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진핑과 4주 뒤 미국산 대두 거래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무역협상 핑계로 구매 중단"
APEC 정상회의서 담판 지을 듯
APEC 정상회의서 담판 지을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중국의 미국 대두 수입 중단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을 만날 뜻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서 “중국이 ‘협상’을 이유로 대두를 구매하지 않아 미국 농가가 피해를 보고 있다”며 “4주 뒤 시 주석과 만나는 자리에서 대두는 주요 논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절대 우리 농민이 실망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졸린 조 바이든(전 대통령)은 수십억달러의 우리 농산물, 특히 대두를 구매하기로 한 중국과의 협정을 집행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이달 31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그는 지난달 19일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지난 5월 이후 미국산 대두를 단 한 건도 구매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미국산 대두 수출량의 52%를 차지할 정도로 최대 규모 수입국(126억달러)이었다. 현재 중국은 미국산 대두 대신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산 대두를 대량으로 구매한다. 중국 수출길이 막히자 미국은 이집트, 대만 등 일부 국가에 대두를 수출하고 있지만 중국의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를 받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수입 금지 조치가 미국 중서부 지역 대두 농가에 파괴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서부 지역 농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 기반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을 만나 직접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 농업계는 이미 수출 시즌의 절반이 지나간 상황에서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미국 정치 매체 폴리티코는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 개선을 위한 지렛대로 공격적 관세를 활용하려는 야심이 어떻게 역효과를 낳았는지 여실히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서 “중국이 ‘협상’을 이유로 대두를 구매하지 않아 미국 농가가 피해를 보고 있다”며 “4주 뒤 시 주석과 만나는 자리에서 대두는 주요 논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절대 우리 농민이 실망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졸린 조 바이든(전 대통령)은 수십억달러의 우리 농산물, 특히 대두를 구매하기로 한 중국과의 협정을 집행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이달 31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그는 지난달 19일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지난 5월 이후 미국산 대두를 단 한 건도 구매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중국은 미국산 대두 수출량의 52%를 차지할 정도로 최대 규모 수입국(126억달러)이었다. 현재 중국은 미국산 대두 대신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산 대두를 대량으로 구매한다. 중국 수출길이 막히자 미국은 이집트, 대만 등 일부 국가에 대두를 수출하고 있지만 중국의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를 받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의 수입 금지 조치가 미국 중서부 지역 대두 농가에 파괴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서부 지역 농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 기반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을 만나 직접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 농업계는 이미 수출 시즌의 절반이 지나간 상황에서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본다. 미국 정치 매체 폴리티코는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 개선을 위한 지렛대로 공격적 관세를 활용하려는 야심이 어떻게 역효과를 낳았는지 여실히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