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사회적 대화 공동선언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맨 왼쪽)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맨 오른쪽) 등 참석자들이 기념 식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사회적 대화 공동선언식에서 우원식 국회의장(맨 왼쪽)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맨 오른쪽) 등 참석자들이 기념 식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가 주도하고 노사 대표가 참여하는 ‘국회 사회적 대화기구’가 15일 공식 출범했다. 답보 상태에 빠진 노사정 대화의 물꼬를 틔우겠다는 취지다.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와 별도로 국회가 사회적 대화의 주체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민주노총은 1999년 경사노위(당시 노사정위) 탈퇴 후 26년 만에 사회적 대화에 복귀하는 것이어서 관심이 집중됐다.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 사회적 대화 공동선언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등 노사단체 대표가 참석해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공동선언문은 △성실한 논의 지속 △사회적 대화·협의 상호 존중 및 보완 발전 △운영 방향·제도적 발전 방안 논의 △다양한 의제·주체 발굴을 통한 저변 확대 △책임 있는 참여 및 미래 지향적 성과 도출 △국회 차원의 지원 방안 마련 등 6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국회 사회적 대화를 주도한 우 의장은 축사에서 “국회와 노동·경제계가 의기투합해 우리 사회의 갈등과 도전을 대화와 토론으로 해결하는 틀을 마련했다”며 “국회에서 일시적으로 하는 대화가 아니라 국회의 기능을 하나 더 붙이고 ‘사회적 대화의 역할을 한다’는 국회 제도 개혁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영계 대표로 참석한 최 회장은 “혁신을 가로막는 계단식 규제와 낡은 제도를 걷어내고 인공지능(AI) 전환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노사가 밥솥을 깨뜨리지 않고 밥을 더 많이 지을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사회적 대화의 결과가 정권에 따라 무용지물이 되는 과오를 반복해선 안 된다”며 “갈등과 대립을 넘어 상생과 협력의 정신으로 해법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노동자와 기업, 정부가 함께할 때 우리는 위기를 넘어 새로운 도약을 만들 수 있다”며 “이 자리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포용과 통합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사회적 대화뿐 아니라 정치적 대화도 잘해주길 당부한다”고 언급했다.

곽용희/강현우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