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미 관세 불확실성에 2분기 해외직접투자 13.4% ‘뚝’

2025.09.19 16:18 입력 김세훈 기자

기재부 발표…2분기 연속 감소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으로 짓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배터리 공장 조감도. HL-GA 배터리 회사 제공

미국 관세 조치의 여파로 올해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이 1년 전보다 1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포함된 북미 지역은 투자액이 20% 넘게 줄어 주요 대륙 중 감소폭이 가장 컸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지난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은 141억5000만 달러(총투자액 기준)로 전년동기대비 13.4%(-21억9000만 달러) 줄었다. 지난 1분기 대비로도 10.1% 줄어든 수치다. 해외직접투자액은 지난해 4분기 전년대비 10.3% 늘었다가 올해 들어 지난 1분기(-5.3%)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기재부는 미국의 관세 협상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투자를 위축시켰다고 분석했다.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재정적자 확대 등에 따른 고금리 상황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투자가 감소했다.

특히 가장 비중이 큰 북미 지역에서 투자액(55억4000만달러)이 1년 전보다 22.7%(-16억2000만달러) 줄었다. 아시아(31억7000만달러), 중남미(19억8000만달러) 지역도 각각 전년대비 13.2%(-14억8000만달러), 9.6%(-2억1000만달러)씩 투자액이 줄었다. 다만 유럽(31억1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투자액이 44.4%(9억6000만달러) 급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을 포함한 대양주 지역(2억2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투자액이 74.7%(-6억6000만달러) 급감했다. 중동(8000만달러)과 아프리카(5000만달러)도 투자액이 각각 37.9%(-4000만달러), 70.6%(-1억2000만달러) 줄었다.

최대 투자국인 미국 투자액은 52억3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14.2%(-8억6000만 달러) 감소했다. 제조업(14억달러·-0.6%)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금융보험업(18억8000만달러·-11.3%)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케이맨제도(15억3000만달러), 룩셈부르크(12억8000만달러)는 각각 전년대비 36.4%(4억1000만달러), 25.9%(1억7000만달러)씩 투자액이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금융보험업(66억3000만달러)은 전년대비 18.9%(10억5000만달러) 투자가 늘었으나 제조업(35억3000만달러)은 9.1%(-3억5000만달러) 감소했다. 정보통신업(7억5000만달러)과 부동산업(7억1000만 달러)도 각각 43.6%(-5억7000만달러), 37.8%(-4억4000만달러)씩 줄었다.

기재부는 “통상정책 변화와 금융시장 변동성 및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세계 경제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해외로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의 안정적인 경영 활동을 위해 자세히 모니터링하고 주요 투자 대상 국가와 여러모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