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진핑 만날 이유 없다"…美 3대 지수 급락 [뉴욕증시 브리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중 갈등 재점화…AI·반도체주 폭락
나스닥·S&P 500, 6개월 만 최대 낙폭
나스닥·S&P 500, 6개월 만 최대 낙폭
10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78.82포인트(1.90%) 급락한 4만5479.6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2.60포인트(2.71%) 하락한 6552.51, 나스닥종합지수는 820.20포인트(3.56%) 폭락한 2만2204.43에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 지수 모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였던 지난 4월 10일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원래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을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며 "중국이 방금 내놓은 적대적 '명령'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느냐에 따라 미국 대통령으로서 그들의 조치에 재정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이 순간 검토하는 정책 중 하나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규모 관세 인상"이라며 "마찬가지로 다른 많은 대응 조치도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전까지만 해도 나스닥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발언 직후 투자심리가 급랭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쏟아졌다. 특히 장 막판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낙폭이 더욱 커졌다.
미국 경제방송 CNBC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 전 나스닥 지수는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발언 이후 투자심리가 급랭하며 S&P500은 이번 주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고, 나스닥과 다우지수도 각각 1~2%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미국 선박에 별도 입항료를 부과하고,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자동차 반도체 설계사 오토톡스 인수와 관련한 반독점 조사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일부 희토류 제품의 수출 시 이중용도 물자 수출 허가증을 의무화하며, 해외에서 중국 기술을 활용해 생산된 제품까지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에 기술주 중심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엔비디아는 4.91%, 테슬라 5.06%, 아마존 4.99%, 애플 3.44%, 메타 3.83% 급락했다. 브로드컴(-5.91%), AMD(-7.8%) 등 반도체 기업 주가도 크게 떨어졌다.
특히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테마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6.32% 폭락했다. 이는 지난 4월 10일(7.97% 급락)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B.라일리웰스의 아트 호건 수석시장전략가는 "기술주들이 이날 가장 크게 하락한 건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들은 중국에 제조업과 대형 고객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노출돼 있었다"고 말했다.
투자 불안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도 강화됐다.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4.064%로 8.8bp(1bp=0.01%포인트) 하락했고, 2년물 금리도 3.529%로 7.1bp 떨어졌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22.44까지 치솟아 지난 6월 19일 이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셧다운(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정지) 사태가 10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미 의회의 여야 대치가 지속돼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 점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국제유가 역시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61달러(4.24%) 급락한 배럴당 58.90달러에 거래됐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2월물은 2.49달러(3.82%) 하락한 배럴당 62.73달러로, 두 유가 모두 지난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의 고율 관세 예고로 경기 침체 및 원유 수요 감소 우려가 커진 데다, 가자지구 1단계 휴전 합의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된 영향이 겹쳤다는 분석이다.
한편 금 선물 가격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온스당 4000달러선을 다시 회복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