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제주도 망해'…관광객 '바가지' 논란에 초강수 꺼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주도, 관광객 신뢰 회복 위해
3단계 바가지요금 관리 체계 구축
3단계 바가지요금 관리 체계 구축
제주도는 22일 정무부지사 주재로 '민관 협동 관광 바가지요금 근절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예방-모니터링-제재로 이어지는 전주기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논란이 된 탐라문화제 김밥, 올레시장 철판오징어, 흑돼지 비계 목살 관련 실태 파악과 함께, 축제 및 관광지에서 합리적 가격이 정착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마련됐다.
도는 3단계 바가지요금 관리 체계 구축으로 관광객 신뢰 회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먼저 축제 개최 전 사전 준비 단계에서 가격안정 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축제 물가 종합상황실을 구성·운영한다. 상인회와 판매 부스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율 협약을 체결하고 사전교육을 강화한다.
또한 바가지요금 등 사회적 논란 발생 시 위반 정도와 재발 여부에 따라 평가에 반영하고, 지정축제 평가 시 감점을 주거나 지정축제 선정 제외·예산 감액 등 차등적 불이익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특히 중대한 불공정 행위가 적발되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제주도 지정축제 선정 대상에서 즉시 제외한다는 계획이다. 재적발되면 평가 대상에서조차 제외, 예산 지원을 제한하는 등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최종 축제육성위원회 등 추가 논의 후 확정할 예정이다.
김애숙 정무부지사는 "축제 별 민관 합동점검반을 더욱 내실화하고, 바가지요금 신고센터 운영과 현장 모니터링 강화, 사전 상인교육을 통해 불공정 상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 등 신뢰받는 제주관광을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