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넣었으면 '6000만원' 벌었다"…3개월 만에 '압도적 잭팟'
입력
수정
"올해는 中의 승리, 내년은?"…미-중 휴머노이드 ETF 대전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5개 휴머노이드 ETF 중 최근 한달(9월2일~10월2일)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상품은 중국 휴머노이드 ETF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이 27.28%로 이 기간 가장 많이 올랐다. 그 뒤를 이은 건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으로 16.98%를 기록했다.
미국 휴머노이드 기업에 집중하는 ETF들도 해당 기간 두 자릿수 수익률을 냈지만, 중국 휴머노이드 상품보다는 낮았다.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이 10.41%,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이 12.04% 올랐다. 미국과 중국 기업에 골고루 투자하는 한화자산운용의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액티브'는 16.31% 수익률을 기록했다. 미국 기업에만 투자하는 ETF보다는 높고, 중국 기업만 담은 ETF보다는 낮은 수익률을 낸 셈이다.
올해 들어 중국 증시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휴머노이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눈에 띄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회의 업무 보고에 휴머노이드 로봇이 처음 언급된 데 이어 7월에는 휴머노이드 집중 육성 계획인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하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산업을 꾸준히 뒷받침하는 상황이다. 이에 중국의 대표적인 휴머노이드 기업인 유비테크와 도봇 등은 올 들어 200% 안팎의 주가 상승률을 보인 바 있다.
박현정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의 휴머노이드 기업이 서로 다른 전략을 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며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지능형·우주로봇 등 고부가가치 영역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등 상대적으로 낮은 사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휴머노이드 시장의 혁신은 미국이, 보급은 중국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은 비(非)중국 대비 무게, 속도, 키 등 특성에서 경쟁력이 있지만 하드웨어 정밀도나 내구성, 신뢰성 측면에서는 뒤처진다"고 분석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