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상사랑 연애하면 돈 더 번다?"…연봉 평균 6% 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반면 동료들은 불만 쌓여 이직률 6%p↑
사내연애 이별 뒤엔 연봉 평균 18% 급감
美 근로자 25% 이상 직장 내 연애 경험
사내연애 이별 뒤엔 연봉 평균 18% 급감
美 근로자 25% 이상 직장 내 연애 경험
22일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데이비드 맥도널드, 에밀리 닉스, 제리 몬토넨 등 연구진은 최근 '상사와의 연애가 주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1988~2018년 30년간 핀란드 직장인들의 고용 행정 통계를 분석해 상사와 부하 직원의 사내 연애가 직원 연봉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추적했다. 핀란드는 고용 통계가 매우 정교하게 구축돼 있어 같은 회사에서 상사와 부하 직원이 동거를 했는지, 동거 후 이별했는지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미국 근로자 중 25% 이상이 직장 내 연애를 경험했으며, 이 중 18%는 직장 상사와 연애한 경험이 있다. 핀란드에서도 연인과 동거 중인 관리자 중 약 9%는 부하 직원으로 추정되는 직장 동료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상사와의 연애'를 주제로 삼은 이유는 이처럼 사내 연애가 이미 만연해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선 상사와 연애를 하는 부하 직원의 연봉은 연애 기간 중 평균 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의 경우 직무급 중심의 인사 체계가 일반적이어서, 상사가 부하 직원의 연봉을 결정하는 일이 흔하다. 연구진은 "연인 관계로 발전한 경우 상사가 연인인 부하 직원의 연봉을 알게 모르게 올려주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애가 끝난 뒤의 결과는 더욱 뚜렷했다. 상사와의 연애가 끝난 부하 직원은 고용 유지율이 다른 직원보다 13% 낮았다. 연구진은 "연인이었던 상사와 헤어진 뒤 회사를 떠나는 경우가 일반적인 퇴직보다 훨씬 많았다"고 분석했다.
이별 후 회사를 그만둔 직원이 다른 직장으로 이직할 경우, 연봉은 평균 18% 급감했다. 연구진은 "연인 관계 청산에 따른 심리적 충격과 빨리 새 직장을 찾아야 한다는 압박 때문에 이전보다 조건이 나쁜 곳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결국 상사와의 연애는 단기적으로는 연봉 인상이라는 이익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력 단절과 소득 하락으로 이어질 위험이 큰 셈이다. 연구진은 "연애 시작 후 소득이 오르는 반면, 이별 뒤에는 고용이 끊기거나 덜 유리한 직장으로 이동하면서 장기적인 소득 손실로 이어진다"고 결론지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사내 연애, 특히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연애를 전면 금지해야 할까. 연구진은 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사내 연애 전면 금지 조치는 사내에서 좋은 사람을 만나 연애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사회적 기회를 박탈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신 제도적 장치를 통한 '관계와 평가의 분리'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진의 제언이다.
연구진은 "사내 연애를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상사가 연인 관계인 부하 직원의 평가·보상에 직접 관여하지 못하도록 제도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최고경영자(CEO)들은 직장 내 연애 관계에 대한 정책을 결정할 때 우리가 제시한 비용과 잠재적 이점을 신중히 비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