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구 10명 중 한 명 이상이 경계선 지능인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경기도에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센터를 설치하려면 적절한 지원과 생태계 조성이 동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21일 도의회 중회의실에서 ‘경기도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설치 방안 모색’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재경 한신대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이 주제발표를 진행, 좌장은 조용호 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오산2)이 맡았다. 토론에는 김성아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장, 송연숙 사단법인 느린학습자시민회 이사장, 최혜경 전국느린학습자부모연대 대표, 최중원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 장학사, 정광식 도 평생교육과 평생교육사업팀장이 참여했다.
이재경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인구의 13.59% 정도가 경계선지능인으로, 도에만 186만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적절한 지원과 환경이 만들어진다면 사회구성원으로서 기본적인 역할이 충분히 가능하다. 경기도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의 핵심 역할은 바로 적절한 지원과 생태계 조성”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성아 센터장은 경기도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설치를 위해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에 관한 조사 및 연구개발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개발 ▲협력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통합지원체계 마련 ▲경계선 지능 지도인력 양성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송연숙 이사장은 “경기도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설치를 위해 지역 시민사회, 공공기관 및 관계 기관과 단체, 커뮤니티를 연계해 지역사회에서 느린 학습자가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