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9회 쇼팽 국제 콩쿠르 우승자인 에릭 루(오른쪽 둘째)가 18일(현지시간) 바르샤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결선 연주를 마친 후 지휘자 안제이 보레이코와 손을 잡고 관객석에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 쇼팽 인스티튜트]
“1등상과 금메달의 주인공은 에릭 루!”
21일 오전 2시 30분(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의 국립필하모닉홀에서 청중의 환호 속에 피아니스트의 이름이 불렸다. 20일 밤 최종 결선이 끝난 제19회 쇼팽 국제 콩쿠르가 막 결정한 우승자였다. 미국 피아니스트 에릭 루(27)는 자신의 이름을 듣고도 한동안 고개를 약간 숙인 채 앞머리를 연신 쓸어내렸다. 북받치는 눈물을 참는 표정이었다. 그는 짧은 수상 소감에서 “꿈이 이뤄졌다”고 했다.
대만인 아버지와 중국인 어머니를 두고 미국에서 태어난 루는 이번 콩쿠르 화제의 참가자였다. 그는 10년 전 최연소인 17세로 참가해 4위에 올랐다. 조성진이 한국인 최초로 우승했던 때다. 이후 루의 경력은 탄탄했다. 20세에 영국의 리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제를 모았고, 워너 클래식스와 계약해 음반을 여러 장 냈다. 시카고 심포니, 런던 심포니, 리카르도 무티, 마린 알솝 등 무대에서 함께 한 오케스트라와 지휘자의 이름도 화려하다. 이미 암스테르담·런던·함부르크와 서울 등에서 여러 번 공연한 프로 연주자이며 앞으로의 연주 일정도 빼곡하다. 신인의 등용문으로 인식되는 국제 콩쿠르에서 이례적인 ‘경력직’ 우승자다.
쇼팽 콩쿠르는 루에게 재도전할만한 기회였다. 타 명문 대회에서 우승 또는 입상한 피아니스트들이 예선을 면제받을 수 있는 규정 덕분이다. 루는 리즈 콩쿠르 우승 경력을 바탕으로 본선에서 경연을 시작했다. 올해 새로 추가된 규정도 루의 우승을 도왔다. 쇼팽 콩쿠르는 이번 회부터 결선 무대에서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협주곡뿐 아니라 독주곡을 지정해 연주하도록 했다. 쇼팽의 후기 작품인 ‘환상 폴로네이즈’였다.
그동안 쇼팽 콩쿠르는 두 개의 협주곡 중 한 곡만으로 마지막 경연을 펼쳤다. 올해 심사위원장인 게릭 올슨은 쇼팽 인스티튜트와의 사전 인터뷰에서 “작곡가의 젊은 시절 작품인 협주곡들만 보고는 피아니스트를 판단하기 힘들다”며 작곡가 말년의 작품을 지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루는 18일 결선에서 쇼팽의 협주곡 2번을 골라 숱한 무대 경험을 바탕으로 오케스트라와 절묘한 호흡을 이끌어 나갔다. 앞서 인생 말년의 무게를 표현해야 하는 ‘환상 폴로네이즈’의 상상력을 참가자 중 연장자답게 능숙하게 그려냈다.
스페인 음악 평론가인 파블로 로드리게즈는 “이미 프로 연주자인 그의 연주는 다른 경연자와 차원이 달랐다. 경연이 아닌 공연이었다”고 평했다.
1927년 시작해 곧 100주년을 앞둔 쇼팽 국제 콩쿠르는 클래식 음악 경연대회 중 최고의 권위를 가진다. 마우리치오 폴리니,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등 전설적인 연주자는 물론 라파우 블레하츠(2005년), 조성진, 브루스 리우(2021년) 등 떠오르는 피아니스트들도 쇼팽 콩쿠르에서 배출됐다. 올해 우승 상금은 6만 유로(약 9900만원)다.
역대 최다인 640명이 참가한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중국 바람이었다. 본선 84명 중 28명이 중국인이었고, 최종 결선에 오른 11인 중엔 3명이 중국 국적, 3명이 중국계였다. 루에 이어 2위는 중국계 캐나다인 케빈 첸이, 3위는 중국인 지통 왕이 차지했다. 또 중국 국적 티안여 류는 17세에 참가해 당돌한 연주로 인기를 끌었고 일본 구와하라 시오리와 함께 4위에 오른 것은 물론 최우수 협주곡 연주상을 받으며 새로운 스타 탄생을 알렸다. 1~4위를 중국계 연주자들이 휩쓴 것이다. 한국의 형제 피아니스트인 이혁과 이효는 3차 본선까지 진출했지만 최종 11명에는 들지 못했다.
이번 대회 우승자인 에릭 루는 유럽에서 우승자 공연 투어를 시작하고, 한국에선 다음 달 21일 KBS교향악단과 협연, 23일 통영국제음악당과 26일 서울 예술의전당 독주회 무대에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