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 7분 만에 털렸다"…보석 도난 당한 루브르 '망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책임론 '일파만파'
19일(현지시간) 오전 9시30분께 4인조 도둑은 프랑스 왕실의 보석이 전시된 아폴론 갤러리에 침입, 보물 8점을 훔친 후 달아났다.
범인들은 박물관의 센강변 외벽에 사다리차를 대고 건물 2층(프랑스식 1층)에 닿아 창문을 부수고 내부로 침입한 뒤 두 개의 고성능 보안 유리 진열장을 깨고 보석들을 훔쳤다. 걸린 시간은 고작 7분이다.
스쿠터를 타고 도주한 이들은 아직도 잡히지 않고 있다.
현지 문화부는 상상할 수 없는 도난 사건에도 박물관 보안 시스템에는 결함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문화부는 "경보가 작동했으며 전시실과 인접 공간에 있던 박물관 직원 5명이 즉시 개입해 보안 프로토콜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라시다 다티 문화장관은 이날 저녁 TF1뉴스에 출연해 "박물관의 취약성은 오래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지난 40년 동안 이 대형 박물관들의 보안 강화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밝혔다.
같은 날 일간 르몽드는 박물관 직원들이 보안 시스템을 현대화할 '안전 계획'이 연기된 점을 지적하며 반복되는 자원 부족 탓에 보안에 허점이 생겼다고 보도했다.
르몽드는 한 루브르 직원의 인터뷰를 통해 도난 사고가 발생한 아폴론 갤러리는 기존 6명이 아닌 5명이 감시하고 있으며 아침 첫 휴식 시간인 30분 동안 단 4명만 근무해 범죄자들이 노리기 쉬운 시간대라고 밝혔다.
루브르 박물관의 감시원인 엘리즈 뮐러는 일간 르피가로에 박물관의 보안 부서가 "악의적 행위 위험에 대해 경영진에 경고해 온 지 몇 달이나 지났다"고 전했다.
뮐러는 지난 10년간 190개의 감시직이 사라졌다며 "경영진의 결정에서 박물관 보안은 최우선 순위가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감사원은 "보안 장비 현대화를 위한 기본 계획이 계속해서 지연돼 감시 카메라 설치는 주로 전시실 리모델링 공사 과정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카메라 증설이 '나폴레옹 홀'과 같은 특정 전시실에만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임시 전시가 이뤄지는 나폴레옹 홀의 경우 현재 100%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었지만 쉴리관은 60%, 리슐리외관의 75%는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았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19일 도난 사건 뒤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1월에 시작한 프로젝트는 보안 강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며 "이 프로젝트는 우리의 기억과 문화를 구성하는 유산의 보존과 보호를 보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앞서 프랑스 정부는 지난 1월 '루브르, 새 르네상스'란 슬로건을 내걸고 2031년을 목표로 박물관 보수·현대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도난 사고 당일 전체 문을 닫았던 루브르 박물관은 20일 일부 전시실을 개장하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이틀 연속 폐관하기로 결정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