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금융투자협회는 오는 27일부터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서 공모펀드 상장클래스 거래가 개시된다고 23일 밝혔다. 최초 상장되는 종목은 '대신 KOSPI200인덱스'와 '유진 챔피언중단기크레딧' 2개 상품이다. 투자자들는 주식과 상장징수펀드(ETF)처럼 종목명을 검색해 쉽게 매매할 수 있다.

상장클래스는 공모펀드 거래 절차를 간소화하고 투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혁신 금융상품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1월 '일반 공모펀드 상장거래 추진' 계획을 발표한 뒤로, 업계가 준비한 '상장클래스 거래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금융규제 샌드박스)로 지정해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공모펀드는 소액·분산투자가 가능하고 투자자 보호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간접투자 수단으로 꼽혀왔다. ETF는 매수·매도가 편리하고 비용 부담이 낮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다. 상장클래스는 이런 공모펀드와 ETF의 장점을 결합하면서도 기존 공모펀드의 규모와 안정성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투자상품이다.
상장클래스 두 상품 주요 특징. /자료=금융투자협회, 각사
상장클래스 두 상품 주요 특징. /자료=금융투자협회, 각사
상장클래스 거래 가능 증권사는 총 27곳이다. 교보, 다올, 대신, DB, DS, 메리츠, 미래, 부국, BNK, 삼성, 상상인, 신영, 신한, IBK, iM, SK, NH, LS, 우리, 유안타, 유진, KB, 하나, 한양, 한투, 현대차증권에서 이달 27일부터 거래할 수 있다. 키움증권만 다음 달 7일부터 가능하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상장클래스는 장외와 장내 거래체계를 융합하는 첫 사례로서 이제 투자자는 지수를 뛰어넘는 성과 달성 여부 등 과거 운용성과를 미리 참고할 수 있고, 원하는 시점에 증권시장에서 저렴하고 신속하게 매매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최초 상장은 시장의 검증을 받은 주식형·채권형 펀드로 구성됐다"며 "이번 상장 준비 과정에서 세제 개편 및 시스템 등 인프라를 완비함으로써 언제든지 다양한 상장클래스를 추가 상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데 그 의미가 크다"고 했다.

협회는 원활한 상장클래스 거래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업계·유관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추가 상품 출시를 적극 지원하겠단 계획이다. 나아가 금융당국이 발표한 로드맵에 따라 상장공모펀드 법제화를 위한 법 개정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