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민스키 모멘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월 15일(토) 테샛
www.tesat.or.kr 접수 중!
www.tesat.or.kr 접수 중!
[문제1] 아래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알맞은 용어는?
(1) 사이드카
(2) 퍼스트 펭귄
(3) 민스키 모멘트
(4) 회색 코뿔소
(5) 트리플 위칭데이
[해설] 민스키 모멘트는 누적된 부채가 임계점을 지나면서 자산가치의 붕괴와 경제위기가 일어나는 순간을 일컫는다. 과도한 부채 확대에 따른 금융시장 호황이 이어지다가 호황이 끝나면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나빠지고 결국 채무자는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 빚을 갚으면서 금융 시스템이 붕괴하고 금융위기까지 초래한다는 것이다. 미국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언급한 내용이다.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회색 코뿔소는 지속적인 경고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을 말한다. 코뿔소는 멀리서도 눈에 잘 띄며 진동만으로 움직임을 느낄 수 있지만 다가오면 두려움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거나 대처 방법을 알지 못해 일부러 무시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정답 ③
[문제2] 직장인 A씨는 증권사 직원으로부터 ‘B펀드가 수익률이 높으니 투자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하지만 이 직원은 A씨에게 해당 펀드의 운용 방식, 위험도, 손실 가능성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 이 경우 추후 법적으로 어떤 문제의 소지가 있을까?
(1) 내부거래
(2) 결합판매
(3) 내부자거래
(4) 불공정거래
(5) 불완전판매
[해설] 불완전판매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의 금융회사가 고객에게 상품의 운용 방법, 위험도, 손실 가능성 등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펀드의 경우 투자 원금 또는 수익률을 보장하는 행위,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판단 자료, 출처를 제시하지 않은 예측 자료를 투자자에게 제시하거나 펀드 가치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알고도 투자자에게 미리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내부거래는 같은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계열사)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행위, 내부자거래란 기업과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직무 또는 지위를 통해 얻은 정보로 불공정한 주식매매를 하는 행위다. 정답 ⑤
[문제3]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재고 투자
(2) 패시브 투자
(3) 액티브 투자
(4) 레버리지 투자
(5) 포트폴리오 투자
[해설] 포트폴리오 투자는 주식, 채권 및 다른 유가증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분할해 투자하는 방법이다. 위험을 줄이고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한다. 레버리지 투자란 모자란 돈을 빌려서 투자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패시브 투자란 코스피200 같은 주요 지수의 등락에 따라 기계적으로 편입된 종목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이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액티브 투자는 펀드매니저 등 전문가가 개별 종목을 분석해 선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으로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률을 내는 게 목표다. 정답 ⑤
■ 누적된 부채가 임계점을 지나면서 자산가치의 붕괴와 경제위기가 일어나는 순간
■ 금융시장 호황이 끝난 후 채무자의 부채 상환능력이 악화해 건전한 자산까지 팔면서 나타나는 현상
(1) 사이드카
(2) 퍼스트 펭귄
(3) 민스키 모멘트
(4) 회색 코뿔소
(5) 트리플 위칭데이
[해설] 민스키 모멘트는 누적된 부채가 임계점을 지나면서 자산가치의 붕괴와 경제위기가 일어나는 순간을 일컫는다. 과도한 부채 확대에 따른 금융시장 호황이 이어지다가 호황이 끝나면 채무자의 부채 상환 능력이 나빠지고 결국 채무자는 건전한 자산까지 팔아 빚을 갚으면서 금융 시스템이 붕괴하고 금융위기까지 초래한다는 것이다. 미국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언급한 내용이다.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회색 코뿔소는 지속적인 경고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을 말한다. 코뿔소는 멀리서도 눈에 잘 띄며 진동만으로 움직임을 느낄 수 있지만 다가오면 두려움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거나 대처 방법을 알지 못해 일부러 무시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정답 ③
[문제2] 직장인 A씨는 증권사 직원으로부터 ‘B펀드가 수익률이 높으니 투자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하지만 이 직원은 A씨에게 해당 펀드의 운용 방식, 위험도, 손실 가능성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 이 경우 추후 법적으로 어떤 문제의 소지가 있을까?
(1) 내부거래
(2) 결합판매
(3) 내부자거래
(4) 불공정거래
(5) 불완전판매
[해설] 불완전판매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의 금융회사가 고객에게 상품의 운용 방법, 위험도, 손실 가능성 등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펀드의 경우 투자 원금 또는 수익률을 보장하는 행위,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판단 자료, 출처를 제시하지 않은 예측 자료를 투자자에게 제시하거나 펀드 가치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알고도 투자자에게 미리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내부거래는 같은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계열사)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행위, 내부자거래란 기업과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직무 또는 지위를 통해 얻은 정보로 불공정한 주식매매를 하는 행위다. 정답 ⑤
[문제3]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재고 투자
(2) 패시브 투자
(3) 액티브 투자
(4) 레버리지 투자
(5) 포트폴리오 투자
[해설] 포트폴리오 투자는 주식, 채권 및 다른 유가증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분할해 투자하는 방법이다. 위험을 줄이고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한다. 레버리지 투자란 모자란 돈을 빌려서 투자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패시브 투자란 코스피200 같은 주요 지수의 등락에 따라 기계적으로 편입된 종목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이다. 시장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액티브 투자는 펀드매니저 등 전문가가 개별 종목을 분석해 선별적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투자 방식으로 시장 평균을 웃도는 수익률을 내는 게 목표다. 정답 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