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경 서울시의원이 지난해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이 된 뒤 리모델링한 접견실 모습.  /사진=익명의 제보자
(구)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경 서울시의원이 지난해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이 된 뒤 리모델링한 접견실 모습. /사진=익명의 제보자
작년 8월 19일 새로 선출된 서울시의회 후반기 의장단, 원내대표, 상임위원장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이날 안건 중 하나는 상임위원장 사무실 물품 교체의 건이었습니다. 서울시의회는 매년 '의회 노후집기 교체 및 정수물품 구매' 사업으로 수억원대 예산을 편성합니다. 작년에는 약 1억 2000만원 범위에서 내구연한이 도래한 품목을 교체할 계획이었습니다.

의회사무처 운영지원과는 간담회에 앞서 상임위원회별로 물품 구매요청서를 제출받았습니다. 문제는 물품 관리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보니 각 위원회가 요청한 제품의 모델, 가격대가 천차만별이었다는 점입니다. 어떤 위원장은 30만원짜리 의자를 요청했는가 하면 또 어떤 의원은 60만원짜리 의자를 요청하기도 했다는 전언입니다. 총규모는 적게는 63만원에서 많게는 1000만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가장 논란이 됐던 건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의 '올화이트톤 리모델링 계획'이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진종오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전날(9월 30일) 권리당원 조작을 시도했다고 밝힌 당사자입니다. 진 의원에 따르면 김 위원장 측은 특정 종교 신도 3000명을 권리당원으로 입당시켜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려고 한 정황이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고가의 의자, 책상, 쇼파 등을 요청했고 모두 '화이트톤'으로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약 1400만원 상당이었다고 합니다. 각종 자료를 보다 더 잘 검토할 수 있도록 스마트칠판도 비치해달라고 했습니다.

당시 간담회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시민들의 세금을 사무실을 꾸미는 데 이렇게 펑펑 쓸 수 있는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는 의원도 있었습니다. 그 다음 달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한 의원은 "어떤 상임위는 교체하고 어떤 데는 교체를 하지 않고, 너무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거 같다"고 했습니다.

일부 의원들의 지적을 수렴한 운영지원과는 낭비성으로 판단되는 물품은 최대한 제외시켰습니다. 당초 예산보다 3000만원가량 적은 9083만원을 집행하기로 계획을 수정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사무실 물품 조달 비용도 600만원대로 깎였습니다.

의회사무처는 결국 이때를 계기로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물품관리지침'을 수립했습니다. 사무실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동일한 종류·수준의 물품을 배치하되 고가 물품, 사적 이용 목적 물품의 배치는 금지했습니다. 내구연한이 지났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경우 계속 사용하도록 원칙을 세웠습니다. 업무에 지장 주는 게 아니라면 사무실 내부 색상 변경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기자는 당시 김 위원장이 사무실을 흰색으로 꾸민 이유를 듣기 위해 통화를 시도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았고, 문자 메시지에도 답하지 않았습니다.

최해련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