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 전성시대'…유니클로 매출, 구찌도 추월 [이선아의 킬러콘텐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패션 시장 흔드는 SPA
의류도 가성비 소비가 최우선
유니클로 연매출 32조원 돌파
쉬인은 佛 럭셔리 유통망 입점
국내 업계도 한류 타고 해외로
의류도 가성비 소비가 최우선
유니클로 연매출 32조원 돌파
쉬인은 佛 럭셔리 유통망 입점
국내 업계도 한류 타고 해외로
◇ 유니클로, 명품 왕국 매출 넘어서
12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일본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은 2024년 9월~2025년 8월(2025회계연도) 기준 매출 3조4005억엔(약 32조2700억원), 영업이익 5511억엔(약 5조23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각각 전년보다 9.6%, 13.6% 증가했다. 성장세에 힘입어 패스트리테일링 매출은 구찌, 보테가베네타, 생로랑 등을 거느리는 케링그룹의 작년 매출(172억유로·약 28조6700억원)을 넘어섰다.‘중국판 유니클로’로 불리는 쉬인도 서구권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프랑스 파리 중심부에 있는 BHV백화점에 매장을 낸 데 이어 갤러리라파예트 등 럭셔리 유통업체에 입점하기로 했다. 현지 패션업계에선 “프랑스 패션계에 대한 모욕”이란 반발이 일긴 했지만, 그만큼 쉬인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성장세가 둔화하던 글로벌 1위 SPA 브랜드 자라의 모회사 인디텍스도 올 3분기 첫 5주간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9%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가팔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 해외로 눈 돌리는 토종 SPA
내수에 집중하던 국내 토종 SPA 브랜드들도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금까지 스파오, 에잇세컨즈 등 국내 브랜드는 해외 진출에 소극적이었다. 자라, H&M 등 글로벌 브랜드가 북미 및 유럽 시장을 꽉 잡고 있는 상황에서 차별화를 꾀하기 어려워서다.하지만 최근 K컬처 인기가 높아지고, SPA 의류 시장 자체가 커지면서 해외 진출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건 무신사다.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서 인기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앞세워 오는 12월 상하이에 1호점 오픈을 준비 중이다. 향후 5년간 중국 내 매장을 100개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삼성물산이 운영하는 에잇세컨즈도 지난 7월 필리핀 마닐라에 해외 1호점을 냈다. 이를 계기로 동남아 시장 점유율 확대에 매진할 예정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