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비온 "내년 전립선암 신약 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사성약 시대 여는 김권 대표
연말 국내 시판 허가 신청
연말 국내 시판 허가 신청
김권 셀비온 대표(사진)는 21일 “전립선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포큐보타이드’ 임상 2상 시험을 통해 기존 치료제인 스위스 노바티스의 ‘플루빅토’보다 높은 효과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2010년 창업 후 서울대 암연구소에 자리 잡은 셀비온은 10년 넘게 방사성의약품 국산화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는 셀비온에서 개발해온 혁신 신약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원년이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포큐보타이드의 전립선암 단독 허가를 위한 최종데이터(CSR)가 연말께 나오는 데다 키트루다와의 병용 임상시험이 본궤도에 오르면서다.
지난 4일 셀비온은 전립선암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2상에서 항암제가 잘 듣는 환자 비율인 객관적반응률(ORR) 35.9%를 확보했다는 내용의 톱라인 데이터를 발표했다. 암이 사라진 완전관해(CR)는 9%, 암이 줄어든 부분관해(PR)는 26.9%였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냉담했다. 지난해 말 공개한 중간 분석 ORR(47.5%)보다 낮아진 데다 이미 시장에 진입한 플루빅토보다 약이 더 좋다고 판단하긴 힘들다는 해석이 잇따르면서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2상 후 조기 허가를 받기 위해 평가 수준을 높인 탓에 나타난 착시라고 했다. 김 대표는 “플루빅토는 3상 때 활용한 ‘뼈 전이까지 포함한 데이터’(이밸류어블)를 2상에 적용했다”며 “‘특정 부위 병변만 보는 데이터’(메저러블)로는 ORR 54%로, 플루빅토의 유사 임상(30%)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올해 안에 CSR을 받고 12월께 식품의약품안전처에 3상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 뒤 내년 상반기 제품을 출시하는 게 목표다.
이지현 기자/ 사진=김범준 기자 bluesky@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