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 한 안성식 전 해양경찰관 조정관이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 계엄이 적법한 줄 알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안 전 조정관은 2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경찰청 국정감사에서 계엄의 적법성을 묻는 여당 의원의 질문에 “공무원으로서 명령인데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 것이 도리이며 지금 이 순간에도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 전 조정관은 계엄 선포 직후 총기를 불출해야 한다”, “유치장을 확보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앞서 “수사가 진행 중인 점 등을 고려해 부득이 참석할 수 없음을 양해해달라”며 불출석 의사를 전달했으나 번복, 오후 국감에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라북도 김제)은 “안 전 조정관의 발언들이 계엄에 대한 사전 모의 없이 가능하다고 보느냐”고 질책했다.
같은 당 임미애 의원(비례)도 “특검팀은 안 전 조정관이 2023년부터 국군방첩사령부와 기밀 문건을 주고받으며 계엄사령부 편성 계획에 관여한 정황이 있다고 했다”며 “그렇다면 계엄이 언젠가는 선포될 것이라고 보고 해경의 행동 지침을 이해한 것 아닌가”고 지적했다.
안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다. 그는 2022년 3월께 해경 출신으로는 처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됐고 이후 2년 사이 치안감으로 두 계급 승진했다. 이 때문에 여당 의원들은 안 전 조정관이 모종의 이유로 ‘초고속 승진’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안 전 조정관은 “계임 직후 해경청장이 본청에 복귀할 때 총기 불출 발언을 한 것은 맞다”며 “이는 총기를 들고 어느 현장에 파견 가는 게 아니라 파출소 방호 차원에서, 개인 의견 차원에서 말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여 전 사령관과 몇 차례 만났지만 계엄과 관련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윤준병 의원(전라북도 정읍)은 “비상계엄이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해서 명령을 거부한 지휘관도 많다”며 “명령이라도 국민에게 위해를 가하는 명령이라면 거부했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안 전 조정관은 “계엄 당일 대통령이 방송을 통해 전 국민에게 계엄을 선포했기 때문에 국무회의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쳤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또 계엄선포문에는 담기지 않은 안보사항이 있을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이 순간에도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