ 제공받는 기관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민원인, 직원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KIST 소속 직원 및 외부 민원인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 개인정보 보유기간 : 2025년도 종합청렴도 평가 완료 시까지 ○ 개인정보 파기 절차 및 파기 방법 : 조사 완료 후 국민권익위원회 및 조사위탁업체 시스템 내 정보 일체에 대해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괄 영구 파기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종합청렴도 평가 설문을 위해 일시적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예정이니, 이 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 - 07 - 21
-
일반공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국민 소통 플랫폼, '모두의 RnD' 서비스 안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7월 16일(수)부터,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과학기술 정책을 제안하고 토론할 수 있는 국민 소통 플랫폼 '모두의 R&D*'를 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을 통해 제공합니다. * 인터넷 주소(URL) : https://www.iris.go.kr/modu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QR코드 및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5 - 07 - 17
-
채용공지
2025년 2차 KIST 맞춤형 인력양성사업(YS포닥) 공개채용
2025년 2차 KIST 맞춤형 인력양성사업(YS포닥)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KIST 맞춤형 인력양성사업(YS포닥)을 공개 모집합니다. 2025년 10월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지원자격 ○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 후 5년이 경과하지 않는 자 -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의 경우 연구 개시일 기준 학위취득 예정일이 3개월 미만인 자 ○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 합격자 통보 이후 연내 근무시작 가능한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공고일 기준 병역 필 또는 면제자 및 병역법 제 76조에서 정한 병역의무 불이행 사실이 없는 자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 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본 공고의 1개 분야만 지원 가능(중복지원 불가) 2. 배제대상 ○ 임용예정일 기준 취업 상태인 자* *확인방법 : 고용보험(www.ei.go.kr) 로그인 →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 피보험자격 이력 내역서 ○ 「병역법」에 의한 보충역(전문연구요원 등) 복무 중인 자 ○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자 3. 모집분야 구분, 채용부서, 인원, 직무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구분 채용부서 인원 직무내용 2-2 인공지능연구단 1명 - VLM 기반 영상/동영상 이해 및 분석 기술 - 저조도/저화질 영상 화질 개선 기술 - 실환경 CCTV 영상 분석 기술 (검출/추적/재식별 등) 3-3 물자원순환 연구단 1명 - 지중 탄소흡수능 증대(탄소광물화) 기술 개발 - (오염)물질 거동특성 평가 및 제어 기술 개발 - 토양·지하수 환경 시스템 모사 실험 및 모델링 5-2 뇌질환연구단 1명 - 뇌-면역 조절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약화학) - 뇌-면역 생태계 화학적 조절 기술 6-4 의약소재연구센터 1명 - 나노메디슨 유전자치료 항암면역치료 - 항체-약물 접합체 기술 개발 - 분자영상기반의 진단 치료 기술개발 4. 문의처 수행직무 관련문의, 채용전형 관련문의로 이루어진 표 수행직무 관련문의 채용전형 관련 문의 부서명 문의처 부서명 문의처 인공지능연구단 hyejink@kist.re.kr 인사경영팀 T.02-958-6428 E-Mail : hwajin@kist.re.kr 물자원순환 연구단 024973@kist.re.kr 뇌질환연구단 nimnim@kist.re.kr 의약소재연구센터 jyang57@kist.re.kr 5.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채용형태 : 연수직 박사후연구원(Post-Doc.) 다. 근무기간 : 최대 3년 라. 연봉 : 세전 약 5,000만원 이상(4대 보험 및 퇴직금* 별도 지급) * 1년 이상 근무자에 한해 지급 6.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심사 나. 2차 – 면접심사 (서류심사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최초합격자 외 1명, 2주 동안 자격 유지) 7. 제출서류 가. 서류전형 : 입사지원서, 사업 참여자 자격 확인서(날인 후 스캔본 제출) 나. 면접전형 : 서류전형 합격자 대상 별도 안내 예정 8. 접수기간 : 2025.10.1. 18:00 ~ 2025.10.16. 18:00까지 9. 접수처 : hwajin@kist.re.kr로 ‘입사지원서’ 및 ‘사업 참여자 자격 확인서’ 송부(메일제목 : (1-2) YS포닥_홍길동) 10. 기타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출신지·가족관계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점수에 준하며,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 마.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바.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사.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 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아.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자.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제출처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차.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의 비전자 채용서류는 14일간 보관 후 「채용절차법」 제11조 및 「개인정보 보호 법」에 따라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다른 법령에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예외) 카.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2025 - 10 - 01
-
채용공지
KIST 2025-6차 휴직 대체인력 공개채용
KIST 2025-6차 휴직 대체인력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휴직 대체인력을 공개 모집합니다. 2025년 9월 3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지원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다.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라.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마.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 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보훈·취업 지원 대상자 증명서 발급 방법 : 민원24 신청 → 보훈관서 처리 → 발급 2. 모집분야 채용유형, 채용분야(직급), 채용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채용 유형 채용분야 (직급) 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 휴직대체 일반행정 ① (관리원) 1명 채용 예정일 ~ 2026.11 - 경영지원, 대외협력, 사업관리 등 행정일반 업무 - 법정의무 교육, 위원회 운영, 캠페인 기획 등 - 기타 행정 제반 업무 지원 * 직무 관련 경력자 우대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일반행정 ② (관리원) 1명 채용 예정일 ~ 2026.11 - 경영지원, 대외협력, 사업관리 등 행정일반 업무 - 출장, 휴가 등 인사관리 업무 - 기타 행정 제반 업무 지원 * 직무 관련 경력자 우대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휴직 대체인력은 휴직자의 휴직 연장 및 휴직 잔여 일수에 따라 계약 연장 가능 단, 휴직자의 조기 복귀 시 고용계약이 조기 종료될수 있음 4. 문의처 수행직무 관련 문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로 이루어진 표 수행직무 관련 문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 부서명 문의처 부서명 문의처 윤리경영팀 sarachang@kist.re.kr 인사경영팀 T.02-958-6428 E-Mail : hwajin@kist.re.kr 인사경영팀 hwajin@kist.re.kr 5.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제도 운영 6. 지원서 접수 : 아래의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클릭 7. 접수기간 : 2025.9.30.(화) 18:00 ~ 2025.10.16.(목), 18:00까지 (18:00 이후 접수분은 결격 처리함) 8. 기타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가족관계·재산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등은 기준에 따르며, 지원서상 누락된 경력사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미기재한 경력은 불인정) 마.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바.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사.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아.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자.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 제출처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파.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2025 - 09 - 30
-
채용공지
KIST 2025-3차 기간제(관리원·연구행정원) 공개채용
KIST 2025-3차 기간제(관리원·연구행정원)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간제 직원을 공개 모집합니다. 2025년 9월 15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지원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다.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라.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마.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 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보훈·취업 지원 대상자 증명서 발급 방법 : 민원24 신청 → 보훈관서 처리 → 발급 2. 채용분야 채용직급, 채용부서(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채용 직급 채용 부서 (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 기간제 (관리원) 융합정책팀 (1명) 2025.11~2026.11. 연구비 관리 및 정산 위원회·세미나 운영지원 홈페이지 및 SNS 채널 컨텐츠 운영 지원 등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 관련 자격증 소지자 우대 양자기술연구단 (1명) 2025.11~2026.11. 정부 R&D 과제 운영·관리 글로벌TOP전략연구단 총괄 운영지원 정기보고·워크숍 등 행사 기획 및 운영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 OA(한글, 엑셀 등) 활용 능숙자 우대 양자기술활용 연구거점사업단 (1명) 2025.11~2026.11. 과제기획·관리 지원 및 연구비 관리 행정업무 사업단 운영위원회, 선정·평가 위원회 구성 및 운영 JQL(Joint Quantum Lab) 예산 관리 KIST에 구축된 양자 연구 인프라 서비스 제공 업무 지원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 OA(한글, 엑셀 등) 활용 능숙자 우대 * 외국어(영어) 능통자 우대 소재 혁신 양자시뮬레이터 개발사업단 (1명) 2025.11~2026.11. R&D 보고서 및 계획서 작성 양자 시뮬레이터 개발사업 연구성과 관리 국내외 기술 동향 조사 사업단 홈페이지 및 뉴스레터 운영 등 * 외국어(영어) 능통자 우대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RAMP융합연구단 (전북 완주군 근무) (1명) 2025.11.~2026.11. 융합연구단 연구과제 및 연구성과 관리 사무국(RAMP융합연구단) 실무관리 및 연구수행 지원 사업비 집행 및 정산 기타 제반 행정업무 지원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기간제 (연구 행정원) 양자기술연구단 (1명) 2025.11~2026.11. 연구과제 관리 및 정산 등 행정 제반 업무 연구비 집행 및 연구단 일정관리 기타 제반 행정업무 지원 * 관련 업무 유경험자 우대 ※ 본 공고의 1개 분야만 지원 가능(중복 지원 불가) 3. 고용기간: 1년 이내(과제 연장 및 개인평가에 따라 고용계약 연장 혹은 종료) 4. 선발전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제도 운영 5. 지원서 접수: 아래의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클릭 6. 접수기간 : 2025.9.15.(월) 18:00 ~ 2025.9.30.(화) 18:00 까지 (18:00 이후 접수분은 결격 처리함) 7. 문의처 수행직무 문의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로 이루어진 표 수행직무 문의처 부서명(지원분야) 문의(접수)처 융합정책팀 wjkimrocks@kist.re.kr 양자기술연구단(관리원) 024262@kist.re.kr 양자기술활용연구거점 사업단 jng@kist.re.kr 소재 혁신 양자시뮬레이터 개발사업단 songyi.baek@kist.re.kr RAMP융합연구단 yojokim@kist.re.kr 양자기술연구단(연구행정원) jng@kist.re.kr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 부서명 문의처 인사경영팀 T.02-958-6428 E-Mail : hwajin@kist.re.kr 8. 기타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출신지·가족관계·재산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점수에 따르며, 지원서상 누락된 경력사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미기재한 경력은 불인정) 마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 바.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사.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아.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 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자.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차.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 지원서 제출처 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카.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의 비전자 채용서류는 14일간 보관 후 「채용절차법」 제11조 및 「개인정보 보호 법」에 따라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다른 법령에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예외). 파.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2025 - 09 - 15
-
채용공지
KIST 2025-3차 기간제(연구원·전문원) 공개채용
KIST 2025-3차 기간제(연구원·전문원)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간제 직원을 공개 모집합니다. 2025년 9월 15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지원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다.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라.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마.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 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보훈·취업 지원 대상자 증명서 발급 방법 : 민원24 신청 → 보훈관서 처리 → 발급 2. 채용분야 채용직급, 채용부서(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채용 직급 채용 부서 (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 기간제 (연구원) 융합정책팀 (1명) 2025.11~2026.11 (융합R&D 사업기획) R&D사업기획 지원, 미래유망 연구분야 발굴, 정부부처 지원, 전문가위원회 기획·운영 등 (정책지원) 미래융합전략관련 R&D정책·계획 수립 및 과제 이행, 사례 및 동향조사 등 (데이터분석) 국내외 기술·정책·산업 데이터 분석 지원, 홈페이지 및 SNS채널 컨텐츠 기획·운영, 간행물 발간 등 *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 관련 분야 유경험자 및 자격증 소지자 우대 기간제 (전문원) 양자기술활용연구거점 사업단 (1명) 2025.11~2026.11 개방형 양자연구 인프라 운영 및 관리 신규 양자 패키징 센터 등 인프라 구축 및 운영지원 과제기획·관리지원 및 연구비 관리 지원 사업단 운영위원회, 선정·평가 위원회 지원 기타 행사 등 사업단 운영 지원 *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우대 * 양자 관련 전공자 우대 * 관련 분야 유경험자 우대 서울바이오허브 사업단 (1명) 2025.11~2026.7 글로벌 협업 네트워크 발굴 및 관리 서울바이오허브 사업운영 및 관리지원 보건·의료 산업 분야 창업기업 대상 교육·자문·의료 데이터 활용 지원 *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우대 * 보건·의료, 생명과학, 데이터분석 전공자 우대 * 외국어(영어) 능통자 우대 ※ 본 공고의 1개 분야만 지원 가능(중복 지원 불가) 3. 고용기간 : 1년 이내(과제 연장 및 개인평가에 따라 고용계약 연장 혹은 종료) 4. 선발전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제도 운영 5. 지원서 접수 : 아래의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클릭 6. 접수기간 : 2025.9.15.(월) 18:00 ~ 2025.9.30.(화) 18:00 까지 (18:00 이후 접수분은 결격 처리함) 7. 문의처 수행직무 관련 문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로 이루어진 표 수행직무 관련 문의 부서명(지원분야) 문의처 융합정책팀 wjkimrocks@kist.re.kr 양자기술활용연구거점 사업단 jh041@kist.re.kr 서울바이오허브사업단 ssun23@kist.re.kr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 부서명 문의처 인사경영팀 T.02-958-6428 E-Mail : hwajin@kist.re.kr 8. 기타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출신지·가족관계·재산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점수에 따르며, 지원서상 누락된 경력사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미기재한 경력은 불인정) 마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 바.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사.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아.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 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자.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차.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 지원서 제출처 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카.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의 비전자 채용서류는 14일간 보관 후 「채용절차법」 제11조 및 「개인정보 보호 법」에 따라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다른 법령에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예외). 파.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입원지원 작성 바로가기
2025 - 09 - 15
-
채용공지
KIST 2025-5차 휴직 대체인력 및 행정인턴 공개채용
KIST 2025-5차 휴직 대체인력 및 행정인턴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휴직 대체인력 및 행정인턴을 공개 모집합니다. 2025년 9월 3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지원자격 가.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나.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다.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라.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마.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 법령에 따라 우대함 ※ 보훈·취업 지원 대상자 증명서 발급 방법 : 민원24 신청 → 보훈관서 처리 → 발급 2. 모집분야 채용유형, 채용부서(직급), 채용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으로 이루어진 표 채용 유형 채용 부서 (직급) 채용 인원 고용기간 직무내용 휴직 대체 KIST 연구소·본부 (연구행정원) 1명 채용예정일 ~ 2026.10 - 연구과제 계약·관리 및 연구비 집행·정산 등 - 별정직 및 학생연구원 관리 - 행사 및 회의 지원 - 기타 행정 제반 업무 * 연구행정 관련 업무 경력자 우대 총무복지팀 (연구행정원) 1명 채용예정일 ~ 2026.5 - 복지제도 운영 및 지원 - 복지시설 운영 및 지원 - 기타 행정 제반 업무 * 학사학위 소지자 우대 행정 인턴 연구기획·분석팀 (인턴) 1명 채용예정일 ~ 2026.7 - 학술정보 시스템 및 기관 자료 관리 업무 - 기타 행정/연구지원 제반업무 * 학사 학위 소지자 우대 * 직무 관련 경력자 우대 * OA(엑셀, 한글, 파워포인트) 숙련자 우대 연구융합지원본부장실 (인턴) 1명 채용예정일 ~ 2026.7 - 채용 업무 지원 - 과제 관련 업무 지원 - 행사지원(워크숍, 회의 등) - 기타 행정 제반업무 * 학사 학위 소지자 우대 전자융합소재연구센터 (인턴) 1명 채용예정일 ~ 2026.7 - 전통문화혁신플랫폼 운영 및 관리 - 연구과제 관리 및 운영(연구비 집행 등) - 세미나 및 간담회 등 행사 기획 및 운영지원 - 기타 행정 제반업무 * 학사 학위 소지자 우대 * 민속학, 문화유산학 등 전통문화 관련 전공자 우대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휴직 대체인력은 휴직자의 휴직 연장 및 휴직 잔여 일수에 따라 계약 연장 가능 단, 휴직자의 조기 복귀 시 고용계약이 조기 종료될 수 있음 다. 행정인턴은 9개월 고용계약, 고용계약 연장 없음 4. 문의처 수행직무 관련 문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로 이루어진 표 수행직무 관련 문의 지원자격 및 채용전형 관련 문의 부서명 문의처 부서명 문의처 KIST 연구소·본부 shjeon@kist.re.kr 인사경영팀 T.02-958-6428 E-Mail : hwajin@kist.re.kr 총무복지팀 oops852@kist.re.kr 연구기획·분석팀 syson@kist.re.kr 연구융합지원본부장실 hykang@kist.re.kr 전자융합소재연구센터 cspark24@kist.re.kr 5.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제도 운영 6. 지원서 접수 : 아래의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클릭 7. 접수기간 : 2025.9.3.(수) 18:00 ~ 2025.9.18.(목), 18:00까지 (18:00 이후 접수분은 결격 처리함) 8. 기타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가족관계·재산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등은 기준에 따르며, 지원서상 누락된 경력사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미기재한 경력은 불인정) 마.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바.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사.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아.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자.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 제출처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파.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2025 - 09 - 03
-
채용공지
2025년 3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장애인 단시간 근로자 공개채용
2025년 3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장애인 단시간 근로자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1966년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기술연구소로 출범해 지난 50여년간 과학기술연구의 주요한 중심축이 되어 국가과학기술 발전을 견인해왔습니다. KIST의 연구지원역량을 강화하고 공공연구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이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함께할 인재를 모시고자 합니다. 2025년 9월 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1. 공통응시자격 ○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 제3조 장애인 기준에 해당하는 자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2. 모집분야 및 지원자격 근무지, 모집분야, 담당업무 / 근로시간, 인원으로 이루어진 표 근무지 모집분야 담당업무 / 근로시간 인원 본원(서울) 사무직 행정보조 ○ 담당업무 : 행정업무 지원 - 택배물품 전달, 우편실 업무 - 별정직 신원조사 및 국내외 출장업무 등 지원 - 행정서류 작성 및 수발 - 행사 및 기타 행정업무 등 지원 - 회의실, 탕비실, 화장실 등 공용공간 관리 - 엑셀, 한글, 파워포인트 등 사무에 필요한 기본적인 OA 업무 *운전면허 소지자(운전 가능한자) 우대 ○ 근로시간 - 1일 4시간 근무, 1시간 휴게 - 근무시간 협의 5명 ※ 공통 우대사항 : 국가보훈대상자 (관계법령에 의해 우대) 3. 선발전형 가. 전형절차 및 심사기준 전형단계, 심사기준, 일정으로 이루어진 표 전형단계 심사기준 일정 서류심사 ○ 기본자질 ○ 업무적합성/잠재역량 ○ 자격/면허 ○ 경력사항 등 - 모집예정인원의 2배수 이내 선발 9월 중 (예정) 면접심사 ○ 인물(표현력, 태도, 장래성, 기타자질) ○ 전문지식(교육 및 자격사항, 경력, 전문지식 및 응용능력) ○ 기타(업무 부합성 등) 9월 말~10월 초 (예정) 입원 10월 중 ※ 상기 전형일정은 진행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나. 단계별 제출서류 전형단계, 제출서류로 이루어진 표 전형단계 제출서류 지원서 접수 ○ 지원서 서류심사 - 면접심사 ○ 지원서에 기재한 교육사항 증빙서류(대학이상 성적증명서/학위취득·졸업(예정) 사본 각 1부(해당자) ○ 지원서에 기재한 면허/자격증 사본 각 1부(해당자) ○ 지원서에 기재한 경력증명 사본 각 1부(해당자) (6개월이내 발급분) ○ 장애인 증빙서류 사본 각 1부 ※블라인드 채용 시행에 따라 위 제출서류는 사실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되며 추후 면접위원에게는 제공되지 않거나 제공 시 블라인드 처리 후 제공됩니다. ※ 단계별 응시에 필요한 관련 서류는 이전단계 합격자에게 별도 안내 예정 4. 접수기간 및 접수방법 가. 접수기간 : 2025. 9. 1.(월요일) 18:00 ~ 2025. 9. 16.(화요일) 18:00 까지 ※ 기간 내 담당자 앞 도착분까지 유효 나. 접수방법(이메일 지원 권장) 1) 이메일 지원 - 접수기간 내 지정양식 지원서로 이메일 접수 (이메일 본문 작성 필수) - 이메일 접수 주소 : hwajin@kist.re.kr - 응시원서 파일명 : KIST_홍길동(생년월일), 예) KIST_홍길동850503 2) 우편(등기) 또는 직접 제출 방법 - 접수처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4길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인사경영팀 담당자 *직접 방문제출 희망 시 담당자(02-958-6428)와 방문일정 사전협의 요망 ※문의처 : 인사경영팀 ☎ 02-958-6428 5. 근무 및 급여조건 가. 근무기간 : 기본 계약 1년 후 근무우수자에 대해 1년 연장(최장 2년) 나. 근무시간 : 주 25시간 (1일 4시간 근무, 휴게 1시간) 다. 근무형태 : 시간선택제 단시간 근로자 라. 급여조건 : 월 125만원(세전) 6. 복리후생 : 4대보험, 퇴직금 7. 기타 유의사항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나. 온라인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된 서류에 대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반환을 청구하는 경우, 첨부된 채용서류 반환청구서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지 제3호 서식)를 작성하여 KIST 담당자 이메일(hwajin@kist.re.kr)로 제출하면, 제출이 확인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지정한 주소지로 수신자 부담 등기우편으로 발송드립니다.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의 비전자 채용서류는 반환 청구에 대비하여 14일간 보관되며, 그때까지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채용절차법」제11조 제4항과 「개인정보 보호법」 에 따라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다른 법령에 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예외) 다.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라.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지원서 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마. 채용전형 합격자 발표 후 즉시 근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채용합니다. 바.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 신원조사 결과 부적격자에 대해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끝.
2025 - 09 - 01
-
채용공지
KIST 2025년 9월 연수직(Post-Doc. 및 연구인턴) 공개채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수직(Post-Doc. 및 연구인턴)을 공개 모집합니다. 1. 지원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기피한 사실이 있는 자 제외 (미필자의 경우 병역 연기 증빙 첨부) ○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자 ○ Post-Doc. - 임용예정일인 2025.11.1. 기준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인 자 또는 3개월 이내 학위취득 예정자 - 본 공고의 1개 분야만 지원가능(중복지원 불가) ○ 연구인턴 - 임용예정일인 2025.11.1. 기준 최종학위(학사·석사) 취득한 자 또는 3개월 이내 학위취득 예정자 - 해외국적 소유자인 경우 E-3비자를 소유하였거나 발급이 가능한 자(E-3비자 발급 이후 고용계약 체결) - 본 공고의 1개 분야만 지원가능(중복지원 불가) 2. 채용분야(Research Fields) : 첨부의 [2025년 9월 연수직(Post-doc. 및 연구인턴) 공개채용 채용분야] 참조 3. 고용(연수)기간 가. Post-Doc. : 1년 이내(연장 계약 시 과제기반 테뉴어 적용 가능) 나.연구인턴 : 9개월 이내 (과제기반인 경우 최대 22개월) 4. 선발전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 면접전형 합격자 중 전문연구요원에 한해 전직심의 별도 시행 ※ 합격포기 등의 최초합격자 미등록에 대비하여 예비합격자 선발제도 운영 5. 접수처 : 하단의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클릭 * Click ’Application Form‘ at the bottom 6. 접수기간 : 2025.9.1. 18:00 ~ 2025.9.15. 18:00 까지(18:00 이후 접수분은 결격 처리함) 7. 문의처 : 첨부의 [1. 2025년 9월 연수직(Post-doc. 및 연구인턴) 공개채용 채용분야] 우측 문의처 8. 기타사항 〔지원서 작성 불성실 및 블라인드 위배 시 조치 안내〕 - 지원서 착오·누락·허위 기재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지원서 상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년월일(연령)·성별·사진·출신지·가족관계·재산 등의 인적사항이 드러나지 않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작성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가. 본 채용공고는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따릅니다. ※ 연구인력(연구지원인력 포함) 채용 시, 연구수행·지원 역량을 심층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출신학교명·전공분야·지도교수명·추천인 정보 등)를 수집·활용할 수 있음 나. 국가보훈대상자와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 시 관계법령에 의거 우대합니다. 다.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라. 급여는 기관 내 규정 경력평점 점수에 준하며,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적용을 받습니다. 마. 지원서 및 모든 제출서류는 온라인으로만 접수하며, 지원서 또는 제출서류에 허위사항이 발견될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바. 채용 관련 청탁 등 부정한 방법에 의하여 채용전형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응시를 제한합니다. 사. 전형단계별 결과(합격/불합격 통지)는 온라인 지원서 상에 기재한 전자메일로 개별 안내합니다. 아. 신원조회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자.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는 결과 확정 이후 14일 이내에 공고상 요구된 채용서류 중 비전자문서(하드카피)로 제출한 서류에 대해 전자우편(recruit@kist.re.kr: 제출처 X)을 통해 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차. 최종합격이 되지 않은 지원자의 비전자 채용서류는 14일간 보관 후 「채용절차법」 제11조 및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다른 법령에 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예외). 카. 내부 규정에 따라 사전승인을 득하지 않은 학위과정 및 타업을 겸하여 근무할 수 없습니다. 끝. 입원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Application Form
2025 - 09 - 01
-
채용공지
KIST 유럽연구소 소장 초빙
KIST 유럽연구소 소 장 초빙 한국 과학기술의 산실인 KIST에서 對 EU 과학기술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KIST 유럽연구소장을 다음과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 직위 - KIST 유럽연구소 소장 (독일 자브뤼켄 시 소재 / 임기 3년, 연임 가능) ■ 응모 자격 - 국제협력사업 추진능력이 있고,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식견과 업적이 탁월한 사람 - 조직 경영에 대한 경륜과 식견을 가진 사람 - 당해 연구소 운영에 관한 비전을 가진 사람 - 박사학위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경력 소지자로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 - 공공기관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채용된 사실이 없는 사람 - 병역의무대상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사람 ■ 제출서류 (전자문서 제출) - 지원서 (소정 양식) 1부 - 이력서 (소정 양식) 1부 - 주요 업적 및 경력소개서 1부 (A4 5매 이내) - KIST 유럽연구소의 운영 및 경영혁신에 대한 소견서 1부 (A4 5매 이내)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소정 양식) 1부 - 최종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 (주요 경력) 각 1부 ■ 접수기간 및 접수처 - 기 한 : 2025. 9. 12. (금) 18시까지 (마감일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협력팀 KIST유럽연구소장 초빙 담당자 앞 (jhyoun@kist.re.kr / 02-958-6092) - 제 출 방 법 : 전자우편 제출 (합격자에 한해 원본 서류 제출) ■ 기타 - 제출서류 서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st.re.kr)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 제출된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며, 필요 시 제출된 사항과 관련하여 관계기관에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지원자는 조회에 필요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제출서류 기재 착오 및 누락 또는 허위기재, 구비서류 미제출, 제출서류가 허위·위조 ·대필임이 판명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해당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신원조사 결과 부적격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상기 내용은 추진과정상 변동될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2025 - 08 - 25
-
채용공지
2025년도 KIST 제2차 행정·연구지원부문 공개채용
온라인 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2025 - 08 - 18
-
채용공지
2025년도 KIST 제3차 연구기술지원부문 공개채용
온라인 지원서 작성 바로가기
2025 - 08 - 18
발간물
QUICK MENU
연구인터뷰
-
휴대폰 코팅소재 변신? 당뇨환자 희망 '채혈없는 혈당측정센서'되다
-
푸른 하늘 지키는 科技 “지구환경변화 대응 우리 손으로”
-
실용화부터 미래연구까지···‘찌르고 터뜨리고’ 차세대 이차전지 한계 넘는다
-
세계 실험동물의 날…KIST 연구동물자원센터에 가다
-
임상연구 도운 과학자 아버지...치매 조기진단 新 이정표
-
책 꺼내주고 조명조절까지 ‘도서관 전체 로봇’ 되다
-
타노스와 싸운건 양자컴퓨터였다? 영화 속 양자역학, 실용화 도전...KIST ‘양자컴’ 시대 연다
-
“수다서 아이디어” 인공뼈 분말 합성 ‘20시간→10분’···레이저 새로운 길 열다
-
우영우, 신생아 때 자폐진단 받았다면? ‘뇌파 자폐진단’ 새로운 길 연다
-
장기실종자 찾는 ‘그 기술’ 김익재 소장 “첫 술에 배부른 연구없다···‘무모한 도전’ 계속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