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5000원이라고?…다이소 갈 때마다 난리 난 '속옷' 뭐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月 600개씩 쏟아지는 신상
"다이소서 보물찾기 해요"
트렌드 반영…상품 수시 변경
뷰티·건기식 등 신규시장 발굴
캐릭터 등 취미용품도 적극 확장
"다이소서 보물찾기 해요"
트렌드 반영…상품 수시 변경
뷰티·건기식 등 신규시장 발굴
캐릭터 등 취미용품도 적극 확장
9개 상품군·3만여종 제품
14일 다이소에 따르면 다이소는 매달 600개 이상의 신상품을 출시한다. 조리, 뷰티, 인테리어, 문구 등 총 9개 상품군에서 2만8000~3만여 종의 제품을 관리한다. 트렌드를 반영해 새로운 상품을 선보이는 동시에 철이 지난 상품은 운영을 종료하는 식이다. 품목뿐 아니라 품목별 종류도 다양하다. 칫솔과 세탁망은 각 70종, 수세미는 100종, 면봉은 40종에 달한다. 같은 상품군이어도 용도, 모양, 종류, 크기별로 각기 다른 제품을 개발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힌다.신상품 출시 전략은 소비문화 연구의 결과다. 선진국일수록 생활용품 교체 주기가 짧다는 점을 반영했다. 칫솔과 수세미, 면봉처럼 한 번 쓰고 버리는 제품을 넘어 주방용기, 욕실용품 등도 정기적으로 바꾸는 수요를 겨냥했다. 가격을 5000원 이하로 책정하는 전략은 부담 없이 제품을 바꿀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다.
시장 발굴해 트렌드 주도
다이소는 활성화되지 않은 시장을 연구, 예측해 선제적으로 준비함으로써 상품 경쟁력을 끌어올렸다. 뷰티, 건강기능식품(건기식) 등 카테고리가 대표적인 예다. 다이소는 2023년부터 뷰티 상품군을 본격적으로 확대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다이소에서 판매한 뷰티 상품은 총 800종으로 지난해 말(500종)보다 60% 증가했다. 가성비 뷰티 시장이 활성화하기 전인 2022년(120종) 대비 6배 이상으로 늘어났다.올해 초부터는 건기식 확장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 2월 종근당건강, 대웅제약과 손잡고 건기식을 출시한 뒤 이 카테고리에서 수요가 확인되자 동국제약, 안국약품, CJ웰케어 등 총 7가지 브랜드 60여 종 상품으로 확대했다. 다이소 관계자는 “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경쟁사보다 먼저 상품을 내놓은 것이 핵심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인기 상품은 공격 확장
특정 카테고리에서 소비자 반응이 좋으면 해당 품목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는 것도 다이소의 핵심 전략이다. 의류가 대표적이다. 초기에는 양말, 티셔츠 등 간단한 상품만 판매했으나 2022년 7월 스포츠웨어, 이지웨어, 홈웨어 등으로 상품군을 확대했다. 가볍고 편한 상품 위주로 인기를 끌자 스포츠 레깅스, 파자마 바지까지 품목을 늘렸다.의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자 2023년에는 여름 의류 ‘이지쿨’을 선보였다. 냉감 소재 티셔츠와 속옷이 가성비 제품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2023년 상반기 이너웨어 매출이 전년 대비 2배가량 증가하기도 했다. 계절 상품이 인기를 끌자 같은 해 겨울 ‘이지웜’도 출시했다. 패딩 조끼, 플리스 등을 5000원에 판매했다. 그 결과 의류 카테고리 제품 수는 2023년 270종으로 전년 대비 3배가량 늘었다.
‘덕질용품’ 카테고리에도 비슷한 전략을 적용했다. 좋아하는 아티스트나 캐릭터를 꾸미고 간직하는 문화를 뜻하는 ‘덕질’ 트렌드에 맞춰 폴라로이드 꾸미기 용품(폴꾸용품)을 선보였다. 2022년 11가지 상품으로 시작한 폴꾸용품은 현재 120여 종으로 늘어났다.
라현진 기자 raraland@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