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이를 왜 구해왔냐"…식지 않는 '캄보디아 문신男' 논란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병주 "구출했다"는 캄보디아 송환 한국인
온몸 덮은 '문신'에 정치권·시민들 '맹비난'
"문신은 과학" vs "문신 있음 다 죄인이냐"
문신업계 "제도권 들어와, 편견 벗어나야"
온몸 덮은 '문신'에 정치권·시민들 '맹비난'
"문신은 과학" vs "문신 있음 다 죄인이냐"
문신업계 "제도권 들어와, 편견 벗어나야"
야권에서는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범죄 조직에 가담한 피의자라는 점에 문신을 더해 "조폭" 등으로 규정했고, 온라인상에서도 '문신=범죄자'라는 비난이 쇄도했다. 다만 문신과 범죄는 별개의 문제이며, 혐오와 선입견이 구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는 반론도 거세다.
◇ 김병주 "구출 작전"…野 "초롱이" "조폭"
김 최고위원은 "첩보 영화를 찍는 심정으로 구출 작전을 펼쳤다"고 이들의 송환 소식을 알리며 관련 사진을 페이스북에 게시했다. 그러자 야권에서는 이들이 범죄 혐의자라는 점과 함께 문신을 부각하면서 "선량한 우리 국민 구해오랬더니 뭔 놈의 야쿠자 문신한 범죄자 조폭을 구해오고 폼 잡냐"(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초롱이'(범죄도시3 극중 인물)라 불리는 범죄혐의자들을 대상으로 구출 쇼를 벌일 것이 아니다"(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등의 비판을 제기했다.
김 최고위원은 불거진 '정치쇼' 논란에 눈물까지 흘리며 반박에 나섰다. 김 최고위원은 "문신을 하고 죄가 의심된다고 방치하라는 정치, 국민을 구해왔더니 '왜 구했냐'고 묻는 정치, 정파를 빙자한 악담이자 저주"라며 "청년이 문신했다고 조폭으로 낙인찍어 혐오 갈라치기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교도소에 불이 나서 불을 끄고 수감자를 구조하니, 범죄자를 구했다고 욕하는 짓거리와 무엇이 다르냐"면서 야권의 문신 거론이 구출의 본질에서 벗어났다는 취지로 지적했다.
◇ "문신은 과학" vs "문신 있으면 다 죄인이냐"
이번 논란은 문신에 대한 우리 사회의 복합적인 시선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3년 한국리서치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0%는 문신이나 문신을 한 사람이 '혐오스럽다'고 응답했다. '불량하거나 무섭다'는 의견은 66%였다. 이러한 부정률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 높아졌다. 2022년 기준 문신 시장 규모가 약 3조원에 이르고 문신 시술 경험자가 1300만명을 넘어서는 등 대중화됐는데도 부정 여론이 주류다.
◇ "제도권 들어온 문신, 편견 벗어나야"
임보란 대한문신사중앙회 회장은 지난 24일 한경닷컴과 통화에서 "과거에는 몸에 문신이 많으면 범죄자, 깡패, 건달, 야쿠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오늘날에는 가족 얼굴이나 반려견 등의 모습을 담은 문신을 많이들 한다"며 "물론 예전에는 과한 문신이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하는 것이라고 인식됐던 것은 맞지만, 시대가 변한 만큼, 위협감을 조성하기 위해 문신하는 사람은 많이 없다는 뜻"이라고 짚었다.
'이레즈미(일본 야쿠자 문신)와 패션 문신은 인식이 다르지 않냐'는 물음에 임 회장은 "이레즈미라는 장르를 한다고 심성이 나쁘다는 것은 편견이다. 여성을 화장의 진한 정도로 평가할 수 없는 것"이라며 "이제 문신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한국 사회가 편견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 회장은 정치권을 향해선 "이번 캄보디아 송환 한국인들이 문신 때문에 더 나쁜 것처럼 조명하는 데 대해선 유감스럽다. 문신을 정쟁에 이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했다.
임 회장이 언급한 문신의 제도화는 비(非)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는 내용의 '문신사법' 제정안이 지난 9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을 말한다. 그간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은 1992년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판단한 대법원판결 이후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받아왔다. 제정안은 문신과 반영구 화장을 모두 '문신 행위'로 정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해 면허를 취득한 사람에게만 문신사의 독점적 지위를 부여해 문신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